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구남영
기사사진
공인회계사 1차시험 지원자 14.5% 늘어 "평균 연령 26.3세"

제57회 공인회계사(CPA) 제1차 시험에 1만5413명이 지원해 7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CPA 1차 시험은 다음 달 9일에 진행된다. 2200명가량을 선발하는 1차 시험의 경쟁률은 7.01대 1이다. 올해 1차시험 지원자 수는 지난해 1만3458명 보다 14.5% 늘었으며 경쟁률도 6.12대 1보다 증가했다. 특히 올해 지원자 수는 1999년(1만7112명), 2000년(1만6014명), 2002년(1만5460명)에 이어 역대 네 번째로 많다. 지원자 평균연령은 만 26.3세로 집계됐다. 전체 지원자 가운데 대학 재학생 비중이 60.1%로 집계됐다. 여성 지원자 비율은 2018년 32.6%, 2020년 37.4%에 이어 올해 44.6%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외부감사제도 강화로 공인회계사 수요가 커지고 처우도 상향됨에 따라 지원자들이 늘고 있다는 게 업계의 추측"이라며 "코로나19장기화 등으로 청년실업이 심각한 것도 지원자 증가 배경으로 꼽힌다"고 설명했다. 제1차시험에서는 과락 없이 평균 6할 이상을 득점한 자 중에서 고득점자순으로 올해 제2차시험 최소 선발 예정 인원(1,100명)의 2배수를 뽑는다. 최하 합격점의 동점자로 인해 최소 선발 예정 인원의 2배수를 초과해도 동점자를 모두 합격자로 처리한다. 한편, 시험에 관한 상세한 사항은 금융감독원 공인회계사시험 홈페이지와 금융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2-01-19 17:11:34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코스피, 5거래일 연속 하락…2842P 마감

코스피가 전 거래일(2864.24)보다 21.96포인트(0.77%) 내린 2842.28에 마감한 19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943.94)보다 10.04포인트(1.06%) 내린 933.90,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190.1원)보다 1.6원 오른 1191.7원에 마감했다./뉴시스 19일 지수가 약세로 마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긴축 기조, 터키-이라크 송유관 폭발에 따른 원유가격 상승 부담과 LG에너지솔루션 청약에 따른 수급공백 우려로 5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이날 코스피지수는 전거래일 대비 21.96포인트(0.77%) 내린 2842.28로 거래를 마쳤다. 장 초반 0.83% 내린 2840.34로 출발해 등락을 반복하다 하락 마감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과 기관이 각각 290억원, 49억원을 순매도 했고 외국인은 271억원을 순매수했다. 이날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0.91%), NAVER(-1.63%), 카카오(-1.74%), LG화학(-5.91%), 삼성SDI(-2.07%), 현대차(-0.99%),기아(-1.46%)가 내렸다. 반면, SK하이닉스(0.40%), 삼성바이오로직스(1.24%), KB금융(0.32%)은 상승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화학(-1.97%), 의료정밀(-1.72%), 서비스업(-1.37%), 운수창고(-1.07%), 종이목재(-1.03%)가 하락했다. 반면, 보험(1.46%), 의약품(0.98%), 유통업(0.4%), 건설업(0.11%), 전기가스업(0.09%)은 상승했다. 코스닥지수도 10.04포인트(1.06%) 내린 933.90으로 하락 마감했다. 코스닥시장에서 개인은 440억원 순매수 했지만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64억원, 263억원 팔아치웠다.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다. 엘앤에프(-1.97%), 카카오게임즈(-1.31%), 에코프로비엠(-1.46%), 펄어비스(-1.38%), 위메이드(-0.38%), HLB(-2.67%), 천보(-1.71%), 리노공업(-1.14%) 등이 하락세로 장을 마쳤다. 반면, 셀트리온헬스케어(3.41%)와 셀트리온제약(4.22%)은 올랐다.

2022-01-19 16:32:02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17만 주주 신라젠의 몰락…바이오주 쇼크 "개미 어쩌나"

무려 17만 주주를 보유한 '국민 바이오주' 신라젠의 상장폐지 소식에 바이오주는 냉각 상태에 돌입했다. 신라젠 뿐만 아니라 셀트리온과 오스템임플란트 등 주요 바이오업체의 연이은 악재 소식에 바이오산업 자체에 대한 투자심리 악화 연상이 두드러졌다, 한국거래소는 지난 18일 공시를 통해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57조제5항 및 동규정 시행세칙 제62조제2항에 따라 영업일 기준 20일인 2월 18일이내에 코스닥시장위원회를 개최해 신라젠에 대한 상장폐지 여부 등을 의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오스템임플란트의 소액주주는 지난해 9월말 기준 1만9856명으로 소액주주의 보유 지분율은 55.6%(793만9816주)다. 신라젠의 소액주주는 2020년말 기준 17만4186명이며, 이들의 지분율은 92.6%(6625만3111주)에 달한다. 피해는 고스란히 주주들의 몫으로 돌아가고 있다. ◆거래재개 기대에 최대주주 '엠투엔' 사들인 '개미 쇼크' 문제는 코스닥 시가총액 2위까지 올랐던 신라젠의 상장폐지 결정 소식에 최대주주인 엠투엔을 사들인 개인투자자들의 쇼크다. 엠투엔은 신라젠 지분 18.23%를 확보해 최대주주인 상태다. 이에 따라 개미들은 신라젠의 거래재개 기대감에 최근 엠투엔의 주식을 대거 사들이며 배팅에 나섰다. 19일 엠투엔의 주가는 곤두박질쳤다. 전 거래일 대비 29.74% 떨어진 815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엠투엔은 1.53%의 수익률로 출발했으나 빠르게 하락 폭이 확대됐다. 대규모 매물이 쏟아지고 대기 체결 물량도 360만주를 기록해 하한가 탈피는 어려운 상황이다. 최근 엠투엔 주가는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4거래일 연속 올랐지만, 전날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다. 1% 하락세로 출발해 소폭 상승했다가 21% 급락하며 결국 11% 하락 마감했다. 이날 개인들은 엠투엔을 218억원 순매수했다. 이는 코스닥에서 가장 높은 순매수 규모이자 코스피 시장까지 포함해도 9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특히 전일 고점인 1만3300원을 고려했을 때 최대 마이너스 40%의 수익률이 예상된다. 여기에 최근 한달새 빚투도 늘어 반대매매에 따른 주가 급락 위험도 커지고 있다. 다만 전날 개인투자자들의 평균 매수단가는 1만1679원으로, 평균 손실률은 약 30.21%로 전망된다. ◇횡령부터 분식회계까지 '바이오주 악재' 아울러 연초부터 오스템임플란트 횡령 사건을 시작으로 바이오 관련 기업들에 악재가 쏟아지면서 바이오주의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오스템임플란트는 바이오주에 해당하진 않지만 '헬스케어' 분류하면 같은 섹터로 묶인다. 오스템임플란트 시가총액은 2조원에 달한다. 특히 회사는 신라젠과 유사한 횡령 혐의 발생으로 주식 거래가 정지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장폐지 여부도 주목된다. 거래소는 오는 24일까지 실질심사 대상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최근 셀트리온도 3년만에 분식회계 논란이 다시 수면위로 떠오르며 주가가 급락했다. 글로벌 제약사들이 연이어 '먹는 코로나19 치료제'를 출시하면서 셀트리온의 코로나19 치료제 렉키로나주에 대한 기대감이 내려앉아 하락세다. 특히 회사의 주가를 끌어내리고 있는 '분식회계 논란'이 당장 해결되지 않는 이상 투자심리는 당분간 위축될 것으로 보인다. ◇신라젠 주주연합, 거래소 항의 방문 "소장 제출할 것" 한국거래소가 신라젠에 대해 상장폐지를 결정하자 17만 주주들의 분노가 극에 달하고 있다. 소액주주모임 대표는 한국거래소 고소를 예고했으며, 종목토론방에는 상장폐지 결정에 불만을 표하는 글이 연이어 올라오고 있다. 4000여 명의 주주들이 참여하고 있는 주주연합 일부 회원은 전일에 이어 오늘까지 상장폐지 결정 이유를 묻기 위해 거래소를 항의 방문했다. 이성호 신라젠행동주주모임 대표는 "상장폐지 결정은 기업의 펀더멘탈이 아닌 정치적인 판단"이라며 "조만간 소장을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한 주주는 "그동안 회사의 발표를 고려했을 때 거래재개 쪽에 무게가 실렸는데, 상장 폐지는 생각도 못했다"며 "몇억 원씩 투자한 주주도 다수인데, 앞으로 대응 방안을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거래소가 신라젠에 요구한 조건을 모두 충족시켰는데도 부룩하고 상장 폐지를 결정한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했다. 신라젠의 최종 상장폐지 여부는 앞으로 20영업일 이내에 결정된다. 코스닥시장위원회에서 확정하며 상장폐지나 1년 이하 개선기간 부여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신라젠은 문은상 전 대표 등 전·현직 경영진의 횡령·배임으로 2020년 5월 4일 상장 적격성 실질 심사 사유가 발생해 주식시장에서 1년 8개월간 거래가 정지됐다.

2022-01-19 16:14:04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코스피, 금리인상 ·청약 광풍에 나흘 연속 하락

코스피가 전 거래일(2890.10)보다 25.86포인트(0.89%) 내린 2864.24에 거래를 마친 18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지수가 표시되고 있다. 코스닥은 전 거래일(957.90)보다 13.96포인트(1.46%) 내린 943.94에,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192.7원)보다 2.6원 내린 1190.1원에 장 마감했다./뉴시스 코스피가 미국의 금리 문제와 투자자들이 일반 공모 청약으로 몰려가면서 4거래일 연속 하락 마감했다. 18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0.89% 하락한 2864.24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0.31% 오른 2898.98에 거래를 시작했지만 오후 들어 하락반전했다. 유가증권 시장에서 기관은 2257억원어치를 팔아 치웠다. 반면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2064억원, 53억원의 순매수세를 기록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은 대부분 하락 마감했다. 삼성전자(-0.65%), SK하이닉스(-0.39%), 삼성바이오로직스(-2.42%), LG화학(-1.84%), NAVER(-1.60%), 현대차(-1.22%), 카카오(-0.97%), 기아(-0.60%) 등은 하락했다. 2차전지 소재 시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삼성SDI(5.30%) 등은 상승했다. 업종별로 보면 건설업(-4.31%), 기계(-2.7%), 의약품(-2.31%), 철강금속(-1.72%), 운수창고(-1.57%) 등이 크게 하락했다. 반면, 의료정밀(3.31%), 통신업(0.93%), 섬유의복(0.38%) 등은 상승 마감했다. 코스닥도 하락세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닥 지수는 전날보다 1.46% 내린 943.94에 장을 마감했다. 코스닥 시장에서 개인은 575억원어치를 매수했지만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98억원, 14억원어치를 팔아치웠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기업 가운데에서는 위메이드(-5.73%), 펄어비스(-2.59%), 카카오게임즈(-1.29%), HLB(-1.89%), 셀트리온헬스케어(-1.22%), 셀트리온제약(-2.07%) 등이 하락했다. 반면 에코프로비엠(0.74%), 엘앤에프(1.12%)은 상승 마감했다. /구남영기자 koogija_tea@metroseoul.co.kr

2022-01-18 16:34:12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지난해 ABS 발행액 61조7000억원···전년 대비 22%↓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액이 전년보다 17조4000억원(22.0%) 감소한 61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8일 밝혔다. ABS 가운데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저당증권(MBS) 발행액은 전년 동기보다 12조원 감소한 36조6000억원이 발행됐다. MBS 발행금액은 서민형 안심전환대출의 정책 효과에 따라 2019년 하반기부터 2020년 상반기까지 일시적으로 크게 증가한 이후 감소세를 나타내고 있다. 금융회사는 ABS를 전년보다 2조9000억원 감소한 15조8000억원 발행했고 일반 기업도 역시 단말기할부대금채권, 부동산 PF 등을 기초로 전년보다 2조5000억원 줄어든 9조3000억원을 발행했다. 은행, 여신전문금융, 증권사 발행규모가 모두 15.7%, 12.6%, 18.8%씩 축소됐다. 유동화 기초자산별로 살펴보면 대출채권, 매출채권 기초 ABS 및 회사채 기초 프라이머리 채권담보부증권(P-CBO) 발행 규모 모두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3.7%, 19.3%, 18.8% 감소했다. 다만 코로나19 극복 P-CBO 발행액은 4조400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3조5000억원) 대비 9000억원 증가했다. 다만 전체 발행 잔액은 지난해 12월말 기준 228조3000억원으로 전년말(219조원) 대비 4.3%(9조3000억원)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금리 등의 사유로 2020년 중 ABS 발행이 증가했으나 금리 상승 등의 요인으로 2021년 중 ABS 발행은 전년보다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2022-01-18 15:24:16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한화자산, 업계 첫 희토류 ETF 출시…"미래산업 확대"

한화자산운용은 '한화 아리랑(ARIRANG) 글로벌희토류전략자원기업MV' 상장지수펀드(ETF)를 신규 상장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해 9월 한화자산운용은 ETF에 집중하기 위해 사업본부를 신설한 후 처음 출시되는 상품이다. 미국 지수사업자인 MVIS(MV Index Solutions)사와 전략적 협업을 통해 구성했다. 해당 ETF는 글로벌 탄소중립 시대 핵심 원료인 희토류·전략자원을 생산(채굴)·정제 ·재활용하는 글로벌기업 주요 20개 기업에 포괄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펀드다. 이러한 테마의 ETF가 국내에 상장하는 것은 처음이다. 희토류(Rare Earth)는 학술적으로 17개 원소를 총칭한다. 전략자원은 102가지 원소 중 희토류 17개를 제외한 희소금속을 뜻한다. 다만 일반적으로는 철, 구리, 알루미늄 등 산업적으로 대량생산되는 일반금속에 대응해 산업적 수요가 크지만 부존량이 적고, 추출이 어려운 금속원소를 말한다. 김성훈 한화자산운용 ETF사업본부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글로벌 탄소중립 시대핵심 원료인 희토류를 비롯해 리튬, 코발트, 티타늄과 같은 전략자원 관련 기업에 포괄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상품"이라며 "향후 친환경·미래산업 관련 라인업을 단계적으로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화자산운용은 희토류와 전략자원은 전기차의 구동모터, 2차전지, 풍력발전 터빈,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GPS시스템 등 최첨단 산업 및 미래산업에 필수적인 핵심원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보고 있다. 김 본부장은 "2018년 이후 2차전지 테마가 본격적으로 주목받으면서 기업 가치가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다"며 "희토류와 전략자원도 장기 성과로 봤을 때변동성이 크지만 그린 에너지, 첨단 산업 등에 사용돼 성장이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ETF의 주요 구성 종목은 세계 최대의 리튬광산을 소유한 호주의 필바라 미네랄스, 미국시장에 유일하게 상장된 희토류 생산기업 MP 머티리얼즈, 상해거래소에 상장된 코발트 전문기업 화우 코발트, 중국 최대 리튬기업 강봉리튬 등이다. 윤준길 ETF운용팀장은 "희토류는 원유, 천연가스와는 달리 직접투자수단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생산기업에 투자하는 방법이 효과적"이라며 "전기차의 경우 내연기관 자동차 대비 광물투입량이 6배, 육상풍력발전소는 가스화력 발전소 대비 9배에 달한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전기차 및 배터리 저장에 대한 광물수요는 2040년까지 최소 30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희토류와 전략자원 관련 전방산업의 성장에 따른 수요증가로 이들 생산기업의 꾸준한 수혜가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2022-01-18 15:23:42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LG엔솔, 청약 두시간 만에 130만명 돌파..."증거금 16조 몰려"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에서 1경5000조원에 달하는 주문액을 달성하며 화제를 모은 LG에너지솔루션의 일반 투자자 대상 공모주 청약이 18일 오전 10시부터 시작됐다. 예상대로 투자자들의 청약 열기가 뜨겁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 공모주 일반 청약을 받는 KB증권, 신한금융투자, 대신증권 등 7개 증권사에 청약 증거금이 대거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11시30분 기준 약 16조3000억원이 유입됐다. 계좌 1건당 평균 1200만원을 넣은 것. 오전 11시 기준 대표주관사인 KB증권의 경쟁률은 같은 시각 9.28대 1로 집계됐다. 청약 증거금은 6조8000억원에 달했다. 이어 신한금융투자가 5.21대 1의 경쟁률로 증거금 1조9000억원, 미래에셋증권이 36.7대 1로 증거금 1조2000억원이 몰렸다. 앞서 카카오뱅크의 공모주 일반 청약 첫날 오전 11시 기준 증권사 5곳에 모인 청약 증거금이 총 3조4404억원 규모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약 4배 가량 많은 수준이다. 증권사별 배정 물량은 KB증권이 486만9792주(45.8%)로 가장 많다. 대신증권과 신한금융투자는 각각 243만4896주로 22.9% 비중이다. 미래에셋증권과 하나금융투자, 신영증권, 하이투자증권은 각각 22만1354주로 2.1% 수준이다. 가장 많은 물량이 배정된 KB증권에서는 청약 시작 한시간 반 동안 70만건이 넘는 계좌가 몰렸다. 이어 신한금융투자에 약 20만8000건이, 미래에셋증권과 대신증권이 각각 13만5000건, 11만8000건에 달했다. 하나금융투자(약 2만5000건), 하이투자증권(약1만1300건), 신영증권(약 1만1200건)이 뒤를 이었다. 최근 한달 사이 신규계좌 개설 건수 증가율은 KB증권이 195.48%, 신한금융투자가 91.04%, 대신증권이 332.75%에 달했다. 이 가운데 미래에셋증권은 이미 청약건수가 균등배정물량을 넘어섰다. 이렇게 되면 균등배정을 노린 청약자들은 1주도 받지 못받는다. 미래에셋에 배정된 수량은 총 22만1354주, 균등 배정물량은 11만 677주였지만 13만건이 넘는 계좌가 몰렸다. 계좌당 균등배정주식수는 0.7주로 1주도 받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일각에서는 균등배정으로 1주도 받지 못하는 청약자들이 많아질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증권가는 당초 이틀 간 250만명이 참여해 평균 균등배정수 2~3주를 받을 것으로 전망했지만 첫날 오전에만 이미 100만명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특히 최소 증거금 150만원을 투자해 2주를 배정받았다고 가정할 때 상장 첫날 따상(공모가 대비 두 배로 시초가가 형성된 뒤 상한가 기록)을 기록할 경우 96만원(78만원×2=156만원-60만원))의 차익을 얻는다. 약 2주 동안의 기간에 청약 증거금 대비 수익률이 64%에 달하는 것이다. 증권업계에서는 LG엔솔이 기차용 배터리 시장 2위 기업인 만큼 청약증거금이 100조원 안팎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경우 시총 92조원의 SK하이닉스를 제치고 코스피 시장 시총 2위에 올라서게 된다. 특히 일반 공모 청약증거금 규모에서 81조원으로 1위를 차지한 SK아이이테크놀로지를 넘어서는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중복청약이 불가능해지며 가족 계좌를 동원한 청약자들도 생겨났다"며 "이대로라면 400만명도 돌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LG에너지솔루션은 일반 청약자에게 전체 공모 주식의 25∼30%인 1062만5000∼1275만주를 배정했다. 최소증거금인 10주만 넣으면 모든 청약자에게 공모주를 똑같이 배분하는 '균등배정'이 50%, 청약증거금이 많을수록 더 많은 공모주를 배분하는 '비례배정'이 50%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달 27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 공모가(30만원) 기준 시가총액은 70조2000억원이다. 청약은 이날부터 19일까지 오전 10시에서 오후 4시까지 진행된다.

2022-01-18 14:26:24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삼성자산운용, 삼성중국본토중소형FOCUS 펀드, 中펀드 중 1위

삼성자산운용이 '삼성중국본토중소형FOCUS펀드'의 최근 1년 수익률이 18.26%로 국내 전체 중국펀드 171개 중 1위를 차지했다고 18일 밝혔다. 같은 기간 국내에서 판매된 171개 중국펀드의 평균 수익률은 -16.71%였다. '삼성중국본토중소형FOCUS 펀드'는 중국 정부의 신성장 정책의 수혜주로 떠오르는 정보기술(IT), 산업재, 기초 소재 등의 우량 중소형주에 투자하는 펀드다. 주요 투자대상은 CSI500 지수에 편입된 유망 중소형주다. CSI500지수는 상해·심천 시장의 약 3600개 종목 중 최상위 300개를 제외한 차상위 500개로 구성된다. 최근 중국 시장은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책과 중소기업 지원 방침 등으로 그 동안 소외 받았던 친환경 에너지, 소재 등 정부 정책 수혜 업종 위주로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미·중 무역분쟁이 진정됨에 따라 '신경제' 업종은 장기적으로 시장 대비 고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해당 트렌드에 부합하는 중소형주에 대한 기대도 증가하고 있다고 삼성자산운용 측은 밝혔다. 삼성자산운용은 중국 펀드 약 1조원을 운용하고 있다. 이는 업계 최상위권 수준으로 현지 법인과 네트워킹을 바탕으로 중화권에 투자할 수 있는 최적의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종훈 삼성자산운용 글로벌운용본부장은 "올 중국 본토 시장은 시진핑 3기 출범을 앞두고 정부의 규제 완화 및 경기 부양책을 바탕으로 상저하고의 모습을 보일 것으로 판단 된다"며 "삼성중국본토중소형FOCUS 펀드는 친환경에너지, 반도체와 배터리 관련 핵심소재, 전기 자동차 등의 정책 수혜주에 집중할 수 있는 대표적인 펀드"라고 말했다.

2022-01-18 10:58:34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코스피, 美긴축 우려·외인 매도에 '2900선 붕괴'

코스피가 전 거래일(2921.92)보다 31.82포인트(1.09%) 내린 2890.10에 장을 마친 17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직원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971.39)보다 13.49포인트(1.39%) 상승한 957.90에,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187.3원)보다 5.4원 오른 1192.7원에 마감했다./뉴시스 코스피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우려와 외국인, 기관의 순매도세에 2900선도 무너졌다. 17일 코스피는 전거래일 대비 31.82포인트(1.09%) 내린 2890.10에 마감했다. 개인이 4827억원을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2535억원, 2593억원을 순매도하며 지수를 끌어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종목 대부분이 하락했다. SK하이닉스(-1.17%), 삼성바이오로직스(-2.82%), LG화학(-1.26%), 삼성SDI(-0.93%), 현대차(-1.91%), 카카오(-1.06%), 기아(-1.31%), POSCO(-2.17%) 등이 하락 마감했다. 반면, 삼성전자 네이버는 전일 대비 각각 0.26%, 0.44% 올랐다. 업종별로는 의약품(-3.18%), 은행(-2.22%), 건설업(-2.14%), 섬유의복(-2.05%), 운수장비(-1.97%) 등이 하락했다. 반면 의료정밀은(1.64%)은 상승 마감했다. 코스닥 지수도 전 거래일 대비 13.49포인트(1.39%) 내린 957.90으로 장을 마쳤다. 개인과 기관이 각각 188억원, 928억원을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은 1166억원을 순매도 했다. 시총 상위 종목 가운데 셀트리온헬스케어(-7.5%), 셀트리온제약(-7.93%) 펄어비스(1.67%), 카카오게임즈(-1.41%), HLB(-0.72%), 등이 하락했다. 반면, 리노공업(2.46%) 엘앤에프(1.19%), 에코프로비엠(0.48%), 위메이드(0.58%), 천보(1.72%), 등은 올랐다. /구남영기자 koogija_tea@metroseoul.co.kr

2022-01-17 16:39:03 구남영 기자
기사사진
서학개미, ETF에 몰린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조기 금리 인상 우려로 증시 변동성이 확대된 가운데 서학개미의 ETF(상장지수펀드) 투자 바람이 거세지고 있다. 특히 서학개미는 미국 대형 기술주·성장주에 대한 과감한 투자 배팅에 나서고 있다. 17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개인 투자자들이 지난 7일부터 13일까지 해외에서 가장 많이 사들인 주식은 'TQQQ(PROSHARES ULTRAPRO QQQ ETF)'다. 순매수 규모는 2억5513만 달러로 한화 약 3028억원 규모다. 뒤이어 반도체 대장주인 엔비디아(1억4000만달러), 애플(1억1600만달러), 마이크로소프트(8700만달러)를 사들였다, 순매수 상위 종목 가운데 8개가 레버리지 상품이다. TQQQ는 미국 나스닥 시장을 대표하는 100종목으로 이뤄진 나스닥 100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ETF 다. TQQQ에 대한 서학개미 순매수 규모는 3000억원을 웃돌아 2위 엔비디아를 크게 앞지른다. 알파벳·애플·메타보다 더 많은 금액을 순매수했다. 이는 지난해 테슬라에 이어 서학개미들이 두 번째로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이다. 지난해 나스닥은 사상 최고치를 연달아 경신하며 21.39% 까지 올랐으며 TQQQ 수익률은 91.34%를 기록했다. 순매수 금액 5위와 7위에 해당하는 종목도 3배 레버리지 상품이었다. 서학개미는 순매수 1위인 TQQQ ETF뿐만 아니라 디렉시온 데일리 반도체 불 3X, BMO 마이크로섹터 팡 이노베이션 3X ETN도 사들였다. 해당 종목은 매수 순위 6, 7위에 각각 올랐다. 5위에는 미국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의 3배를 추종하는 SOXL(DIREXION DAILY SEMICONDUCTORS BULL 3X SHS ETF), 7위에는 미국 기술주 15개 종목의 주가를 3배로 추종하는 FNGU(BMO MICROSECTORS FANG INNOVATION 3X LEVERAGED ETN)이 순위에 올랐다. . 서학개미가 이 종목들을 포함해 열흘 동안 매수한 3배 레버리지 ETF의 총 규모는 6250억원에 달한다. 하지만 연초부터 서학개미가 매수한 상위 10개 종목 가운데 오른 종목은 없다. 특히 성장주가 고전하는 모습이다. 올해 나스닥은 6% 가까이 하락하며 TQQQ 수익률은 -16.01%로 급락했다. 울트라 QQQ ETF와 디렉시온 반도체는 각각 -17.2%, -16.5% 하락했다. 특히 팡 이노베이션 ETF는 -19.8%까지 떨어졌다. 엔비디아(-11.7%), 마이크로소프트(-8.9%), 테슬라(-13%) 애플(-5.4%) 알파벳(-4.4%) 이 모두 동반 하락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새해들어 미국 주식 시장도 좋지 못하다 보니 높은 수익을 얻고자 ETF에 투자가 집중됐다"며 "그러나 변동성이 큰 장세에서는 레버리지 ETF에 장기 투자하면 오히려 수익을 내기 어렵다"고 말했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지난 12월 미국 대형 및 중소형 기술주들이 동반 하락했는데, 연준의 조기긴축 우려가 나오면서 금리비용 상승에 따른 멀티플 하락 압력이 강화된 것이 원인"이라며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은 종목을 중심으로 조정폭이 강해졌다"고 설명했다.

2022-01-17 15:46:44 구남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