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만원대 5G부터 지원금 나온다는데…"뭐부터 해야해?"
#. 30대 직장인 A씨는 알뜰요금제를 쓰고 있다. 평소에는 와이파이를 많이 사용해 데이터 사용을 적게 사용하고 있기 때문. 하지만 최근 통신3사에서 5G 저가 요금제를 출시해 알아봤지만 알뜰폰이 더 저렴해 갈아타지 않기로 했다. 최근 통신 3사가 3만원대 요금를 출시하면서 가계 통신비를 조금이라도 절감하기 위한 이용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데이터 제공량, 데이터 이월기능, 연령대별 특화 서비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결합 등 혜택 구성도 세분화됐다. 다만, 혜택이 다양해진 만큼 통신사별로 데이터 제공량이 다르고 개인별 상황에 따라 할인 혜택이 상이해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SKT 요금제 비싸지만, 데이터량 많아 30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이통3사는 최근 5G 데이터 저가 구간의 3만~4만원대 요금제를 신설했다. SK텔레콤은 월 3만9000원에 6GB를 제공하는 '컴팩트'와, 월 4만5000원에 8GB를 제공하는 '컴팩트플러스' 등 요금제를 내놨다. 선택약정(25% 요금할인)을 적용하면 각각 월 2만9210원, 3만3725원이다. 같은날 LG유플러스도 월 5GB를 제공하는 '5G 미니'(월 3만7000원) 요금제를 선보였다. KT도 앞서 데이터 4GB를 제공하는 '5G슬림 4GB' (월 3만7000원) 요금제를 공개했다. 1GB당 요금을 비교해 보면 3만원대 구간에서는 SK텔레콤이 가장 저렴하다. SK텔레콤이 6500원, LG유플러스 7400원, KT 9250원 순으로 낮았다. 이에 더해 이통 3사 모두 기존 요금제 데이터 제공량을 늘렸다. SK텔레콤은 베이직 요금제의 데이터 제공량을 8GB에서 11GB로, 슬림(월 5만5000원) 요금제 제공량을 11GB에서 15GB로 늘린다. LG유플러스도 '5G 슬림+'(월 4만7000원)'의 데이터 기본 제공량을 6GB에서 9GB로 상향 조정했다. 월 5만5000원의 '5G 라이트+'는 12GB에서 14GB로 늘렸다. KT는 기존 기존 4만5000원 요금제의 데이터 제공량은 5GB에서 7GB로 늘리고 월 5만5000원·10GB 데이터를 14GB로 확대했다. 또 청년을 대상으로는 데이터를 2배 많이 제공한다. ◆청년 및 온라인 혜택 확대 SK텔레콤는 청년을 대상으로 월 3만7000원에 데이터 6GB를 제공하는 '0청년 37' 요금제를 신설했다. 그러면서 월 4만3000원의 0청년 43의 제공 데이터를 6GB에서 8GB로, 월 4만9000원의 0청년 49 데이터 제공량도 12GB에서 15GB로 늘렸다. 온라인 전용 요금제도 눈길을 끈다. SK텔레콤은 '다이렉트 5G 27'(월 2만7000원, 6GB)과 '다이렉트 5G 31'(월 3만1000원, 8GB) 등 온라인 전용 요금제를 출시했다. 이 요금제는 단말기 구입 없이 통신사 홈페이지에서 유심(USIM)만 구입했을 때 가입 가능하다. 특히 업계 최초 2만 원대 온라인 요금제인 '다이렉트 5G 27'은 3만 원대 '컴팩트' 요금제와 동일한 혜택을 제공하면서 월 요금은 30%가량 저렴하다. KT의 온라인 전용 브랜드 '요고'는 최저 3만 원부터 시작하는데 총 13종에 달할 만큼 세분화됐다. 저가 구간은 월 3만원데 데이터 5GB, 월 3만2000원에 데이터 10GB를 제공한다. LG유플러스의 '5G 다이렉트 30'은 월 3만 7000원에 데이터 5GB(소진 시 최대 400kbps로 계속 이용)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8월 31일까지 운영한다. ◆OTT 등 부가혜택↑…5G는 알뜰요금 '저렴' SK텔레콤은 데이터 무제한과 우주패스 구독 혜택을 더한 '5GX 프리미엄(월 10만9000원)' 요금제도 신설했다. '5GX 프리미엄' 요금제 가입자는 유튜브 프리미엄과 세븐일레븐 및 투썸플레이스 최대 30%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구독 서비스 '우주패스 라이프'를 무료로 제공 받는다. 유튜브 프리미엄의 경우 정가가 월 1만4900원인데, 사실상 무료로 쓸 수 있는 셈이다. LG유플러스는 월 9900원의 디즈니플러스(+) 할인을 재공한다. 기존에는 일부 고가 요금제에서만 할인 혜택을 제공했는데 이번 요금제 개편으로 전 요금제에서 할인 받을 수 있도록 변경했다. 육아가구를 대상으로 지급한 데이터 제공량도 2배 늘렸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부터 만 24개월 미만 육아가구를 대상으로 데이터 5GB 쿠폰을 제공해 왔다. 다음달부터는 10GB 데이터를 제공하고, 대상 연령도 생후 36개월과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한 첫 해로 확대해 총 4년간 제공한다. 이처럼 통신 3사의 3만원 대 요금제가 쏟아지면서 알뜰폰과 요금제와 격차가 줄어들고 있다. 알뜰폰 요금제의 5G 요금의 경우 6GB에 1만원대로 현재까지 조금 더 저렴하다. 다만, 이통사 5G 요금제의 경우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할인받거나 청년 대상으로는 데이터 제공량이 더 많다. 또 커피, 영화, 로밍 등의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밖에도 와이파이를 기본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