미래부, ICT 수출 지원 본격 가동…305억원 규모
정보통신기술(ICT) 수출이 세계 경제의 저성장 추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등으로 인한 보호무역주의 강화 움직임이라는 변수에 흔들리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가 민·관의 긴밀한 협력으로 수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를 마련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최재유 차관 주재로 서울 강남구 한국교육방송공사에서 '제2차 ICT 정책해우소'를 열었다고 11일 밝혔다.
해우소는 ▲ICT 수출 활성화 정책 방향 ▲2017년 ICT 해외진출 지원사업 계획 ▲네트워크장비 및 한류콘텐츠 동반 해외진출 성공사례에 대한 주제발표에 이은 참석자들의 자유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미래부에 따르면 지난해 ICT 수출은 1625억달러였으며, 올해 ICT 수출은 전년대비 소폭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다양한 변수로 민·관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미래부는 반도체·휴대폰·디스플레이 등 기존 주력 ICT 수출 활성화를 지원하고, 사물인터넷·클라우드·빅데이터·지능정보 등 K-ICT 10대 전략품목 등 신규 수출 분야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ICT 수출기업의 애로사항을 원스톱으로 해결하는 범정부 ICT 수출 지원체계 확립 등도 추진한다.
또 올해 산업통상자원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ICT 수출 관련 부처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등과 협력해 범부처 수출지원체계를 본격 가동한다.
특히 ICT 중소기업이 수출과 관련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지 정보부족, 납품 이력 부족, 현지 제도·규제를 NIPA 코넥스(CONEX) 및 코트라 IT수출상담지원센터 등을 통해 원스톱으로 해결하는데 주력한다.
미래부는 이러한 원스톱 지원체계 구축과 ICT 수출 활성화를 위해 정보제공·협의체 운영(18억원), 해외로드쇼·전시상담회·쇼케이스 개최 등 현지마케팅(82억원), 컨설팅지원(22억원), 현지 인프라 지원(87억원) 분야에 총 305억원 규모의 30개 해외진출 지원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날 해우소에 참가한 ICT 관계자는 "우리 경제의 재도약을 위해서 전체 수출의 32.8%를 차지하는 ICT 분야 수출 활성화를 위해 민·관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미래부 최재유 2차관은 "우리 경제의 회복을 위해서 가장 대표적인 수출 주력산업인 ICT의 역할이 중요한 한 해"라며 "수출 중심의 대한민국 경제가 지속 발전하기 위해 ICT 수출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고, 정부는 민간의 수출 활성화에 대한 건의사항 등을 적극 청취해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