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45개월來 최저 1.3%...배추·무는 50%대 급등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3% 오르는 데 그치면서 2개월째 1%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는 4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 폭이다. 다만, 배추·무가 50% 넘게 오르는 등 채소류 가격은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해 15%대의 상승 폭을 보였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에 비해 1.3% 올랐다. 올해 4월부터 5개월 연속으로 2%대를 이어오다가 9월(1.6%)에 1%대로 떨어진 뒤 두 달 연속 1%대 낮은 상승률이 이어졌다. 이달 9월 물가상승은 2021년 1월(0.9%) 이후 3년9개월 만에 최소 폭을 나타냈다. 품목별로, 석유류(-10.9%)가 10%대의 내림세를 보이며 물가 안정세를 이끌었다. 2023년 7월(-9.5%) 이후 15개월 사이 최대 하락 폭이다. 석유류 물가는 전월 마이너스로 전환 이후 2개월 연속 내렸다. 지난달 석유류 가격은 전체 물가를 0.46%포인트(p) 끌어 내렸다. 과일류도 내렸다. 신선과실 물가가 전년보다 10.7% 떨어졌는데, 품목별로 사과(-20.0%), 포도(-6.5%) 등이 크게 하락했다. 이에 반해, 채소류는 15.6% 급등하면서 2년 만에 최대폭을 기록했다. 특히, 김장재료인 배추(51.5%)와 무(52.1%)가 크게 상승했다. 상추(49.3%), 호박(44.7%), 토마토(21.3%) 등이 크게 오르면서다. 채소류는 이번 달 물가를 0.25%p 끌어올렸다. 통계청 관계자는 "채소가 1년 전보다 가격이 높은 건 맞지만 전월에 비해서는 전체적으로 내려가고 있는 추세"라고 밝혔다. 또 두 달 연속 1%대 물가를 기록한 이유에 대해서는 "석유류의 하락이 가장 큰 영향을 줬다. 과일 하락도 영향이 컸다"며 "채소와 외식 물가는 상승 폭이 확대됐지만 석유류랑 과실의 하락 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서비스 가격은 2.1% 올랐다. 개인서비스가 2.9% 올랐고 이 가운데 외식 가격도 같은 수준 올랐다. 개인서비스 물가는 보험서비스료(15.1%), 공동주택관리비(4.2%), 구내식당식사비(4.0%). 치킨(5.2%) 등에서 오름세를 보였다. 한편, 이날 김범석 기획재정부 제1 차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주재하고, "석유류 가격이 하락하고 농축수산물도 1%대로 둔화되는 등 하향 안정세가 공고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