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보배
기사사진
'메가박스' 품은 제이콘텐트리, 영화산업 지도 바꾸나

J Con, 메가박스 지분 인수…사업 확대 기대에 주가 '반등' 경쟁사 대비 직영점 1/3수준·시장 독과점 지적 '부담 요인' [메트로신문 김보배기자] 제이콘텐트리가 메가박스 지분을 인수하면서 앞으로의 영화산업 판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투자업계에선 제이콘텐트리의 미디어·영화업계 참여를 환영하며 목표주가를 올려 잡고 있다. 다만 메가박스가 시장점유율에서 CJ CGV와 롯데시네마에 밀리는데다 멀티플렉스들의 시장 독과점이 도마에 오르는 상황에서 메가박스가 뒷심을 발휘할지 여부에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제이콘텐트리는 앞서 지난 21일 메가박스의 2대주주인 한국멀티플렉스투자주식회사(KMIC)의 맥쿼리 및 연기금 보유 지분 전체(95.8%)를 1520억원에 취득한다고 공시했다. 이로써 제이콘텐트리가 보유하게 된 메가박스 지분은 약 97.9%로 인수자금은 1086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통해 마련할 계획이다. 제이콘텐트리가 메가박스 인수계획을 밝힌 다음날인 22일 이 회사 주가는 전날대비 3.47%(145원) 오른 4325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한때는 4580원까지 치솟으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올 들어 줄곧 주당 3000원대에서 등락을 거듭해온 것에 비춰보면 두드러지는 반등세다. 국내 영화산업의 올해 1분기 말 기준 시장점유율은 CGV(48.9%), 롯데시네마(29.5%), 메가박스(17.8%) 순이다. 영화계에선 이미 국내 시장을 포화상태로 보고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다. 판관비 증가에 따른 이익률 하락도 걱정이다. 더불어 이들 3대 대형극장의 시장 잠식이 입방아에 오르는 것도 부담요인이다. 영화업계의 한 관계자는 "영화사봄, 명필름 등 19개 제작사가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 멀티플렉스 사업자들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진행 중"이라며 "이들 멀티플렉스의 시장 독과점 행태, 수평 담합 등은 한국 영화계에 뿌리 깊은 문제로 심각한 시장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반면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메가박스 지배구조에 대한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며 제이콘텐트리의 목표주가를 잇달아 상향하고 있다. 김현용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메가박스는 직영점수를 올해 최소 26개에서 최대 29개까지 확대할 것"이라며 "국내 박스오피스 시장이 저성장 구간에 들어섰지만 메가박스는 배급사업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해외진출까지 도모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목표주가는 기존 4000원에서 4800원으로 제시했다. 홍세종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이번 인수 후 전체 기업가치는 6000억원으로 추정한다"며 "지배주주순이익은 2배 가까이 증가하지만 유증과 차입으로 EPS(주당순이익) 상승효과는 10% 내외"라고 설명했다. 홍 연구원은 그러면서 "향후 해외진출 및 국내 직영 전환을 통한 지속적인 기업가치 상승이 기대된다"며 목표가를 기존 4600원에서 53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김회재 대신증권 연구원은 "CGV의 직영점은 지난 2010년 58개에서 올해 5월 82개로. 롯데시네마의 직영점은 69개에서 87개로 증가했으나 메가박스 직영점은 24개에서 25개로 1개 증가에 그쳤다"며 "메가박스 경영권이 제이콘텐트리과 KMIC로 나뉘어 운영돼오며 투자에 적극적이지 않았던 결과여서 앞으로는 고마진의 영화산업의 호황을 제대로 누릴 것"이라며 목표가를 기존 5000원에서 5500원으로 올려 잡았다.

2015-05-26 08:53:49 김보배 기자
기사사진
[주간증시전망] 유동성 장세 지속…박스권내 반등 예상

[메트로신문 김보배기자] 이번주(26~29일) 코스피는 미국 경기와 유럽중앙은행(ECB) 정책 기대감의 긍정적인 조합에 힘입어 2120~2180포인트 안에서 소폭 반등이 예상된다. 미국의 경제지표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면서 금리인상 시기가 연기될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유로존의 유동성 장세가 유지될 것이란 기대가 국내 장세에 호조로 작용할 전망이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주 코스피는 주 초반 2100선에서 상승 출발해 22일 종가기준 2140선을 돌파했다. 글로벌 채권금리가 안정세를 보이면서 외국인이 코스피시장에서 강한 순매수세를 보이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이번주에는 ▲미국 1분기 GDP 수정치 발표(29일) ▲월드 IT쇼(27일)·SS코리아(27일)·구글 I/O(28일) 등 핀테크 관련 이슈 등 이벤트가 준비돼있다. 우선 앞서 발표된 미국 1분기 GDP는 0.2% 성장했으나 수정치는 0.9%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한편 미국 2분기 GDP 예상치도 시장 기대에 못 미치는 상황이다. 이에 미국 중앙은행(Fed)에서 금리 인상 시기를 연기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고승희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미국 등 주요국 경제지표가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고 있고 Fed와 ECB 위원들의 비둘기파적인 발언이 글로벌 국채 금리를 안정시키고 있다"며 "글로벌 유동성이 재차 개선되며 국내 증시에 외국인 자금 유입이 지속돼 코스피가 완만한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진단했다. 고 연구원은 이어 "업종별로는 차별화 장세 속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의료기기, 제약, IT부품, 화장품, 증권에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며 동아에스티, 오스템임플란트, 원익IPS, 솔브레인, 아모레G, 키움증권 등을 개별 관심 종목으로 추천했다. 아울러 이번주 월드 IT쇼에서는 사물인터넷·드론·스마트카드 등 제품이 선보인다, 이어 SS코리아에서는 생체인식 보안시스템, 구글 I/O에서는 안드로이드 6.0 M과 구글쇼핑 등이 공개될 예정이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의 마윈 회장이 최근 한국을 방문하면서 핀테크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지난 18일 비대면 결제 가이드라인이 발표됐고 다음달 중순 인터넷 전문은행 설립방안 발표가 예정돼 있다는 점에서 (정보통신기술)ICT 및 핀테크 관련 이슈는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ECB의 유동성 장세 유지 기조도 국내 증시에 우호적이다. 지난달 ECB의 국채매입 금액은 470억 유로로 당초 계획했던 600억 유로에 못 미쳤다. 다만 이달부터 오는 6월까지 자산매입 금액을 늘릴 계획이어서 유동성 모멘텀은 여전하다는 분석이다. 오태동 LIG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주 ECB가 추가 국채매입을 언급하면서 유럽 증시가 상승 랠리를 보였다"며 "이는 오는 7~8월 계절적 요인으로 인한 유동성 축소를 고려해 5~6월 선제적 조치에 나선 것으로, 만약 매입 대상 채권이 줄어들 경우 예치금리를 더 낮춰 매입 대상 채권 자산을 늘릴 가능성도 높다"고 내다봤다.

2015-05-25 14:30:33 김보배 기자
기사사진
KDB대우證, ELS 7종·ELB 1종 판매

KDB대우증권은 오는 22일부터 최대 연 8.64% 수익을 추구하는 ELS 7종, ELB 1종을 총 400억원 규모로 모집한다. 이번에 판매하는 '제13069회 HSCEI-EuroStoxx50 조기상환형 ELS'는 하방녹인 배리어 수준을 45%로 낮춤으로써 손실 가능 위험성을 대폭 줄인 것이 특징이다. 3년 만기 상품으로 6개월마다 자동조기상환 평가일에 모든 기초자산의 종가가 각 최초기준가격의 90%(6·12·18개월), 85%(24·30개월), 80%(36개월) 이상인 경우 연 6.20% 수익을 제공한다. 조기상환 되지 않은 경우에도 모든 기초자산의 종가가 투자 기간 중 최초기준가격의 45% 미만으로 하락한 적이 없다면 만기에 연 6.20%의 수익을 지급한다. 최근 주요 주가지수가 빠르게 상승한 이후 지수 레벨 수준에 부담을 느낀 일부 투자자들은 하방녹인 45 또는 첫번째 배리어 87 이하의 상품으로 투자를 늘리고 있는 상황이다. 4월 이후 KDB대우증권이 출시한 하방녹인 45 이하의 상품에는 397억원, 첫번째 배리어 87 이하 상품에는 802억원의 청약자금이 들어왔다. 한편 '제831회 KOSPI200 넉아웃콜옵션 원금보장형 ELB'는 원금의 101%를 보장하면서 기초자산의 만기평가 가격에 따라 최대 6.40%의 수익을 지급하는 상품이다. 이밖에 KOSPI200, 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 EuroStoxx50지수 및 S&P50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만기 3년에 최대 연 8.64% 수익률의 월수익지급식 상품과 하향계단식 조기상환형 상품들도 함께 판매한다. 이번 상품들은 오는 27일 오후 1시까지 최소 100만원부터 100만원 단위로 청약이 가능하며 상품들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KDB대우증권 전국 영업점 및 스마트상담센터(1644-3322)에서 확인 가능하다.

2015-05-22 14:14:42 김보배 기자
기사사진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스쿨' 개최

미래에셋증권은 퇴직연금 도입을 검토 중인 기업을 대상으로 '제73회 퇴직연금스쿨'을 미래에셋센터원빌딩 20층 대강당에서 지난 21일 개최했다. '퇴직연금스쿨'은 지난 2006년부터 10년째 퇴직연금제도 전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미래에셋증권의 대표적인 퇴직연금 교육프로그램이다. 이번 교육은 지난해 8월 발표된 사적연금 활성화 방안과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개정 예정에 따라 변경될 제도를 주요내용으로 진행됐다. 교육에는 총 60개 법인에서 100여명의 담당자가 참석했다. 조웅기 미래에셋증권 사장은 인사말을 통해 "이번 교육은 최근 퇴직연금 관련 제도적 이슈들과 자산운용 방안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퇴직연금 자산관리 서비스는 물론 사무처리, 가입자 교육 등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통해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연금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미래에셋증권은 퇴직연금 도입기업의 실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는 '퇴직연금 매니저스쿨', 퇴직연금 자산운용 전략을 안내하는 '퇴직연금 자산배분 세미나' 등 다양한 퇴직연금 교육 및 세미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 상담센터(02-3774-2000)로 문의하면 된다.

2015-05-22 14:13:47 김보배 기자
기사사진
키움증권, '페이스북' 기초자산 ELS·ELB 출시

키움증권은 미국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기업인 '페이스북(facebook)'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원금보장형 ELB(최대 연18.75% 수익)와 원금비보장형 ELS(최대 연14% 수익)를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제3회 글로벌 100조 클럽 ELB'는 1년 만기 원금보장형 주가연계 파생결합사채(ELB)로 '페이스북(facebook)'을 기초자산으로 삼았다. 페이스북 보통주가 1년간 1회라도 장중 또는 종가에 최초기준가격의 125%를 초과해서 상승한 적이 있는 경우에는 세전 연1%의 수익을 지급한다. 또한 한 번도 125%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최종기준가격결정일의 가격이 최초기준가보다 하락했을 경우에는 원금만을 지급하고, 최종기준가격이 최초기준가보다 높을 경우에는 최대 세전18.75%(기초자산 상승률의 75%)를 추가수익으로 지급한다. 키움증권 관계자는 "페이스북의 모바일 광고 매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원금보장형 저위험 상품임에도 추구 수익률이 높아 고객들의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기초자산이 애플과 페이스북인 '글로벌 100조 클럽 ELS'도 판매된다. '제10회 글로벌 100조 클럽 ELS'는 3년 만기 연수익 14% 추구 ELS이다. 기초자산은 애플과 페이스북으로, 발행 후 6개월마다 조기상환기회가 주어지며, 조기 상환 평가일에 모두 최초 기준가격의 90%(6개월, 1년, 1년 6개월), 85%(2년, 2년 6개월, 3년) 이상인 경우 최고 42%(연 수익률 14%)로 상환된다. 다만 만기평가가격이 최초기준가격의 60% 미만일 경우 하락률에 따라 원금 손실을 볼 수 있다. 같은 기간에 청약할 수 있는 '제511회 ELS'은 인기 지수인 HSCEI지수와 EuroStoxx5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3년 만기 조기상환형 원금비보장 ELS다. 조건 충족 시 연 수익은 13%, 낙인은 60%다. 오는 26일 오후 1시까지 100만원 단위로 청약이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키움증권 홈페이지(http://www.kiwoom.com)나 키움금융센터(1544-9100)로 문의하면 된다. 또한 '글로벌 100조 클럽 ELS 출시기념 이벤트'도 계속된다.

2015-05-21 15:25:37 김보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