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막 올린 '대구 치맥 페스티벌'…무더위에도 인산인해
'대프리카'의 찜통 더위와 높은 습도도 '대구 치맥 페스티벌'로 향하는 시민들의 발걸음을 막을 순 없었다. '2022 대구 치맥 페스티벌'은 6일 대구 두류공원 일대에서 막을 올렸다. 올해 페스티벌은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3년만에 치러졌다. 그래서인지 남녀노소 연령을 불문하고 수많은 시민이 현장을 찾았다. 개막식은 오후 7시 30분이었지만, 세시간 전부터 두류공원 인근은 시민들로 북적였다. 고온다습한 날씨에도 현장은 활기가 넘쳤고, 그야말로 축제 분위기가 한창이었다. 올해 10주년을 맞은 '대구 치맥페스티벌'은 ㈔한국치맥산업협회에서 주최하는 대표 여름먹거리축제다. 대구는 '치킨의 성지'로 통한다. '멕시카나', '교촌', '호식이두마리' '땅땅치킨' 등 한번쯤은 들어봤을 치킨 브랜드들이 탄생한 곳이기 때문이다. 대구 치맥페스티벌은 매해 100만명의 관람객이 다녀갈 정도로 전국적으로 유명해졌다. 올해 축제에는 치킨 프랜차이즈 100여개 업체가 참여해 부스를 운영한다. 두류야구장 메인 무대 앞은 치맥을 즐길 수 있는 테이블과 좌석이 마련됐는데 일찍부터 축제현장을 찾은 시민들로 이미 발디딜 틈이 없었다. 두류야구장 중앙에는 'OB맥주 카스(CASS) 부스'가 위치했다. 카스는 2014년부터 7년 연속으로 페스티벌에 참여해왔으며 올해 메인 스폰서로 참여한다. 관람객들은 행사장 곳곳에 배치된 카스 존에서 무더위를 피할 수 있고, 카스 생맥주와 함께 다양 한 이벤트를 즐길 수 있다. 현장에서 쓰이는 맥주컵은 친환경 생수 브랜드 '아임에코'와 협업해 제작한 생분해성 플라스틱 컵이어서 그린 페스티벌의 의미를 더한다. 8일과 9일은 '카스 브랜드 데이'로 지정돼 릴보이, 더콰이엇, 빅원 등 유명 힙합 아티스트와 DJ가 출연해 시원한 공연을 선보인다. 카스 부스에 마련된 테이블에서는 시민들이 치맥을 즐겼다. 친구들과 현장을 찾은 A(26)씨는 "경산에서 오느라 회사에는 반차를 내고 왔다"며 "오랜만의 축제라 이 자체만으로도 너무 즐겁고, 앞으로 지역 축제가 더욱 많이 열렸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가족과 함께 온 주부 B 씨는 "주말에는 사람이 더 많을 것 같아 일부러 피해서 왔는데 개막식이라 그런지 사람이 진짜 많다"며 "다시 축제가 열려서 다들 기뻐하는 것 같다. 자영업자들도 이번 축제를 통해 힘을 내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번 페스티벌을 위해 대구시는 기존에 몽골텐트 형태로 조성된 부스를 컨테이너 형태로 전면 교체했다. 관람객 통행 환경을 개선하고 내부 조리 환경을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다. 카스 부스를 중심으로 늘어선 치킨 부스에는 치킨을 구매하기 위한 사람들로 가득했다. 행사장에 올려퍼지는 EDM 음악에 맞춰 리듬을 타는 사람들도 있었다. 교촌치킨은 대구 치맥 페스티벌에서 미리 신메뉴를 공개했으며, 교촌 수제맥주(한라산, 백두산, 금강산)도 함께 판매해 고객들의 즐거움을 더했다. 개막식 행사 도중 소나기가 내렸지만, 시민들은 개의치 않고 비옷을 입거나 비를 그대로 맞으며 축제를 즐겼다. 행사는 저녁 늦께까지 계속됐다. '10주년 기념 개막식'에는 드론쇼, 치맥 건배 행사 등이 진행됐고, 개그맨 박명수가 홍보대사로 참여해 직접 만든 치맥송 '치맥FLEX'를 선보였다. 소진세 한국치맥산업협회장 겸 교촌에프앤비㈜ 회장은 "코로나19로 지친 국민의 심신을 위로하고 축제를 통해 더욱 활기찬 일상으로 회복할 수 있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며 "3년 만에 열리는 축제에 고객 여러분들이 보다 안전하게 즐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했다. 대구 치맥 페스티벌이 전 세계에 한국 문화를 알리는 글로벌 축제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