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로 풀어보는 산업이슈] 5G 데이터 전송 지름길, MEC
SK텔레콤 이종민 테크이노베이션그룹장이 화상으로 MEC 협력 관련, ITU-T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SK텔레콤 5세대(5G) 이동통신 시대가 열리며 이동통신사들이 5G 핵심 기술인 '모바일 에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이하 MEC)' 기술 개발과 글로벌 협력에 나서고 있다. MEC 기술은 일명 무선 데이터 전송 '지름길'을 만들어 자율 주행, 스마트팩토리, 클라우드 게임 등의 신규 서비스의 성능을 높인다. 최근 SK텔레콤은 통신 분야 표준을 정하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산하기관 ITU-T회의에서 제안한 MEC 연동 플랫폼 기술이 국제 표준화 과제로 채택됐다고 밝히기도 했다. MEC는 모바일 등 단말 기기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가까운 곳에 설치한 소규모 데이터센터를 통해 관련 현장이나 가까운 거리에서 실시간으로 처리해 전송 구간을 줄이는 기술이다. 기존에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데이터가 기지국과 교환국을 거쳐 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센터에 도착하느라 전송 기간이 비교적 긴 편이었다. 모바일 에지 컴퓨팅은 스마트폰에서 나온 데이터가 바로 기지국·통신국사에서 처리돼 돌아온다. 물리적인 시간과 거리를 획기적으로 줄여 5G 시대에 지름길을 마련하는 셈이다. 실제 5G 시대에서는 기존 기지국이 분산된 클라우드 센터로 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MEC는 5G 시대에 가상화 된 컴퓨팅, 네트워킹 자원을 공유하는 기술이다. 특히 고도의 분산 컴퓨팅 환경을 제공해 실시간으로 무선·네트워크 정보를 얻어 모바일 이용자들에게 개인화된 서비스를 가능케 한다. 모바일 에지 컴퓨팅 구조. / SK텔레콤 5G 네트워크의 특성은 초고속·초연결·초저지연으로 요약된다. 5G 시대 핵심 기술인 MEC는 이 중 초저지연을 구현하는데 '키'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5G 시대의 새로운 서비스와 이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5G를 위한 MEC 기술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MEC는 새로운 생태계와 가치 사슬을 제공한다. 향후 MEC 산업 표준과 플랫폼 도입은 네트워크 사업자, 제조업체, 서비스 업체 등에 새로운 수익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에서는 MEC가 다양한 사업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보고 기술 개발, 협력 등에 나서고 있다. 가령 MEC를 스마트팩토리에 적용하면, 5G로 구동되는 다양한 로봇의 응답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즉각적인 반응 속도가 필수적인 자율주행에서도 위험 정보 전파 등에 활용될 수 있고, 사물인터넷(IoT) 게이트웨이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다만, MEC가 5G 네트워크 환경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가상화 플랫폼 제공, 보안, 서비스 연속성 등 기술적 개발과 한계를 해결해야 한다. 이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통신사와의 협력에도 나서고 있다. 지난 16일 SK텔레콤에서 제안한 5G MEC 연동 플랫폼 관련 기술은 국제표준화 과제로 채택됐다.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5G MEC 연동이 가능해지면 소비자는 지역이나 이용 통신사에 구애받지 않고 5G MEC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1일 GSMA 및 도이치텔레콤, EE, KDDI, 오렌지, 텔레포니카, 텔레콤 이탈리아, 차이나 유니콤, 싱텔, NTT도코모 등 9개 글로벌 통신사와 5G MEC 연동에 대한 실증 연구 그룹 '텔레콤 에지 클라우드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한 바 있다. KT도 스페인, 호주, 중국 대표 통신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특정 이용자가 만들어낸 콘텐츠를 전세계 5G 에지로 전송하는 기술 검증에 성공했다. KT는 텔레콤 에지 클라우드 태스크포스에서도 협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MEC는 초저지연 서비스 제공을 가능케 하는 5G 시대의 핵심 기술"이라며 "이동통신사들은 5G MEC 생태계 확장을 위해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김나인기자 silkni@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