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경제활력민생특위 첫 회의… "국정 책임지는 여당은 달라야"
국민의힘이 21일 민생경제 안정을 위해 '경제활력민생특위'를 발족했다. 국민의힘은 특위를 통해 노인 대책, 1인 가구, 주거 취약 계층 등 약자를 위한 정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12·3 비상계엄 사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 및 체포·구속으로 인해 돌아선 중도층을 공략하기 위함으로 보인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경제활력민생특별위원회' 1차 전체회의에 참석해 "대한민국은 정치적 격변기를 지나고 있고, 민생 경제는 이루 말할 수 없이 힘들다"며 "경제 회복을 위한 골든 타임을 놓쳐선 안 된다"고 했다. 권영세 위원장은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국가에 대한 미래 없이 그저 전국민에 무차별적으로 현금을 살포하는 포퓰리즘 정책만 외쳐대고 있다"며 "국정을 책임지는 국민의힘은 다르고 달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민주당과 비교했을 때 '그래도 정책은 보수가 낫다'는 이미지를 줘서 국민들의 마음을 녹여줄 필요가 있다"며 "경제, 산업, 복지, 청년 각 부분에 전문가들이 오셔서 새로운 발상으로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향후 특위에서는 노인, 1인가구 취약계층 중심의 민생 대책이 만들어진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장기적인 내수 경기 침체, 부동산 문제, 청년 일자리 문제, 서민 금융 문제를 같이 논의하고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다"면서 "이번주에 야당과 만나 미래 먹거리 4법을 타결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서로 절충하고 협의하면서 2월 임시국회에서 통과시킬 법안을 조율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특위 위원장으로는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이 임명됐다. 부위원장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여당 간사인 박수영 의원이 맡는다. 윤희숙 위원장은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총리실 안에 사회적 고립과 단절, 외로움을 다루는 대책단을 꾸려서 재원과 조직을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위원장은 "우리나라는 굉장히 생산성이 높은 나라가 돼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그늘진 곳을 없애는 것이 중요하고 통합 어젠다(의제)가 필요하다"며 "이 부분이 새롭지만 굉장히 깊숙히 들어온 사회적 아픔이라고 생각해 외로움과 고립, 단절에 관한 어젠다를 던지는 것에 의원들과 많은 얘기를 나눴다"고 설명했다. 이어 "우리나라가 단절된 사회가 되고 있다는 관심 자체가 너무 적다"며 "예를 들어 영국은 외로움 부처를 신설했고, 일본도 고립부라는 장관을 새로 만들었다"고 강조했다. 윤 위원장은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정책인가'라는 취재진의 질문에 "정치 스케줄과는 관계없다"며 "특위는 당의 정신을 새롭게 하고, 시대에 맞는 시대의 급소를 찾아내려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민생경제 관련 구체적인 대책이 필요한 것 아니냐'는 취지의 질문엔 "그건 일종의 고정관념이 아닐까 한다"며 "경제적 기반이 실제로 무너지는 문제와 어떻게 다시 강화할지에 대한 문제는 설 연휴가 지난 이후에 더 추가될 것"이라고 했다. 특위 부위원장인 박수영 의원은 "이것이 보수정당의 어젠다라고 생각하지 않는 분들도 있겠지만, 약자와 고립, 은둔 청년과 어르신 등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정책을 만들면 경제적인 측면에서 우리 사회 전체의 생산성이 올라가는 부분이 있다"고 부연했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