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창원대, 교육부 ’2025 글로컬랩 사업‘ 최종 선정
국립창원대학교가 교육부 '2025년 글로컬랩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대학 부설 연구소를 지역 연구 거점으로 육성해 우수 기초연구 성과 창출, 학문 후속세대 등 인재 양성, 지역과 국가 발전 기여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부의 신규 지원사업이다. 비수도권 대학 중 6개 대학만 지원하는 대규모 R&D사업으로 운영된다. 국립창원대 DNA+연구소는 9년간 총 180억 원의 사업비를 지원받게 된다. 정부 지원금 135억 원과 지자체 등 45억 원으로 구성됐다. 연구소는 '경남·창원을 방산 제조 분야 세계 1등 도시로 육성하기 위한 거점 연구소 도약'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번 사업에는 김석호 교수가 총괄연구책임자로 신경훈 교수, 조영태 교수, 이재선 교수가 그룹 책임자로 참여한다. 공동연구원으로는 박종규 교수, 김태규 교수, 김중락 교수, 박용갑 교수, 박상희 교수, 심성현 교수, 이석주 교수, 최정인 교수가 함께한다. DNA+연구소는 방산(Defense), 원전(Nuclear), 스마트제조(Autonomous) 및 기타 지역 주력 산업 관련 분야의 혁신을 주도할 지역 거점 연구소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김석호 DNA+연구소 소장은 "글로컬랩 사업은 경남과 창원을 방산 제조 분야 세계 1등 도시로 육성하기 위한 거점 연구소 도약이란 비전 아래 인공지능(AI) 기술을 방산 제조 분야에 접목하여 제조 혁신을 선도하고, 지역의 고급 인재 양성을 통해 지역 소멸 위기 극복에 기여하는 연구거점으로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국립창원대는 경남과 창원에서 강점을 보이는 방산 분야를 특화 분야로 선정해 주변 연구 기관 및 기업과의 협력 방안을 제시했고, 학문 후속세대의 성장 단계별 지원 방안에 대한 목표가 적절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박민원 총장은 "국립창원대는 교육부 연구 지원 사업 중 최대 규모인 지-램프(G-LAMP) 사업 선정에 이어 DNA+연구소의 글로컬랩 사업 선정으로 글로컬대학 및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 연계를 통한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 연구로 지역 혁신을 주도하는 선도 모델을 제시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