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등 오프라인 유통매출 4개월만에 증가 전환… 물가상승·고가품 중심 매출 확대
5월 주요유통업체 매출 16.1조원 … 전년동월 대비 7.0% 증가 온라인 매출 13.0% ↑… 온라인 비중 53.1%로 확대 온라인 유통업체 매출이 지속 성장하는 가운데, 물가상승과 맞물린 구매단가 상승, 명품 등 백화점 고가품 중심 매출 확대 영향으로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이 4개월 만에 증가 전환했다. 2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25년 5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은 16조1000억원으로 전년동월(15.1조원) 대비 7.0% 증가했다. 온라인 매출이 두 자릿수 성장세를 지속한 가운데, 3개월간 내리막이던 오프라인 매출도 전년동월 대비 0.9% 성장으로 돌아섰다.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은 방문고객 수는 감소했으나 구매단가 상승으로 매출 증가를 달성했다. 전체 구매건수는 2.8% 감소했으나, 구매단가가 3.8% 상승하면서 매출 증가를 견인했다. 실제로 대형마트(0.2%), 백화점(2.3%)은 지난해 5월에 비해 휴일 수가 1일 늘었음에도 방문고객(구매건수)은 감소한 반면, 물가 상승, 고가품 중심 매출 확대로 1회 방문 시 구매액이 증가해 지난 1월 설 특수 이후 첫 플러스를 기록했다. 반면, 편의점 매출은 0.2% 감소하며 2개월 연속 역성장을 보였다. 준대규모점포(SSM)는 1.0% 증가하며 3개월 연속 성장세를 이어갔다. 온라인 부문에서는 음식 배달, e-쿠폰, 여행, 문화 상품 등 서비스 분야가 37.3% 급성장하며 전체 온라인 매출 증가를 주도했다. 식품 부문도 18.2% 증가하며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 상품군별로 보면, 오프라인에서는 주얼리·시계류 등 명품이 8.1% 증가했고 식품은 1.0% 소폭 상승했다. 반대로 가전/문화(-7.8%), 아동/스포츠(-2.5%), 패션/잡화(-3.7%) 부문 부진은 지속됐다. 업태별 매출 비중에서는 온라인이 53.1%를 차지하며 전년 동월(50.2%) 대비 2.9%포인트 증가했다. 오프라인 점포 수는 전년 동월 대비 0.6% 감소한 4만9924개로 집계됐다. 백화점(-5.0%), 대형마트(-1.6%), 편의점(-0.6%) 모두 감소한 가운데 SSM만 3.1% 늘었다. /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