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 보광사 대방, 경기도 등록문화유산 지정 예고… 조선후기 사찰 건축의 정수
경기도가 파주시 광탄면에 위치한 '파주 보광사 대방'을 경기도 등록문화유산으로 등재 예고했다. 공고 기간은 오는 4월 27일까지며, 이후 최종 등록 절차를 거쳐 공식 지정될 예정이다. 보광사 대방은 1869년(고종 연간) 중건된 건물을 모태로 하며, 1913~1914년 부분 수리 이후 현재의 형태로 보존되고 있다. 대방은 부엌(현재 종무소), 소방, 대방, 마루, 누각이 결합된 T자형 복합 평면구조로, 정면 9칸, 동측 8칸, 서측 4칸 규모의 대형 목조 건물이다. 초기에는 '누방'으로 불렸으며, 20세기 초에는 '염불당'으로 불렸다. 현재 누마루에는 '만세루(萬歲樓)'라는 편액이 걸려 있고, 승방에는 조선 영조의 친필로 알려진 '고령산보광사(高靈山普光寺)' 편액도 남아 있다. 건축 전문가들은 "대방(大房) 양식은 조선 후기 서울·경기 지역 왕실 후원 사찰에서 유행하던 형식으로, 정토 염불 사상이 성행했던 근대 불교의 수행 방식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며, "불단을 대웅보전으로 삼아 염불 수행을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복합형 수행 공간"이라 설명했다.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누하에 걸린 정교한 채색 조각의 '목어(木魚)'로, 보광사를 찾는 이들의 감탄을 자아내고 있다. 유초자 고양시 문화예술과장은 "현대적 활용성을 위해 일부 공간이 종무소와 보일러실로 사용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19~20세기 초 건축 원형이 잘 보존돼 있다"며, "등록문화유산 지정으로 활용성과 보존 가치 사이의 균형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파주 보광사 대방은 이번 등록을 통해 역사적 건축유산으로서의 위상을 갖추게 되며, 향후 문화재적 가치를 기반으로 지역 문화관광 자원으로의 활용 가능성도 커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