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대환
기사사진
대우건설, ‘푸르지오 가든 음악회’

대우건설이 인천 중구 운남동에 자리한 '영종센트럴푸르지오자이'에서 입주민들을 위한 '푸르지오 가든 음악회'를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지난해 '발코니 음악회'에서 올해 '푸르지오 가든 음악회'로 타이틀을 바꾼 이번 행사는 올해 진행된 가든 음악회의 5회차 행사로 약 90분간 진행됐다. 정통 클래식의 대중화를 지향하는 '웨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전통 연희를 통해 관객과 소통하는 예술단체인 '다온 연희단'이 참여했다. 이번 음악회는 '푸르지오 에디션(EDITION) 2023'을 통해 공개된 'PRUS+'(Pride Up Service)의 일환이다. 'PRUS+'는 분양받는 순간부터 입주 이후까지 푸르지오가 생각하는 자연스러운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토탈 라이프스타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상품 플랫폼이다. 대우건설은 음악회 시작에 앞서 입주민 가족들이 참여할 수 있는 포토부스, 캐리커쳐, 캘리그라피, 페이스페인팅, 타로상담 등의 이벤트 부스도 운영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PRUS+ 상품 중 '푸르지오 가든 음악회'에 대한 고객들의 선호도와 만족도가 매우 높아 지속적인 음악회 개최를 계획하고 있다"면서 "이번에 새롭게 론칭한 PRUS+ 를 통해 와인 클래스, 일상의 기록 등 입주민 대상 프로그램을 점차 확대할 계획이다"라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5-16 09:54:32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수도권 연립다세대 전세 거래비중 다시 늘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지역의 연립다세대 전세 거래 비중이 다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전셋값 하락과 함께 상대적으로 낮아진 금리 등으로 전세보증금 마련을 위한 금융 부담이 줄어 들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5일 부동산 플랫폼업체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12월 전세 거래비중이 50%까지 떨어지면서 지난 2011년 전월세 실거래가 발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으나, 올해부터 다시 전세 거래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지난 1월 연립다세대 전세 거래량이 월세 거래량과 비슷한 수준으로 줄었지만, 2월부터는 다시 전세 거래가 늘어나면서 전세와 월세 거래량 차이가 다소 벌어지고 있는 것.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 전세 거래량 비중은 지난해 12월에 49.7%로 월세 거래량 비중(50.3%)에 뒤처지기도 했지만 올해 1월 이후 전세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인천은 지난해 12월에도 53.1%로 여전히 전세 거래량 비중이 월세 거래량 비중에 비해 높았으나, 2017년 2월 이후로 가장 낮은 비중이다. 경기 전세 거래량 비중은 지난 1월에 49.0%로, 월세 거래량 비중(51.0%)에 역전을 당했다. 수도권 지역의 전용면적 3.3㎡당 평균 전셋값을 2년 전 동일 시점의 평균 전셋값과 비교했을 때 두 가격 간의 차이는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1년 1월 서울지역 연립다세대 전셋값(563만원)이 2년 전 가격(452만원)에 비해 3.3㎡당 111만원이나 높았는데 지난해 10월(560만원)에는 2년 전 가격(539만원)에 비해 3.3㎡당 21만원 높다. 올해 2월에는 평균 550만원에 거래되며 2년 전보다 4만원 낮은 가격을 기록했다. 인천은 지난 2021년 1월 2년 전 가격보다 3.3㎡당 59만원이 높았으나, 지난해 10월에는 평균 230만원으로 2년 전 거래가격인 221만원보다 9만원 높다. 같은 기간 경기 지역의 경우 가각 75만원, 22만원 높았다. 반면, 지난해 11월 인천 전셋값이 평균 224만원으로 2년 전 평균 가격인 232만원보다 3.3㎡당 8만원 더 낮은 금액으로 거래돼 평균 거래가격이 내려갔다. 경기 지역 평균 전셋값은 지난해 12월에는 313만원으로 2년 전 평균 가격(321만원)보다 3.3㎡당 8만원 낮은 금액에 거래됐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 랩장은 "전세거래가 주춤했던 지난해 4분기에는 전세 거래보다는 월세 거래가 늘면서 전·월세 거래비중이 1대 1 수준까지 갔지만 올해부터는 다시 전세 비중이 커지는 중"이라고 말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5-15 13:52:11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서울 연내 분양물량 3만3000여 가구

올해 1·2월 전무했던 서울 분양물량이 3월부터 재개되고 온기가 감돌기 시작하면서 연내 3만3000여 가구에 달하는 신규 분양물량이 공급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부동산R114자료에 따르면 금리인상이 이뤄지던 지난해 4분기 전국 평균 청약경쟁률은 3.97대 1(5만8090세대 일반공급, 23만885건 접수)로, 지난 2021년 4분기 평균 청약경쟁률인 18.12대 1(4만8273세대 일반공급, 87만4639건 접수)과 비교해 청약접수 건수가 60만건 이상 크게 감소했다. 서울 지역도 전국적인 분양시장 한파와 궤를 같이 했다. 지난해 4분기 서울의 평균 청약경쟁률은 6.69대 1(5274세대 일반공급, 3만5271건 접수)로, 2021년 4분기 192.53대 1(55세대 일반공급, 1만589건 접수)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갑작스러운 분양시장의 한파로 서울 분양물량이 전무했을 만큼 시장 충격이 컸던 것. 하지만 최근 금리인상 속도조절과 각종 부동산 시장의 완화 정책이 발표되며 서울 분양시장부터 회복세를 그리는 모습이다. 실제로 올해 3월 서울의 평균 청약경쟁률은 57.0대 1로, 지난해 같은 기간 10.34대 1보다 오히려 청약 경쟁이 치열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내 서울의 분양 예정물량은 3만3170세대로 이 중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은 재개발·재건축 단지가 2만9216세대 공급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을 겨냥한 고강도 부동산 규제정책이 완화되고 금리 인상 속도조절에 대한 신호가 나오자 서울 분양시장이 빠르게 온기가 감도는 모습"이라면서 "분양시장 한파로 공급을 미루어 왔던 서울 내 유력단지들이 올해 공급될 예정인 만큼 하반기 서울 분양시장의 훈풍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지난해 공급된 서울의 분양물량(2만5280세대) 보다도 많은 분양 물량이 하반기 집중적으로 공급될 것으로 보여지는 만큼 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 움직임도 가속화될 전망이다. 롯데건설은 내달 서울시 광진구 자양동 일원에서 자양1재정비촉진구역을 재개발해 공급하는 '구의역 롯데캐슬 이스트폴'을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7층~지상 최고 48층 6개동, 전용면적 74~138㎡, 총 1063세대 중 일반분양 631세대를 분양한다. HDC현대산업개발은 이달 서울시 서대문구 남가좌동 일원에서 'DMC 가재울 아이파크'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3층~지상 최고 27층, 3개동, 아파트 전용면적 59~84㎡, 총 283세대와 오피스텔 전용면적 24~56㎡ 77실 규모다. 일반분양 물량은 아파트 전용 59㎡ 92세대, 오피스텔 전용 24~56㎡ 69실이다. 두산건설은 지난 4일 서울시 은평구 신사동 일원에 들어서는 '새절역 두산위브 트레지움'의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본격 분양에 나섰다. 지하 2층~지상 18층, 6개동, 전용면적 59~84㎡, 총 424세대 중 235세대를 일반분양한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5-15 09:51:40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연평균 8% 뛴 분양가...지난해부터 상승폭 커져

아파트 분양가가 지난해부터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값 상승으로 공사 단가가 오르면서 분양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15일 부동산R114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최근 10년(2014년~2023년) 동안 아파트 분양가는 연평균 약 8.1% 상승했다. 지난 2022년 16.0%, 2023년(5월까지 기준) 11.7% 뛰어 최근 2년 동안 오름세가 유독 가팔랐다. 반면 지난 2021년(-6.0%), 2020년(0.7%)은 하락하거나 보합세를 기록했다. 해당기간 수도권 등 대부분 지역이 고분양가 관리지역으로 묶여 분양가 통제 적용을 받는 아파트가 많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업계에서는 분양가가 더 상승할 것을 내다봤다. 실제로 분양가 상한제 주택에 적용되는 기본형 건축비는 지난 3월부터 ㎡당 194만3000원으로 올랐다. 건설자재 값과 노무비 인상 등에 따른 직접 공사비용 상승분이 반영된 것.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5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9.1포인트 상승한 100.0로 나타났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곳곳에서 사업주체와 시공사간에 공사비 갈등이 이어지는 것도 기존의 분양가로는 사업성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라면서 "물가 상승률과 금융 비용을 감안했을 때 아파트 가격 상승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연초 시장을 관망하던 수요자들도 분양가가 더 오르기 전에 청약에 나서고 있다. 이달 경기 용인, 광명 등에 나온 아파트는 전용면적 84㎡ 기준 분양가가 10억원을 돌파했지만 모두 청약 마감에 성공했다. 지방도 청주 '신영지웰 푸르지오 테크노폴리스 센트럴' 1순위는 5월 평균 73.7대 1을 기록하며 후끈 달아올랐다. 분양이 가시권에 들어온 브랜드 아파트에도 관심이 높을 전망이다. 서울의 경우 동대문구 '청량리 7구역 롯데캐슬(가칭, 761가구)', '래미안 라그란데(3069가구)', 광진구 '구의역 롯데캐슬 이스트폴(1063가구)' 등이 분양을 앞뒀다. 분양 관계자는 "일부 타입은 조기에 계약이 완료됐다. 기존에 관망하던 수요자들이 향후 분양가가 더 오를 것이라는 시장 흐름이 확실시되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며 계약도 순조롭게 진행 중이다"라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5-15 09:50:08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SK에코플랜트 자회사 테스, 포르투갈 갈프와 배터리 재활용 협력

SK에코플랜트의 자회사 싱가포르 테스(TES-AMM)가 포르투갈 에너지기업과 전방위 협력을 통해 남유럽 폐배터리 재활용 시장 선점에 나선다. SK에코플랜트는 전기차 폐배터리 및 전기·전자폐기물(E-waste) 리사이클링 자회사 테스가 포르투갈 최대 종합에너지기업 갈프 에네르지아(Galp Energia)와 '지속가능 배터리 솔루션(SBS)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갈프가 친환경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 파트너로 테스를 택한데는 테스가 보유한 폐배터리 재활용 전 과정에 걸친 기술력과 노하우, 유럽지역 15곳을 포함해 전세계 23개국 46곳에 걸쳐 구축한 방대한 규모의 글로벌 거점 등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이베리아 반도 내 폐배터리 재활용 전처리 및 후처리 시설을 구축하는 데 적극 협력한다. 파트너십을 통해 폐배터리 재활용 밸류체인을 확대하고 이베리아 반도를 포함한 남유럽 지역에 거점을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SK에코플랜트는 이번 협약을 교두보 삼아 테스를 통한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뿐만 아니라 태양광 연계 전기차 충전소, 에너지저장시스템(ESS), 해상풍력기반 그린수소 등 에너지 분야 전반에서 협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토마스 홀버그(Thomas Holberg) 테스 지속가능배터리유닛 글로벌부사장은 "갈프와 이번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돼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갈프는 지속가능산업으로의 전환을 이끌어가는 리더로서 진정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행보에 테스가 함께 할 수 있어 영광"이라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5-14 10:32:14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포스코이앤씨, ‘에코 드라이빙 캠페인’ 추진

포스코이앤씨가 포스코그룹이 추진하고 있는 '2050 탄소중립 (Carbon Neutral) 비전'에 발맞춰 전 건설현장에서 에코 드라이빙(Eco Driving) 캠페인을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에코 드라이빙 캠페인은 건설현장에서 사용중인 굴삭기, 덤프트럭 등 장비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장비 공회전을 줄여 탄소 배출량과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는 등 탄소중립 실천 생활화를 위한 에코 앤 챌린지(Eco & Challenge) 활동으로 협력사와 함께 추진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이번 캠페인으로 전 현장에 적용되는 표준구입사양서에 공회전 최소화, 현장내 적정속도 운행, 노후장비차량 사용 억제, 화물하역·대기·휴식 시 엔진 정지 등을 명시할 계획이다. 포스코이앤씨 전 현장에서는 하루에 약 1200대 가량의 장비를 운행하고 있다. 장비들이 1시간씩 공회전을 하지 않을 경우, 하루 약 6.6톤의 탄소를, 연간으로 약 2400톤의 탄소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국내 건설사 최초로 탄소중립 전략을 수립했을 뿐 아니라 객관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해 글로벌 탄소중립 이니셔티브 'SBTi'에도 가입했다. SBTi 가입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사업 확대 ▲현장·건물 에너지효율화 ▲공급망 Scope3 탄소감축 및 지원 ▲제로에너지빌딩 로드맵에 따른 건물 운영단계 탄소감축 등에 대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올해 하반기에는 검증을 완료할 계획이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앞으로도 다양한 탄소저감 활동을 실천해 에코(Eco)·챌린지(Challenge)를 추구하는 회사의 가치를 실현하고 리얼밸류를 강화해 경쟁력을 높여 나가겠다"면서 "사회적 가치와 친환경 미래사회 건설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5-14 10:28:35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분양캘린더] 5월 셋째 주 전국 977가구

5월 셋째 주에는 전국 4개 단지 총 977가구(일반분양 736가구)가 분양을 시작한다. 1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서울 은평구 신사동 '새절역두산위브트레지움', 경기 성남시 금광동 '중앙하이츠금광프리미엄', 인천 미추홀구 숭의동 '미추홀루브르숭의' 등에서 청약을 진행한다. 견본주택은 부산 강서구 강동동 '부산에코델타시티디에트르더퍼스트', 충남 아산시 모종동 '힐스테이트모종블랑루체' 등 3곳에서 오픈 예정이다. 두산건설은 서울 은평구 신사동 일원에서 신사1구역주택재건축을 통해 '새절역두산위브트레지움'을 분양한다. 지하 2층~지상 18층, 6개동, 총 424가구 중 전용면적 59~84㎡ 235가구를 일반분양한다. 단지는 지하철 6호선 새절역 역세권이다. 새절역을 중심으로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을 잇는 경전철 서부선과 새절역~고양시청을 연결하는 고양은평선 사업이 추진되고 있어 향후 트리플 역세권으로 변모할 전망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충남 아산시 모종동 아산모종2지구 B1블록에서 '힐스테이트모종블랑루체'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2층~지상 최고 29층, 9개동, 전용면적 84~109㎡, 총 1060가구 규모다. 단지는 아산모종2지구는 아산시 일대의 원도심과 접하고 있어 상업시설과 교육, 문화, 행정 등의 주거 인프라를 공유한다. 지하철1호선 온양온천역과 배방역이 근접하고 향후 풍기역이 개통될 예정이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5-14 09:03:58 김대환 기자
기사사진
서울 집값 하락폭 5주째 둔화...매수심리 10주째 상승

서울의 선호 지역 아파트값이 속속 상승세로 돌아서면서 매매가격 하락폭이 5주 연속 둔화했다. 부동산 시장에선 시중의 급매물이 상당수 소진되면서 매매수급지수는 10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14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아파트동향'에 따르면 5월 첫째 주(8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4% 하락했다. 하락폭이 전주(-0.05%)보다 0.01%포인트(p) 축소되면서 5주 연속 낙폭이 줄었다. 권역별로는 동북권에서 노원구(0.02%→0.05%)가 중계·하계동 중저가나 구축 단지 위주로 거래되며 상승세가 지속됐다. 지난주 보합이었던 용산구(0.00%→0.01%)는 이촌동 대단지 위주로 거래되며 상승 전환했다. 용산구 아파트값이 오른 것은 작년 6월 둘째 주(0.01%) 이후 11개월 만이다. 서남권에서는 강서구(-0.17%→-0.16%)가 화곡·염창동, 구로구(-0.15%→-0.13%)는 개봉·구로동 대단지 위주로 하락폭이 줄었다. 지난주 보합이었던 동작구(0.00%→0.02%)는 주요 단지 위주로 저가 매물이 소진된 이후 상승 거래가 발생하며 상승 전환했다. 동남권의 경우 지난주 하락 전환했던 송파구(-0.01%→0.08%)와 강동구(-0.01%→0.02%)는 다시 상승 전환했다. 강남구(0.03%→0.01%)와 서초구(0.02%→0.02%)는 주요 단지의 저가 매물 소진 이후 매물가격이 오르며 상승세가 지속됐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신규 입주 예정 물량 및 매물 적체 영향으로 하락세가 지속 중이다"라면서도 "정주 여건이 양호한 지역의 주요 단지 중심으로 문의가 증가했고 급매물 소진 후 매물 가격이 소폭 상승하면서 하락폭이 축소했다"고 설명했다. 서울 강남3구와 용산구 등 규제지역 아파트값이 일제히 상승한 가운데 매매수급지수는 10주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8일 기준)는 77.3으로 전주(76.2)보다 1.1p 상승하며 지난 3월 넷째 주(70.6) 이후 계속 회복하는 모양새다. 지역별로는 도심권(종로·용산·중구)과 노원·도봉·강북 등이 속한 동북권이 82.6으로 가장 높았다. 동남권(강남·서초·송파·강동)과 구로·영등포·관악이 속한 서남권은 각각 75.8, 73.2를 기록했다. 서북권(마포·은평·서대문)의 경우 72.6으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전문가들은 매수자들의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어 집값 반등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여경희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시장의 바로미터로 통하는 강남권을 시작으로 시장 회복 가능성이 있지만, 가격 반등을 예단하기는 아직 일러 보인다"면서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월 3000건 이내로 절대적으로 많지 않은 데다, 집값의 추가 하락 기대로 관망을 유지하는 실수요자들도 상당수이기 때문에 대다수 지역에선 약세 경향이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대환기자 kdh@metroseoul.co.kr

2023-05-14 09:02:56 김대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