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고용노동부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공모 선정
부산시는 고용노동부의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돼 7일 협약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은 광역과 기초 등 지자체 컨소시엄이 산업·경제 정책과 연계한 중장기 일자리사업을 계획·추진하고 정부가 5년간 국비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올해 4개 지자체 컨소시엄이 선정됐다. 부산시는 지난해 1월 사하구·강서구·사상구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서부산권 기계부품산업 일자리 Re-Start'라는 사업명으로 제안서를 제출, 우선협약대상 지자체로 뽑혀 3~4월 고용노동부의 컨설팅을 거쳐 최종 선정됐다. 사하구·강서구·사하구 등 서부산권 3개 자치구는 부산 제조업체 및 종사자 수의 69%, 산업단지의 79%가 집중된 지역으로 조선·자동차 산업의 장기 침체로 고용악화가 우려되고 있다. 부산시컨소시엄은 패키지 지원사업을 통해 서부산권 부품산업을 대상으로 올해부터 2025년까지 5년간 총 407억원을 투입, 6000명의 고용창출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사업 첫해인 2021년에는 81억 3000만원(국비 65억원, 시비 14억 6000만원, 사하구 5000만원, 사상구 5000만원, 강서구 7000만원)을 들여 3개 프로젝트, 9개 세부사업을 추진해 1110명의 고용을 창출한다는 목표다. 첫 해 사업내용은, 고용위기를 겪고 있는 근로자에 대해 지하철1호선 하단역 인근에 100평 규모의 '서부산권 고용안정 일자리 지원센터'를 설치, 전문 직업상담사 12명이 취업 매칭에서 컨설팅까지의 맞춤형 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부품산업의 퇴직(예정)근로자를 대상으로 심리안정·직업탐색 프로그램에서부터 맞춤형 전문기술훈련(10개 과정)을 제공한다. 또, 부품산업 기업으로 취업한 신규 취업자에게는 3개월 이상 근무시 고용장려금(300만원, 100명)을 지원한다. 특히 부품기업에 대해서는 ▲스마트공장 운영 지원(67개 사, 기업당 1200만 원) ▲수출 지원(34개 사, 기업당 2500만원) ▲근무환경개선비(24개 사, 기업당 2500만원)와 컨설팅 등을 지원하고 친환경부품산업 기업(진입 희망기업 포함)에는 제품개발, 공정개선 등에 대해 맞춤형으로 69개 사에 대해 기업당 2000만원을 지급하기로 했다. 협약식은 7일 오후 1시 10분 부산시청 1층 대회의실에서 개최되며 박형준 부산광역시장, 박화진 고용노동부 차관, 김태석 사하구청장, 노기태 강서구청장, 김대근 사상구청장 및 산학관계자 등 20여 명이 참석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을 통해 지역의 산업정책과 일자리정책이 하나의 패키지로 시너지를 발휘해 부산 제조업의 기반이 되는 서부산권 부품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선도적 모델을 부산시가 만들어 가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협약식에 앞서 오전 11시에는 김윤일 부산시 경제부시장과 박화진 고용노동부 차관 등 3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부산광역시 관광·마이스업 특별취업지원센터'의 개소식을 개최할 예정이다. 부산경제진흥원이 운영하는 부산광역시 관광·마이스업 특별취업지원센터는 고용노동부와 부산시가 총 12억원을 들여 벡스코에 설치해 전문 직업상담사(6명)가 코로나19로 인해 피해가 큰 여행·관광업 등 특별고용지원업종 이·전직(예정)자를 대상으로 구인구직 알선, 취업 컨설팅 등 맞춤형 취업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