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스포츠
기사사진
쇼트트랙 손하경, 동계U대회 3관왕…韓 종합 3위 유지

제28회 알마티 동계유니버시아드에 출전한 한국 선수단이 금메달 3개와 은메달 1개를 추가하면서 종합 3위를 달리고 있다. 쇼트트랙에 출전한 손하경(22, 한국체대)은 8일(한국시간)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열린 대회 쇼트트랙 여자 1000m에서 1분33초858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손하경은 김아랑(22), 노도희(22, 이상 한국체대), 황현선(24, 전북도청)과 함께 출전한 여자 3000m 계주에서도 4분13초630를 기록, 중국(4분13초808)을 제치고 가장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지난 6일 여자 1500m에서 쇼트트랙 첫 금메달을 수확한 손하경은 이로써 이번 대회 3관왕에 올랐다. 현재 대회 3관왕에 오른 선수는 손하경을 비롯해 크로스컨트리 릴라 바실레바(러시아, 금3·은2), 스키점프 이와사 하루카(일본, 금3) 등 3명이다. 쇼트트랙 남자 1000m 결승에서는 임경원(24, 화성시청)이 1분28초024를 기록하며 대표팀 후배 박지원(21, 단국대·1분28초051)을 제치고 우승했다. 남자 5000m 계주에 출전한 한국은 결승에서 중국에 이어 2위로 결승선을 통과했지만 실격처리되면서 무관에 그쳤다. 이날 금메달 3개와 은메달 1개를 추가한 한국은 금메달 11개, 은메달 5개, 동메달 5개로 러시아(금 27·은 26·동 15)와 홈팀 카자흐스탄(금 11·은 7·동 16)에 이어 종합 3위를 달리고 있다. 대회 마지막날 크로스컨트리 남자 30㎞ 매스 스타트와 아이스하키 준결승과 결승 만을 남겨두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사실상 종합 3위를 확정했다.

2017-02-08 17:45:59 김민서 기자
기사사진
메트로신문 스포츠 한줄뉴스

▲박성현이 다음 달 2일부터 나흘간 열리는 HSBC 위민스 챔피언스에서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데뷔전을 치른다. ▲왕정훈이 유럽프로골프(EPGA) 투어 '메이뱅크 챔피언십'(총상금 300만 달러)에 출전한다. ▲손하경이 제28회 알마티 동게유니버시아드 쇼트트랙 여자 1000m에서 1분33초858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로써 한국은 종합 메달 순위 3위를 굳혔다. ▲프로농구 베테랑 센터 김주성(동부)이 과거 두 차례 아시안게임 금메달로 수령한 연금을 지역 장애아동을 위해 기부한다. ▲프로농구 창원 LG 김종규가 2016-2017 KCC 프로농구 4라운드 최우수선수(MVP)로 뽑혔다. ▲한국 사이클 대표팀이 아시아선수권대회 단체추발 본선에서 한국 신기록을 세웠다. 임재연·박상훈·김옥철·민경호로 구성된 남자 대표팀은 4분1초835의 기록으로 은메달을, 여자 대표팀 김유리·이주미·손은주·강현경은 4분31초159 기록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크로스컨트리 유망주 김마그너스가 9일 개막하는 동계체전에 출전한다. ▲2017피파20세월드컵조직위원회(이하 조직위)가 'FIFA U-20 월드컵 코리아 2017' 개막을 100일 앞두고 슬로건 스티커 증정식 행사 등 본격적인 홍보 활동을 시작했다. ▲경기 도중 파울을 범한 프로농구 안양 KGC인삼공사 이정현과 원주 동부의 김주성이 KBL로부터 각각 제재금 70만원의 징계를 받았다. ▲미국프로농구(NBA) 샬럿 호니츠가 올 시즌 NBA 최저 승률 팀인 브루클린 네츠를 111-107로 꺾으며 7연패의 수렁에서 탈출했다.

2017-02-08 15:15:22 김민서 기자
기사사진
'송가연vs정문홍' 성희롱 논란, 네티즌 "사실이라면 XXX…양쪽 입장 들어야"

로드FC 파이터 송가연이 소속사 대표 정문홍을 향해 성적모욕을 했다고 주장한 가운데 네티즌들이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최근 송가연은 잡지 '맥심 코리아'와의 인터뷰를 통해 자신이 로드 FC로부터 성적모욕을 당했다고 밝혔다. 인터뷰에서 송가연은 "성적인 모욕이나 협박을 받고 수치심을 느껴가면서까지 그 단체에 있어야 할 이유를 모르겠더라"고 운을 뗐다. 이어 "정문홍 대표의 협박이나, 그 안에서 제가 겪은 부당한 처우나 그런 게 없었으면 저는 지금도 참고 잘 지냈을 것이다"라며 "제 성관계 여부를 정문홍 대표가 물어본다든가, 그걸 빌미로 협박하거나 악의적인 언론 플레이를 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또 "세상에 어느 회사, 단체 대표가 전화로 '야 너 걔랑 했냐, 안 했냐'를 물어볼까요?"라며 "'첫경험 언제 했냐' 뭐 이런 거 물어보고 한번은 사람들 앞에서 '니네가 쟤랑 자든 말든 나는 상관 안 해'라고 말하기도 했다"고. 덧붙여 "때 스물한 살이었다. 너무 수치스럽고 역겨웠다. 너무 힘들어서 공황장애까지 생겼었다"고 목소리 높였다. 하지만 이와 관련 정문홍 측은 아직까지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는 상태다. 네티즌들은 이에 대해 "양쪽이야기 전부 들어봐냐 할듯 ..", "정문홍 애기도 들어봐야제"라고 반응하거나, "이게 사실이라면 정문홍 진짜 OOO이다", "저게 사실이면 정말 쓰X긴데...", "진작에 알아봤지만 이정도로 양아치일줄은 몰랐네"라고 다양하게 반응했다.

2017-02-08 15:14:40 온라인뉴스팀 기자
기사사진
평창올림픽 'D-365' 카운트다운 시작됐다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이 1년 앞으로 다가왔다. 평창동계올림픽은 2018년 2월 9일부터 25일까지 총 17일간 강원도 평창, 강릉, 정선 3개 지역 12개 경기장에서 분산 개최된다. 이번 올림픽에는 100여 개국이 참가해 총 15개 종목에서 메달을 두고 경쟁을 벌인다. 한국은 7개 종목에 130여 명의 선수들이 출전할 계획이다. 지난 2010년 밴쿠버동계올림픽에서 역대 최고 순위인 종합 5위를 차지했던 한국은 이번엔 메달 20개(금 8·은4·동4)를 수확해 종합 4위를 목표로 한다. 안방에서 펼쳐지는 대회인 만큼 기대는 높다. 현재 12개 경기장의 완공률은 95%에 도달했다. 모든 경기장의 공사는 10월 중 마무리되며, 11월부터 본격적인 올림픽 준비에 돌입할 계획이다. 문화체육관광부, 강원도, 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이번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교통·숙박시설 개선 및 확보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올림픽 기간동안 신속하고 안전한 수송 서비스를 위해 특별교통대책을 수립, 각급 유관기관 및 전문가들의 참여를 통해 최적의 계획안을 고안 중이다. 더불어 지난 3일부터 시작된 테스트이벤트를 통해 시설물과 전반적인 대회 운영 능력 점검에도 나섰다. 이번 테스트이벤트에는 전세계 90여 개국 선수들이 참여하며, 4월까지 20여개 대회가 펼쳐진다. 아울러 강원도는 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한 발판으로 각종 페스티벌을 개최한다. 지난 3일 시작된 '평창비엔날레&강릉신날레2017'는 5일간 총 8만5000여 명의 관광객을 운집시켰다. 오는 26일까지 진행된다. 또한 9일부터 'G-1 페스티벌'을 개최, 각종 문화공연부터 '경포세계불꽃축제' 등 연계페스티벌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선보일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올림픽 분위기를 최대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다. 개막식은 9일 오후 6시 30분부터 시작되며 지상파 3사에서 생중계된다.

2017-02-08 14:24:22 김민서 기자
기사사진
[평창D-365①]'당신이 평창입니다' 30년 만의 올림픽, 준비는 이미 끝났다

'눈과 얼음의 축제' 평창동계올림픽이 1년 후인 2018년 2월 9일 화려한 막을 올린다. 강원도 평창, 강릉, 정선 일원에서 펼쳐지는 동계올림픽의 현 준비 상황 및 미리 보는 관전 포인트 등을 정리한다.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이 1년 앞으로 다가왔다. 정확히 1년 뒤 전세계인의 눈과 귀가 대한민국에 집중된다. 1988년 서울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이끌었던 한국이 이번엔 '설원의 고장' 강원에서 또 한 번의 기적을 이룰 준비를 마쳤다. 평창올림픽은 2018년 2월 9일부터 25일까지 총 17일간 강원도 평창, 강릉, 정선 일원 12개 경기장에서 분산 개최된다. 이번 올림픽은 1998년 일본 나가노동계올림픽 이후 20년 만에 아시아에서 개최되는 3번째 동계올림픽이자, 30여년 만에 국내에서 열리는 올림픽이다. 이번 대회에는 동계올림픽 역사상 최다 금메달이 걸려있다. 100여 개국이 참가해 총 15개 종목에서 102개의 금메달을 놓고 대결한다. 한국은 역대 최대 규모의 선수단을 파견한다. 7종목에 130여 명의 선수들이 출전을 예고했고, 메달 20개(금메달 8, 은메달 4, 동메달 4)를 수확해 종합순위 4위 달성을 목표로 한다. 국내에서 열리는 오랜만의 큰 잔치인 만큼 문화체육관광부, 강원도, 평창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성공 개최'를 가장 큰 목표로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이미 지난 3일부터 테스트이벤트를 개최, 시설물과 전반적인 대회 운영 능력 점검에 나선 상태다. 전 세계 90여 개국의 선수들이 참가한 이번 테스트이벤트는 이달에만 9개 경기가 예정돼 있다. 이후 4월까지 동계올림픽·패럴림픽 테스트이벤트 17개 대회가 열리며, 비경쟁·비경기 테스트이벤트도 각 2개씩 4개 대회가 치러진다. 조직위는 테스트이벤트를 이번 올림픽의 초석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교통·숙박시설 개선 및 확보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올림픽 기간 동안 신속·안전한 수송 서비스를 위해 특별교통대책을 수립, 각급 유관기관 및 전문가들이 참여해 최적의 계획안을 고안 중이다. 12개 경기장의 완공률도 현재 95%를 넘었다. 모든 경기장의 공사는 10월 중 마무리되며, 11월부터는 본격적인 올림픽 준비에 돌입한다. 무엇보다 모든 경기장의 이동 거리를 30분 이내로 확보하며, 역대 올림픽 역사상 가장 효율적인 경기장 구성을 마쳤다. 선수 및 관람객의 이동을 최소화하겠다는 목표다. 평창은 지난 2011년 7월 7일, 3수 끝에 올림픽 개최지로 확정됐다. 두 번의 고배를 마신 뒤 얻어낸 값진 결과인 만큼, 조직위 등은 이번 대회를 통해 국격을 한 단계 높이겠다는 각오다. 1년 전만해도 경기장·도로 등 확충 공사로 어수선하기만 했던 평창은 1년 만에 제 모습을 갖추며 침체됐던 올림픽 분위기를 되살리고 있다. 국민의 관심도 차츰 고조되고 있다. 지난 3~5일 열린 국제스키연맹 크로스컨트리 월드컵 및 2017 FIS 노르딕 복합 월드컵 테스트이벤트에는 영하 10도의 날씨에도 불구하고 3일간 8300여 명의 관람객이 참여했다. '썰렁한 올림픽'이라는 지적에서 벗어난 평창올림픽이다. 이제 남은 것은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것뿐이다. 평창올림픽이 전국민, 전세계인의 통합의 장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2017-02-08 13:42:40 김민서 기자
기사사진
[평창D-365②]안방서 금빛질주…태극전사, 불모지를 뚫어라

2018평창동계올림픽에서 한국의 목표는 역대 최고 메달 순위 달성이다. 한국은 평창올림픽에서 메달 20개(금메달 8, 은메달 4, 동메달 4)를 수확해 종합 순위 4위를 달성하겠다는 각오다. 한국은 지난 2010년 밴쿠버동계올림픽에서 역대 최고 성적인 5위(금메달 6개·은메달 6개·동메달 2개)를 달성한 바 있다. 불가능한 목표는 아니다. 전통 메달밭인 빙상종목에서 심석희, 최민정, 이상화, 이승훈 등이 맹활약 중이고, 불모지로 꼽히던 썰매·설상 종목에서 원윤종·서영우 등이 두각을 드러내며 메달 가능성을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효자종목' 쇼트트랙 쇼트트랙은 한국의 효자종목으로 꼽힌다. 역대 올림픽 메달 53개 중 42개가 쇼트트랙에서 나왔고, 금메달 26개 중 21개가 쇼트트랙의 활약으로 얻은 수확이었다. 평창올림픽 쇼트트랙에서도 메달은 한국의 차지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심석희(20·한국체대)와 최민정(19·서현고) '쌍두마차'가 든든히 버티고 있기 때문이다. 심석희는 2014소치동계올림픽에서 금·은·동 각각 1개씩을 수확하며 쇼트트랙 '여제'로 떠올랐다. 이후 잠시 주춤했지만 최근 다시 기량을 회복하며 메달 선두권을 휩쓸고 있다. 2016-2017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쇼트트랙 월드컵 1-4차 대회에서 2관왕에 오른 그는 1500m 금메달 획득은 물론, 여자 대표팀 3000m 계주 우승을 견인했다. 최민정은 평창올림픽을 통해 올림픽에 첫 출전한다. 심석희와 함께 월드컵 1-4차 대회 2관왕을 차지했고, 1000m·1500m·500m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더불어 지난해와 올해 세계선수권대회에서 2년 연속 종합우승을 차지하며 쇼트트랙 메달 기대주로 우뚝 섰다. 남자 대표팀 또한 이번 올림픽에서 부활을 꿈꾼다. 이정수(28, 고양시청)가 월드컵 3,4차 대회 1500m 금메달을 차지하며 기대를 높이고 있다. ◆스피드스케이팅 이상화·이승훈·김보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들은 2010밴쿠버올림픽에서 한국에 금메달 3개를 보탰다. 따라서 평창에서도 메달 확보가 기대된다. 여자 단거리 최강자로 꼽히는 '빙속 여제' 이상화는 평창올림픽에서 500m 3연패에 도전한다. 그가 2013년 세운 여자 500m 세계기록(36초36)이 여전히 깨지지 않고 있다. 2016-2017시즌 부상으로 잠시 주춤했던 이상화는 오는 9일부터 12일가지 열리는 평창올림픽 테스트이벤트로 열리는 세계종목별선수권대회 및 삿포로 동계아시안게임에 출전해 건재함을 과시할 계획이다. 이승훈(29·대한항공), 김보름(24·강원도청)은 매스스타트의 가장 강력한 우승 후보다. 남녀 매스스타트 월드랭킹 1위에 올라있는 두 사람이 금메달을 목에 걸 수 있을 지 귀추가 주목된다. ◆설상·썰매 '불모지'는 옛말 한국 설상과 썰매는 지금까지 메달 근접권에도 들지 못했던 불모지로 꼽혔다. 그러나 대회를 1년 앞둔 현재 한국 썰매는 빙상에 버금가는 메달 기대주로 떠올랐다.봅슬레이 원윤종(32·강원도청)·서영우(26·경기도BS경기연맹)는 지난해 2015-2016 월드컵 5차대회에서 우승하며 세계랭킹 1위에 올랐다. 더불어 봅슬레이 4인승에서도 16개팀 중 5위에 랭크되며 부쩍 오른 기량을 드러냈다. 스켈레톤 윤성빈(23·한국체대) 역시 지난 두 시즌 동안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스켈레톤 절대강자 마르틴스 두쿠르스(33·라트비아)와 랭킹 1위를 다투고 있다. 최근에는 월드컵 1-4차 대회에서 금·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 밖에도 알파인 스키 정동현(29·대한스키협회)이 톱10 진입을 목표로 훈련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최근 발군의 성적을 보여주고 있는 막내 김동우(22,·대한스키협회)에게도 기대가 모인다. 또 스노보드 이상호(21·한국체대), 크로스컨트리 김마그너스(19) 등이 주목할 만한 선수로 떠오르고 있다.

2017-02-08 13:42:10 김민서 기자
기사사진
[평창D-365③]'평창을 울려라' 강원의 힘, 페스티벌의 향연

'당신이 평창입니다(It's you, PyeongChang)' 2018평창동계올림픽 개최지인 강원도가 각종 페스티벌로 올림픽 성공 개최를 위한 발판을 마련한다. 강원도는 지난 3일부터 '평창비엔날레&강릉신날레2017'를 개최, 진행 중이다. 오는 26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행사는 3~5일간 총 8만5000여 명의 관람객을 운집시키며 성공적인 개최를 알렸다. 이와 함께 강원도는 'G-1년 페스티벌'을 개최, 각종 문화공연부터 연계 페스티벌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올림픽 분위기를 최대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9일 개막하는 'G-1 페스티벌'에는 도내 18개 시군 공연단 및 전국 시도 공연단, 5개 국립예술단, 외국 공연단 등 55개 국내외 공연단이 참여해 공연을 선보인다. 아울러 서울시, 경기도, 한국관광공사 등 각 시도 및 각급 기관단체도 동참한다. 개막식부터 화려하다. 강릉하키센터에서 9일 오후 6시 30분부터 2시간 동안 열리는 개막식에서는 G-1년 퍼포먼스와 성화봉 공개, 평창 플래시몹 댄스, 2018명으로 구성된 올림픽 대합창, K-팝 콘서트 등이 최첨단 기술과 결합해 펼쳐질 예정이다. 페스티벌의 주축은 55개 문화예술공연이다. 9일부터 19일까지 강릉 올림픽파크(특설무대·15개 공연), 해람 문화관(강릉 원주대학교·21개 공연), 단오 문화관(강릉 노암돔·16개 공연) 등에서 매일 진행된다. 연계 페스티벌도 진행된다. 국내 첫 불꽃경연대회인 경포세계불꽃축제는 오는 11일 오후 7시부터 시작되며 한국·중국·일본·스페인 등 4개국이 참여한다. 관람객은 10만 명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8일 용평돔에서 펼쳐지는 K-드라마 인 평창은 한국관광공사와 강원도, 서울시, 경기도가 공동 개최한다. 이 밖에도 평창겨울국제음악제가 15일부터 강릉올림픽파크 특설무대에서 열린다. 테스트 이벤트도 꾸준히 예정돼 있다. 9일~12일까지 열리는 스피드스케이팅 경기를 시작으로 16일부터 19일까지 피겨, 16일부터 26일까지 컬링이 강릉에서 펼쳐진다. 또 평창에서는 스노보드, 스키점프, 루지 등 경기가 진행될 예정이다. 최문순 지사는 "강원 방문의 해를 선포해 평창올림픽 손님맞이 준비를 차질 없이 진행하고, 국내외에서 올림픽 붐을 일으키겠다"고 말했다.

2017-02-08 13:39:09 김민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