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ABL생명 떠나면"…외국계 보험사 누가 수위 자리?
우리금융이 동양생명과 ABL생명을 인수하면서 외국계 보험사의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순이익을 합쳐 2000억원이 넘는 두 보험사를 우리금융이 사들이면서 외국계 보험사 수위 자리 주인공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우리금융은 지난 8월 동양생명과 ABL생명을 약 1조5000억원에 인수하기로 결의하고 중국 다자보험그룹과 주식매매계약(SPA)를 체결했다. 동양생명과 ABL생명은 중국 다자보험그룹 산하의 계열사다. 두 보험사는 올해 상반기 당기순이익으로 각각 1684억원, 406억원을 기록했다. 합쳐서 2000억원이 넘는 규모로 국내 보험사 가운데 NH농협생명(1639억원)보다 많은 순익 규모다. 동양생명과 ABL생명이 우리금융으로의 피인수합병을 앞두면서 두 보험사의 빈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타 외국계 생명보험사의 눈매가 날카로워지고 있다. 두 보험사를 제외하고 국내 보험시장에 남은 외국계 생보사는 라이나생명, 메트라이프생명, AIA생명, 푸본현대생명, BNP파리바카디프생명 등이 있다. 그중 라이나생명은 올해 상반기 순익으로 2627억원을 거뒀다. 전년 동기 대비 40.2% 증가한 수치다. 라이나생명의 순익은 2021년 2331억원, 2022년 3631억원, 2023년 4640억원으로 성장했다. 또한 조지은 라이나생명 대표이사는 해당 성과를 인정받아 올해 연임에 성공했다. 조 대표는 지난 2020년 12월 라이나생명 CEO로 선임된 후 지난 2년간 안정적으로 회사를 이끌어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라이나생명 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조지은 대표이사는 선임된 이래 꾸준히 순이익을 증가시켜 생명보험업계 상위권의 순이익과 영업이익율 및 업계 최상위의 총자산이익율(ROA)을 달성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계 보험사인 메트라이프생명도 꾸준한 성장세를 기록하면서 상위 외국계 보험사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메트라이프생명의 당기순이익은 2020년 1349억원, 2021년 1694억원, 2022년 3608억원으로 증가했다. 특히 메트라이프생명의 지급여력비율은 업계 최상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올해 1분기 지급여력비율은 경과조치 적용 전 356.3%로 생보업계 1위를 기록한 데 이어 상반기에는 더 개선된 358.9%로 집계됐다. 생보사 중에 300%를 넘긴 곳은 NH농협생명(373.4%), 메트라이프생명(358.9%), 라이나생명(342.9%) 등이다. 실적 개선을 바탕으로 송영록 메트라이프생명 대표이사 사장도 지난 7월 연임을 확정했다. 송 사장은 지난 2018년 9월 대표이사로 취임한 후 2021년 한 차례 연임에 성공했다. 지난 7월 1일 임시 주주총회에선 3연임이 확정돼 오는 2027년까지 메트라이프생명을 이끈다. 앞서 송 사장은 지난 6월 5년 내에 생명보험업계 톱(TOP)5에 진입한다는 비전을 선포한 바 있다. 당시 송 사장은 "메트라이프생명은 이미 재무건전성 등으로는 업계 최고 수준이며 많은 부분에서 TOP5 수준의 면모를 자랑하고 있다"며 "하지만 5년 후에는 대부분의 중요 지표들이 모두 TOP5 안에 들고 대중들이 한국 대표 5대 생보사로 메트라이프생명을 꼽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