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메트로신문
기사사진
[오늘의 운세] 2025년 02월 21일 금요일

[오늘의 운세] 2025년 02월 21일 금요일 [쥐띠] 36년 눈에서 멀어져도 마음은 변하지 마라. 48년 성공의 기미가 보이니 좀 더 노력하라. 60년 과한 것보다 약간 모자란 것이 낫다. 72년 침묵해야 모두가 편하게 간다. 84년 착한 친구를 만나 경제적 이익을 얻는다. [소띠] 37년 날개 없이 하늘을 날아다니는 기분. 49년 기대가 없으니 실망도 적다. 61년 순풍에 돛단배 가듯이 순조로운 하루. 73년 일의 결과가 좋아 명예를 높이고 실속도 챙긴다. 85년 내가 먼저 행동해야 상대도 따라온다. [호랑이띠] 38년 여기저기 계속되는 지출에 삶이 지겨워진다. 50년 가진 것이 없으니 가족도 부담이 될 것이다. 62년 늦었다고 포기 말자. 74년 상쾌한 바람이 불어오니 마음도 상쾌. 86년 혼자는 외롭지만 둘은 나눌 수 있다. [토끼띠] 39년 남의 말은 사흘을 가지 않으니 신경 쓰지 마라. 51년 말은 쉬우나 주워 담을 수 없으니 조심. 63년 혼자서라도 웃으면서 지내자. 75년 건강을 최우선으로 생각해야 하는 날. 87년 의견충돌이 염려되니 고집을 조심. [용띠] 40년 물에 빠진 사람 구해주는 날. 52년 투자의 유혹이 있으니 신중. 64년 집 나간 말이 새 식구를 데려오니 이득이 많은 날. 76년 상대의 실수를 덮어 주면 보답을 받는다. 88년 어디서 부는 바람이 근심을 걷어 간다. [뱀띠] 41년 송사에 휘 말릴 수 있으니 언행을 조심. 53년 힘든 길이라도 가다 보면 좋다. 65년 매사가 귀찮고 심드렁하다. 77년 못 먹는 감 찌르지 말아야 해가 덜 돌아온다. 89년 어제의 친구가 적으로 오니 배신감을 느낀다. [말띠] 42년 초대받은 손님으로 환영을 받는다. 54년 노력한 보답이 주어지니 보람이 있다. 66년 욕심을 부리면 발목을 잡힌다. 78년 나 못 먹을 밥에 재 뿌리지는 말아야 할 터. 90년 산토끼 잡으려다 집토끼 놓칠까 걱정된다. [양띠] 43년 있는 듯 없는 듯 조용히 지내야 한다. 55년 불평은 운을 깎는다는 진리. 67년 길 떠나려는데 폭풍우가 치는 격이니 잠시 지체. 79년 머리만 믿고 있다가는 일을 망친다. 91년 남의 말에 현혹되지 말고 주관을 가져라. [원숭이띠] 44년 재능 많은 자식 때문에 경제적 곤란을 겪는다. 56년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정답을 찾자. 68년 음주로 민망한 일을 겪을 수. 80년 평온한 바다에 한가로이 떠다니는 하루. 92년 고칠 수 없는 것은 미련 없이 버려라. [닭띠] 45년 행복은 마음에서 비롯. 57년 우물을 찾았으니 두레박은 만들어서 사용하면 된다. 69년 용띠 닭띠와의 거래가 순조롭게 진행. 81년 무도회에서 신발을 찾아 신는 꿈을 꾸다. 93년 서두르지 말고 한발 물러서서 생각을 해보자. [개띠] 46년 변화의 날이니 옷차림에도 신경 써라. 58년 골이 깊으면 산도 높은 법이니 희망을 품어라. 70년 모래 위에 세운 성은 바람 불면 날아가 버린다. 82년 같은 말이라도 아 다르고 어 다르다. 94년 목마른 사람이 우물을 판다. [돼지띠] 47년 습관이 주는 편안함을 이겨야 한다. 59년 주변이 인정해 주니 마음이 든든하다. 71년 변화가 있어도 영향은 미미하다. 83년 눈앞의 실속을 챙기다 큰 이익을 놓친다. 95년 업무가 많은데 친구가 찾아와서 근심을 덜어준다.

2025-02-21 04:00:31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계] 손바닥 위의 금융 핀테크

은행이 손바닥 위에 있다. 현대인들은 은행을 손에 들고 다닌다. 어딘가로 돈을 보낼 때도, 공과금을 낼 때도, 돈을 이체할 때도 손에 들고 다니는 스마트폰으로 간단하게 끝낸다. 그것뿐이 아니다. 주식을 살 때도, 펀드에 가입할 때도, 채권을 살 때도 스마트폰 하나면 손쉽게 할 수 있다. 안방에 누워서 금융 서비스를 마음대로 이용하는 것이다. 이런 편리함이 가능한 건 핀테크 덕분이다. 금융 서비스의 편리함에 감탄하면서 의외로 핀테크를 잘 모르는 사람이 많다. 핀테크는 금융(Finance)과 기술(Technology)을 합성해서 줄인 말이데 여기서 기술은 IT기술을 말한다. 물건을 사고 모바일로 결제하고 식당에서 페이로 밥값을 내는 게 가능한 것도 핀테크 기술 덕분이다. 예전에는 은행에 직접 가야만 할 수 있던 업무를 요즘은 대부분 스마트폰으로 개인이 직접 처리한다. 핀테크는 스마트폰, SNS, 빅데이터 같은 IT 기술이 금융 부문에서 종합적으로 융합하면서 금융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금융 산업의 판이 완전히 바뀐 것이다. 핀테크는 우리나라만 발달한 게 아니다. 미국과 영국은 정부 차원에서 핀테크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기술이나 고객 서비스 면에서는 미국과 영국이 훨씬 앞서고 있다. 이렇게 각국이 핀테크를 지원하는 이유는 전 세계적으로 금융과 IT 기술의 융합이 대세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경이 없는 인터넷 거래가 국가 경제에 미치는 비중이 갈수록 커지는 것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핀테크로 금융업계는 비용을 크게 줄였다. 시내 곳곳에 있던 은행이나 증권사 지점이 없어진 게 대표적이다. 지점과 직원 숫자가 줄면서 고정 비용이 줄어들었다. 핀테크로 금융 혁신이 일어난 업종은 송금 대출 자산운용 보험 등을 들 수 있다.

2025-02-21 04:00:29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Hanwha Philile Shipyard Emerges as a Key Hub for U.S.-Korea Shipbuilding Cooperation… U.S. Legislators Visit Shipyard for Inspection

Hanwha Group's U.S. shipyard, Philile Shipyard, which was acquired in June of last year, is gaining attention as a key hub for shipbuilding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the shipbuilding industry on the 20th, Mark Kelly, the U.S. Senator from Arizona who introduced the so-called "Shipbuilding Act" aimed at strengthening the U.S. shipbuilding industry, visited Hanwha Philile Shipyard on the 18th (local time) to discuss future strategic collaboration plans. Senator Kelly is the key figure behind the introduction of the "Shipbuilding and Port Infrastructure Act for America's Prosperity and Security" in the 118th U.S. Congress. The bill highlights the fact that only 2% of goods imported into the U.S. are transported on U.S.-flagged vessels and aims to expand the strategic merchant fleet to 250 ships within the next decade. It emphasizes the need for cooperation with allied nations, including South Korea, to achieve this goal. Philile Shipyard was fully acquired by Hanwha Ocean and Hanwha Systems in 2022, with a $100 million investment (approximately 1.38 trillion KRW at the time). The acquisition is intended to serve as a foothold for entry into the U.S. merchant ship and defense industry markets. Since 1997, the shipyard has been responsible for building half of the large container ships constructed in the U.S. Its docks are the largest in the U.S., with two 330-meter (length) by 45-meter (width) docks. The shipyard has primarily built medium-sized (MR) tankers, small container ships, and other mid-to-small-sized merchant vessels. To create synergy with Hanwha Ocean's Geoje plant, which focuses on large vessel orders, Philile Shipyard is expected to expand its portfolio by focusing on medium-sized tankers and container ships. There is also a potential for expanding into the U.S. Navy's 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MRO) business, which is valued at 20 trillion KRW annually,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shipbuilding in this sector. Hanwha Ocean has recently started preparations for its long-term strategy to obtain the Facility Certification License (FCL) for Philile Shipyard, which is necessary to qualify for U.S. Navy vessel 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MRO) contracts, as well as shipbuilding. Obtaining the FCL is essential for securing Navy MRO contracts. After reviewing the shipyard's production processes and listening to feedback from the field, Senator Kelly commented, "Currently, the U.S. has only half the shipbuilding capacity needed to meet demand." He added, "Korean shipbuilding has global competitiveness in terms of technology and productivity, making it the strongest partner for the U.S." Senator Kelly emphasized, "The direction the U.S. shipbuilding industry should take is not merely recovery, but a leap toward becoming a globally competitive, sustainable industry," and added, "We will support Philile Shipyard in playing a key role at the center of this transformation." David Kim, CEO of Philile Shipyard, stated, "The U.S. shipbuilding industry faces structural challenges such as supply chain instability and a shortage of skilled labor," and further emphasized, "We will do our best to resolve these issues and play an important role in growing the U.S. shipbuilding industry in a sustainable direction." Currently, Hanwha Philile Shipyard operates a three-year apprenticeship program, supporting participants in entering the shipbuilding industry without the burden of technical training cost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2-20 15:54:07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공언련, "딥페이크 차단은 당연, 좌파는 여론 호도말아야"

공정언론연대(공언련)가 "딥페이크 차단은 당연하다"며, "좌파는 여론을 호도하지 말라"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20일 공언련에 따르면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심위) 통신심의소위원회는 지난 18일,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를 대상으로 한 딥페이크 영상 2건에 대해 '사회 혼란 야기' 조항을 적용하여 접속 차단을 의결한 바 있다. 이에 대해 공언련은 방심위의 이 같은 조치가 허위 조작 정보와 성적 희화화를 방지하고, 건전한 공론장을 보호하기 위한 정당한 조치라고 밝혔다. 다음은 공언련의 성명서 주요 내용. 딥페이크 기술은 인공지능을 이용해 사실과 다른 영상을 만들어 내는 수법으로, 그 악용 사례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미 미국, 유럽 등지에서도 유사한 조작 영상이 심각한 법적·사회적 논란을 야기한 바 있다. 그러나 미디어오늘 등 일부 좌편향 매체들은 방심위의 결정을 '심기 경호'라 폄하하며 진영 논리에 따른 무분별한 비판을 쏟아내고 있다. 이들은 '표현의 자유'라는 미명 아래 명백한 허위 정보를 감싸며, 조롱과 비방을 '풍자'로 둔갑시키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언론의 책무를 저버린 채 특정 진영의 이해관계에 따라 편향된 프레임을 씌우려는 행태에 불과하다. 특히, 4기 방심위원을 지낸 심영섭 교수의 이중적 태도는 그 자체로 모순을 드러낸다. 그는 문재인 정부 당시 허위 합성사진 유포에 대해 '사회 혼란 야기' 조항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면서도, 이번 윤 대통령 딥페이크 영상에 대해서는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지 않는다'며 방심위 결정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2020년 방심위가 문재인 대통령의 '왼손 경례' 사진이 허위 조작 정보라 판단하고 차단 조치를 내렸을 당시, 심 교수는 '국론 분열을 초래하는 콘텐츠는 엄중히 다뤄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었다. 그러나 이번 사안에서는 정반대의 논리를 펼치며, 방심위의 결정을 정치적 판단이라 비판하고 있다. 더욱이 해당 영상들은 명백한 허위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팩션 연극'이라는 애매한 용어로 포장되며, 허위 조작 정보 유포를 정당화하는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이는 정보 신뢰성을 무너뜨리고, 국가 원수에 대한 명예 훼손을 방조하는 행위다. 해당 영상들이 특정 정치적 목적을 띠고 있으며, 선동적 효과를 노리고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단순한 '풍자'의 범주를 넘어서고 있음은 자명하다. 또, 방심위의 '사회 혼란 야기' 조항 적용이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일부 주장도 사실과 다르다. 해당 조항은 문재인 정부 시절에도 동일한 기준으로 적용됐으며, 단순한 패러디나 합성 영상이 아니라 대중의 혼란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한해 조치가 이뤄져 왔다. 이번 방심위의 결정은 법적 근거에 따른 정당한 심의 절차를 거친 것이며, 단순한 정치적 판단이 아님을 분명히 해야 한다. 우리는 방심위의 결정을 적극 지지하며, 이와 같은 딥페이크 허위 정보 유포에 대한 신속하고 엄정한 조치를 촉구한다. 허위 조작 정보는 국민을 혼란에 빠뜨리고, 민주주의 사회의 기반인 여론 형성을 왜곡시키는 위험 요소다. 표현의 자유는 보호받아야 하지만, 그것이 허위 정보 유포의 면죄부가 될 수는 없다. 또, 표현의 자유를 방패 삼아 특정 정치세력을 옹호하는 일부 편향된 언론의 이중적 태도를 강력히 규탄한다. 과거와 현재의 기준을 달리 적용하며, 정치적 유불리에 따라 논리를 바꾸는 행태는 국민을 기만하는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2025년 2월 19일 공정언론연대

2025-02-20 11:06:23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오늘의 운세] 2025년 02월 20일 목요일

[오늘의 운세] 2025년 02월 20일 목요일 [쥐띠] 36년 만남에 시간약속을 준수. 48년 모두 가질 수 없으니 하나는 양보. 60년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72년 부모님께 결초보은의 마음으로. 84년 우물가에 가서 숭늉 찾지 말고 일의 순서를 파악해야. [소띠] 37년 판단력이 흐려지니 외출을 자제. 49년 부적절한 관계는 망신 수를 부른다. 61년 자식 자랑에 입에 침이 마를 지경. 73년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르고 지출을 하게 되니 주의. 85년 상대의 작은 실수는 덮어 주자. [호랑이띠] 38년 주저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행동. 50년 답답해도 이해를 바라지 말고 상대를 설득시켜라. 62년 주머니 속 송곳처럼 창의력이 빛을 발한다. 74년 구정물에 발을 담그면 더러워지기 마련. 86년 감사한 일이 펼쳐진다. [토끼띠] 39년 마음 가는 대로 하루를 유유히 보내자. 51년 상대는 호의가 계속되면 당연한 권리로 착각. 63년 침묵은 금이다. 75년 닭 잡는 데 소 잡는 칼 휘두르게 되니 양보가 미덕. 87년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전에 신중하게. [용띠] 40년 안달하는 조급한 성질을 줄여보도록. 52년 산에서 밭을 갈고 물에서 고기를 낚듯이 유유자적. 64년 가족에게는 양보를. 76년 고래 등에 새우 등 터지니 동료를 이간질 하지 마라. 88년 주변 마음을 얻고 신망도 받는다. [뱀띠] 41년 송충이는 솔잎을 먹고 살아야 한다. 53년 남의 것을 탐내는 것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기. 65년 투자나 돈거래는 자중. 77년 초라한 사람을 우습게 봤는데 대표님이더라. 89년 소문난 잔치에 가니 먹을 것도 많다. [말띠] 42년 여의주를 얻었으니 무슨 일이든 도전해도 좋다. 54년 흡연은 신중히. 66년 건강을 위해 등산을 해보자. 78년 작은 잘못을 바로잡으려다 오히려 큰일을 망치니 신중하게 해야. 90년 소금 장사 나가는데 비 오는 격이다. [양띠] 43년 주머니에 손을 넣고서는 성공할 수 없다. 55년 칭찬에 신바람이 난다. 67년 오후에 싱크대 청소로 환기를. 79년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 하니 서로 돕자. 91년 뱁새가 황새를 따라가면 다리가 찢어진다 했으니 현실 직시. [원숭이띠] 44년 위기를 기회로 바꿀 수 있다. 56년 불평보다는 진취적인 사고방식을 지녀라. 68년 강을 건넜다고 배를 소홀히 해서는 큰 낭패를 본다. 80년 백문(百聞)이 불여일견(不如一見). 92년 외국보다는 신비로운 경주 여행을 가볼까. [닭띠] 45년 혼자는 외롭지만 둘은 괴롭다. 57년 죽은 나무에 물을 주는 것은 시간 낭비이고 슬픈 현실. 69년 기대를 안 하면 실망도 적다. 81년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들으니 항상 말조심. 93년 뭐 묻은 개가 훈계에 적반하장. [개띠] 46년 물에 빠지면 지푸라기라도 잡듯이 급할 땐 아무것에나 의지하게 된다. 58년 이득이 늘어난다. 70년 새벽 운전 조심. 82년 소문난 잔치에 먹을 것이 없으니 실력을 키워라. 94년 바늘 가는 데 실 가듯이 용 가는데 구름 간다. [돼지띠] 47년 사공이 많으면 의견통일이 어려우니 중심을. 59년 성과도 좋으니 전진. 71년 마음을 비우고 자식을 대하라. 83년 벼는 익을수록 겸손하게 고개를 숙인다. 95년 신념이 부족하니 삼거리에서 갈팡질팡하다가 시간 다 가버린다.

2025-02-20 04:00:08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계] 은행의 토대 메디치 가문

유럽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은행 가문이라고 하면 누구나 13~17세기 때 이탈리아 메디치가를 첫손에 꼽는다. 메디치가는 르네상스 시대에 이탈리아는 물론 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친 가문이다. 메디치가는 피렌체 공화국에서 금융업을 장악했고 문화예술 분야에 엄청난 지원을 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 미켈란젤로, 보티첼리 같은 예술가들을 후원해서 그들의 활동을 뒷받침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메디치가는 금융업에서도 눈에 띄는 업적을 남겼다. 메디치 가문의 시작은 흙수저였다. 처음에는 이탈리아 토스카나 지방에서 농사를 지었는데 생계를 유지하는 것조차 힘들었다. 장사를 하면 먹고사는 게 좀 나아질까 싶어서 피렌체로 향한 게 메디치 가문이 일어나는 출발점이 되었다. 메디치가는 피렌체의 주요 생산품이었던 양털과 모직을 거래했는데 상업에 재능이 있어서 많은 재산을 모을 수 있었다. 재산이 늘어난 메디치가는 은행업으로 눈을 돌렸다. 요즘 용어로 말하면 사업 다각화에 나선 것이다. 은행업에 뛰어든 메디치가는 당시 교황이었던 요한 23세에게 도움을 주는 일이 있었고 이를 계기로 교황청 재산관리를 맡았다. 메디치 은행과 거래하려는 귀족들이 줄을 이었고 메디치가의 재산은 급속도로 늘어났다. 메디치 은행은 유럽 주요 도시에 지점을 설립하며 활황을 누렸다. 유럽에서 가장 보유 자산이 많고 가장 훌륭한 은행이었다. 메디치 가문은 사실상 은행업의 선구자라고 불린다. 그 이유는 단순히 은행업을 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관련 업무를 획기적으로 바꾸어 놓은 공헌을 했기 때문이다. 그중 하나는 복식부기의 도입이다. 복식부기는 대변과 차변을 함께 기록해서 자산의 증가와 감소를 정확하게 볼 수 있도록 기록하는 방식이다.

2025-02-20 04:00:06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Steel Breaks in a Recession"... Steel Industry Struggles for Survival through Restructuring

The domestic steel industry is facing severe downturns, compounded by both the dumping pressure from Chinese products and the imminent high tariffs from the U.S. government. With global supply overcapacity and rising raw material costs, steelmakers are resorting to drastic measures for survival. Intense restructuring, such as workforce reductions and factory closures, is underway, and major companies are maintaining emergency management systems, betting their survival on overcoming the crisis. According to the industry on the 19th, Hyundai IMC, a subsidiary of Hyundai Steel, will accept voluntary retirement applications from technical staff until the 21st. The company plans to offer benefits to those applying for voluntary retirement, such as recognizing up to 50% of the remaining service period for up to 36 months and providing educational support of 10 million KRW per child. In December of last year, Hyundai Steel reached an agreement with its union to transition the Pohang No. 2 plant's steelmaking and rolling processes from the existing 4-shift, 2-team system to a 2-shift, 2-team system. This move is aimed at cost reduction and improving efficiency. Initially, Hyundai Steel had proposed shutting down the Pohang No. 2 plant, but a conflict arose when the union demanded an increase in investment alongside the withdrawal of the shutdown plan. Eventually, both sides reached a compromise by agreeing to reduce operations instead. As a result of the operational downsizing, the company is currently accepting requests for employee transfers. Employees working at the Pohang plant have the option to transfer to Hyundai Steel subsidiaries in Dangjin or Incheon or choose voluntary retirement. The specific timeline for the work transfers has not yet been determined. There is growing speculation that Hyundai Steel, having initiated voluntary retirement programs at its subsidiaries, may also pursue workforce reductions at the parent company in the future. This opinion is gaining weight, especially considering the overall decline in demand and increased cost pressures in the steel industry, making further workforce adjustments seem inevitable. However, Hyundai Steel has dismissed these concerns, stating that there are currently no plans for additional restructuring. The trend of restructuring in the steel industry is not limited to Hyundai Steel. In October 2024, POSCO Group also implemented voluntary retirement programs, targeting long-term employees with over 10 years of service at major subsidiaries such as POSCO and POSCO International. Notably, this large-scale voluntary retirement within the steel division is seen as the first of its kind in the group. This move is interpreted as a reflection of the growing sense of crisis across the industry. Earlier, POSCO implemented significant cost-cutting measures, including reducing executive salaries by up to 20% and abolishing its stock compensation system, as part of its efforts to improve management efficiency. POSCO Group Chairman Chang In-hwa is also accelerating business restructuring this year, pushing forward with the group's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Last year, POSCO secured 26.6 billion KRW in cash by selling its steel division's service center in China. Both inside and outside the industry, there are expectations that restructuring and business adjustments, particularly in China, will continue this year. POSCO Holdings is reportedly in the process of selling its Jiangsu Province Zhangjiagang Pohang Steel Mill as part of its restructuring efforts. In July of last year, the company also shut down the No. 1 wire rod plant at the Pohang Steelworks, unable to withstand the pressures of overcapacity in the global steel market. An industry insider commented, "Given the difficulties facing the domestic steel industry, Hyundai Steel's subsidiary implementing voluntary retirement along with employee transfers seems to be part of this broader trend. As production cuts are underway across the industry, it is expected that some level of workforce movement will be inevitable."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2-19 16:24:13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계] 성공을 위하여

세상의 이름난 인물들은 대부분 자기 분야에서 성공을 이룬 사람들이다. 모든 부분을 잘할 순 없지만 어떤 한 분야에서 괄목할만한 업적이나 발전, 발명을 이룬 사람들이다. 그런데 그들의 그런 성공은 엄청난 노력이 밑바탕 되어있고 성공의 내면에는 이루 말할 수 없는 외로움과 자기 자신과 싸움도 응축되어 있다. 근대의 발명가로 명성 높은 에디슨은 "천재는 1퍼센트의 영감과 99퍼센트의 땀으로 이루어진다."라는 체험적 명언을 남겼다. 영감은 창조적 천재들의 특성이기도 하지만 99%, 즉 처절한 노력이 뒷받침되지 않고서는 아무것도 이룰 수 없다는 또 다른 지적이다. 그는 심지어 "노력을 대신에 할 수 있는 것은 없다." 라는 말까지 했다. 천재과학자라고 알려진 그가 얼마나 피나는 노력을 하였는지 미루어 짐작이 간다. 성공을 이루는 사람들은 어떤 난관을 만났을 때 거기서 멈추지 않는다. 노력도 도전이고 도전 역시 노력에 속한다. 인생의 성공에는 많은 요인과 변수들이 있다. 성공한 사람들에게 좋은 운이 함께 하는 것도 무시할 순 없지만, 그 운도 스스로 노력하는 이에게 미소 짓는다는 것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보통 사람들은 일을 미루거나 다음 기회를 보겠다는 말을 많이 한다. 이렇게 되면 일에 힘이 빠진다.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한 시간의 소요는 필요하다. 의지와 노력이 빠질 때 우선으로 하는 행태는 미루기다. 게으른 사람들의 특징이다. 어떤 경우는 생계 핑계를 대며 미루기도 한다. 의식주 해결이 기본이니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도 있다. 그러나 굳이 성공을 위한 도전이 아니더라도 우리와 같은 보통 사람들은 어떤 과제를 만나더라도 쉽게 대는 핑계가 바로 "시간이 없어서…."라는 말 아니던가. 시간이 없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내기 싫은 것이다.

2025-02-19 04:00:29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오늘의 운세] 2025년 02월 19일 수요일

[오늘의 운세] 2025년 02월 19일 수요일 [쥐띠] 36년 마음을 정결히 하고 원하는 바를 간절히 기도해보라. 48년 행동은 사고에 의해 지배당한다는데. 60년 가벼운 산책으로 건강을 보살펴라. 72년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우게 되니. 84년 일취월장할 기회가 온다. [소띠] 37년 장황한 자기소개는 자괴감만 일어난다. 49년 내일 뛰지 않으려면 오늘 걸어야 한다. 61년 남의 말을 경청하는 버릇을. 73년 고생이 끝나면 좋은 일이 찾아오기 마련. 85년 남의 것을 욕심내면 내 것이 2배로 나간다. [호랑이띠] 38년 투자인지 그냥 적선인지 잘 구분. 50년 의미 부여는 왜곡된 상황을 초래. 62년 불행은 입 밖으로 내뱉는 순간 더 커진다. 74년 행복은 주변에 있으니 저 멀리서 찾지 않도록. 86년 평생을 병 주고 약 주는 배우자. [토끼띠] 39년 불만이 있어도 내색을 말도록. 51년 도움을 줬던 사람이 은혜를 갚으러 온다. 63년 실패를 좋은 경험으로 삼아라. 75년 건강을 잃으면 견이불식(見而不食)으로 행복이 도망간다. 87년 시작이 좋으니 마무리도 산뜻. [용띠] 40년 소통하는데 중요한 것은 상대의 마음. 52년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으니 더 분발. 64년 주변에 인색하지 않도록. 76년 사돈 간에 재물로 어르고 뺨치는 일이 예상. 88년 돌다리도 두드리고 아는 길도 물어서 가라. [뱀띠] 41년 날씨 탓만 하지 말고 밖으로 나가라. 53년 역마의 변화이니 움직여라. 65년 남의 눈에 티끌만 보지 말고 자신의 잘못도 생각. 77년 이직에 확실한 의사 표현이 필요. 89년 기다리던 곳에서 연락이 오니 마음이 기쁘다. [말띠] 42년 내키지 않는 술자리는 피하는 것이 상책. 54년 영업은 적극적으로 행동. 66년 재물로 인한 갈등이 있어도 나에게 유리. 78년 배우자가 있어도 마음이 허전하다. 90년 이혼한 배우자라도 건강과 안부를 챙겨야 하는 날. [양띠] 43년 말을 해야 마음을 전달할 수 있다. 55년 믿어 주는 사람이 있다. 67년 뭔가를 시작하기에 거슬리는 부분이 있다. 79년 문서관련 입이 경솔하면 일을 망친다. 91년 밤을 이겨낸 자만이 찬란한 새벽을 볼 자격이 있다는데. [원숭이띠] 44년 멀리 있다고 소홀히 대하면 원망을 듣는다. 56년 이직보다는 공부하도록. 68년 살다보면 알고도 속고 모르고도 속는다. 80년 연애사에 부적절한 관계는 망신살을 부름. 92년 큰 둑도 작은 구멍으로 무너진다는 걸 명심하도록. [닭띠] 45년 남에게 준 상처는 내게로 고스란히 돌아온다. 57년 논에 물들어 오듯이 일이 해결. 69년 거품은 사라지고 현실에 직면. 81년 실력 없는 사람이 떠들어 대니. 93년 흥부가 제비 다리를 고쳐주고 부자가 되었다는 말이 있으나. [개띠] 46년 천 리 길도 한걸음부터이니 다시 시작하자. 58년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 70년 병이 왔으나 약도 주어진다. 82년 낭충지추로 능력이 뛰어나면 다른 사람이 금세 알아본다. 94년 인색하다 보면 소문도 나빠진다. [돼지띠] 47년 눈치가 빨라야 절에 가서도 새우젓 얻어먹는다. 59년 손바닥으로 하늘은 가려지지 않는다. 71년 시련을 겪은 뒤에는 더 강해지는 것이 인생. 83년 빈 수레가 요란하니 조용히. 95년 검은색 옷 입을 일이 생기니 음주는 금지해야.

2025-02-19 04:00:27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Busy Busy' Business Leaders Are Focusing All Efforts on Securing Future Growth Opportunities"

As Korea's economy is expected to face a "perfect storm" (a complex crisis) this year, business leaders are accelerating efforts to secure future growth opportunities. The increasing uncertainty in the business environment, such as the inauguration of Donald Trump's second term in the U.S. and a prolonged gap in diplomatic and trade leadership, is prompting them to mobilize private sector capabilities to ensure stable growth in core businesses and secure leadership in global markets. According to the business community on the 18th, Hyundai Motor Group Chairman Chung Eui-sun recently traveled to the U.S. Despite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the U.S. remains the most strategic region for Hyundai Motor Group, which achieved impressive results. Hyundai and Kia sold over 1.7 million vehicles in the U.S. market, accounting for more than 25% of global sales, marking their highest performance. Chairman Chung, who has elevated Hyundai's technological prowess over the past 20 years, began his trip with on-site management at the 'Mohave Test Track' and later had a golf meeting with Donald Trump Jr., who is considered a key figure in the U.S. This is seen as a move to respond to President Trump's announcement on April 2 regarding reciprocal tariffs and automobile taxes. There are predictions that if the U.S. imposes a 10% tariff on automobiles, Hyundai Motor Group's profit could decline by over 4 trillion KRW. The industry is closely watching whether Chairman Chung can foster a closer relationship with the Trump administration and continue to achieve positive outcomes. SK Group Chairman and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KCCI) Chairman Chey Tae-won is scheduled to visit the U.S. to attend the Trans-Pacific Dialogue (TPD) in Washington, D.C. on February 21-22. This will be his first visit to the U.S. since the inauguration of President Donald Trump, and according to the disclosed schedule, he will be the first of the top four chaebols' leaders to visit Washington, D.C. The TPD is an event hosted by the CJ Chey Foundation, which Chairman Chey leads, and has been held since 2021. While the event is usually held in December, this year's timing was adjusted to February due to U.S. and Japan political schedules. Given that the event has previously seen prominent opinion leaders from Korea, the U.S., and Japan, influential figures from politics and business are expected to attend this year's event as well. Within the business community, there are expectations that Chairman Chey will present new collaboration strategies with the U.S. and Japan, which he has previously discussed. Discussions are also anticipated on various sectors that are becoming key pillars of the global economy in the AI era, such as semiconductors, infrastructure, and energy industries. Recently, Samsung Electronics Chairman Lee Jae-yong, who has resolved his legal risks, is highly likely to visit the Middle East for his first overseas business trip. Industry insiders expect him to visit Abu Dhabi, UAE, this month. The UAE is not only the first destination Lee visited after becoming chairman in October 2022 but also the place he visited the day after being acquitted in his first trial. During his visit, Lee is expected to focus on cooperation in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s like 6G, IT new businesses, and semiconductor-related collaborations. Kim Dong-kwan, the eldest son of Hanwha Group Chairman Kim Seung-yeon, is focusing on expanding the group's competitiveness in the defense sector, which is one of its core areas. Kim Dong-kwan, who recently visited the UAE, met with Faisal Al Bannai, CEO of EDGE Group, on the 17th to discuss ways to build strategic partnerships in the defense industry, as well as in space, shipbuilding, and maritime sectors. Additionally, Kim explored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in unmanned air defense systems, space and satellite industries, and potential cooperation between Hanwha Ocean and EDGE Shipyard in the shipbuilding and maritime sectors. Hanwha and EDGE plan to continue discussions to establish concrete collaboration strategies and expand their strategic cooperation in the defense and related industries. An industry insider commented, "Given the challenging current situation in our country, companies are proactively preparing countermeasures to respond to the tariff bomb from the Trump administration. However, there are limits to what businesses can solve on their own, so there is also hope for diplomatic support from the government."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2-18 16:24:53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상회의 사계] 보름달의 복덕

보름달은 바라보는 그 자체만으로도 마음이 풍요롭고 푸근하다. 비가 오거나 구름으로 흐려진 때가 아니라면 일 년에 12번에서 13번을 볼 수 있는 셈이다. 그 가운데 으뜸은 며칠 전의 정월 보름달과 가을의 한가위 보름달이다. 특히 정월은 음력으로 한 해를 시작하는 달이라 정월 보름이 아니라 정월 대보름이라고 부른다. 때가 때니만큼 한 해의 운세를 살피기 위해 점占도 쳐보며 혹여 흉을 피할 수 있는 피흉취길의 정성과 방편을 취하는 것도 정월 보름을 앞뒤로 하는 전통적 풍속이다. 대보름날에는 떠오르는 달을 보면서 소원을 빌었는데 달맞이라고 불렀다. 농사의 풍년과 가족의 평안을 빌며 달맞이를 하는 이때 소나무 가지나 탈곡이 끝난 짚단을 모아놓고 불을 지르는 달집태우기도 했다. 불을 태우며 집안의 나쁜 기운을 몰아내면서 가내의 풍요를 기원했다. 이런 전통 풍습은 사라져가고 있지만 아직도 보름날 새벽 또는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부럼 깨기를 하는데, 대보름날 새벽에 호두 잣 땅콩 등 부럼을 깨물면서 "부럼이요~" 하고 외치면 부스럼이나 종기가 나지 않는다는 믿음이 있었다. 귀밝이술도 재미있는 풍속 중의 하나이다. 차게 한 청주를 한 잔 마시는 귀밝이술은 일 년 동안 귀를 밝게 해 주고 나쁜 소식은 듣지 않게 해달라고 하는 것으로 부녀자들도 함께 마셨다. 정월 보름날에 먹는 오곡밥은 빼놓을 수 없는 귀한 풍속이다. 다섯 가지 이상의 곡식으로 밥을 지어 먹는 오곡밥은 묵은나물과 함께 먹으면 건강에도 좋을 뿐만 아니라 시래기나 숙주나물 등 아홉 가지 나물을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타지 않는다고도 한다. 오곡밥은 세 집 이상 남의 집밥을 먹어야 운이 좋다니 보름은 지났지만, 아직 정월이니 오복 있는 영양소를 취하여 한해 건강을 잘 지키길 바란다.

2025-02-18 04:00:04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오늘의 운세] 2025년 02월 18일 화요일

[오늘의 운세] 2025년 02월 18일 화요일 [쥐띠] 36년 공로를 인정받아 명예를 얻는다. 48년 로또를 원하면 일단 로또를 사야지만. 60년 흰색이 행운을 주니 옷에 변화를. 72년 모난 돌이 정 맞는 법이니 조용히. 84년 집을 지으려는데 여러 사람이 말이 많아 혼란. [소띠] 37년 숨어 있는 낭비를 줄이고 긴축재정. 49년 자존심만 내세우면 적이 많이 생긴다. 61년 지나온 세월이 허망하기만 하다. 73년 팔자가 세다고 나쁘다는 의미는 아니다. 85년 소화가 안 된다면 건강검진을 받아보라. [호랑이띠] 38년 찬란한 태양이 나를 위해 비춘다. 50년 주저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행동. 62년 바람이 불어대니 마음 둘 곳을 모르겠다. 74년 평소의 신용으로 기회와 인맥이 이어짐. 86년 하늘은 맑고 공기도 좋으니 마음이 편안. [토끼띠] 39년 사람을 믿는 것이 가장 큰 자산. 51년 격한 언쟁은 서로에게 피해만 줄 뿐. 63년 가정의 화목을 우선시하라. 75년 이 사날은 길일을 잘 잡아서 가는 것도. 87년 고생한 만큼 성과가 좋고 원하던 일이 이루어진다. [용띠] 40년 약간의 먹구름은 무시해도 좋다. 52년 아무리 천재라도 노력은 필요. 64년 남의 의견에 좌우되지 말고 주관을 가져라. 76년 뛰어난 인재가 많아도 아폴로 신드롬이 될 수. 88년 귀인을 만나면 장기투자도 괜찮다. [뱀띠] 41년 그물에 갇힌 고기처럼 답답한 하루. 53년 기다리던 문서를 잘 살펴야 실수가 없다. 65년 눈 건강이 염려되니 안과를 방문. 77년 양보다는 질을 따지고 물건을 구입해야. 89년 전원주택 좋아 마라 집 변화는 신중하게. [말띠] 42년 놓친 고기가 더 커 보인다. 54년 하룻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르고 덤비다 낭패 본다. 66년 자신을 격려하라. 78년 이웃집에 가봐야 나는 빈손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 90년 마음을 편안하게 가지면 세상이 아름답다. [양띠] 43년 운이 호전되어 금전이 따르는 하루. 55년 가까이 있는 사람을 소중히 여겨라. 67년 오늘의 불운을 어제의 교만이다. 79년 말이 많다보면 속빈강정이 되니 자중하여 행동. 91년 진실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니 포용이 필요. [원숭이띠] 44년 손톱 밑에 가시가 박히니 신경 쓰인다. 56년 주변의 무관심으로 오히려 마음 편하다. 68년 잔소리하는 배우자가 제일이다. 80년 분실 수가 있으니 내가 조심하도록. 92년 젊을 때 노후를 위해 연금보험 가입을 고려하자. [닭띠] 45년 자신의 특기를 큰 자랑으로 여기지만 별거 아니다. 57년 유혹이 많으니 절제를. 69년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 81년 시시비비를 가리다 내 실수가 더 많아 튀어나온다. 93년 문서 운이 있으니 거래가 순조롭다. [개띠] 46년 죽은 나무를 보살피고 있는 것은 아닌지. 58년 오후 교통안전에 유의. 70년 산토끼 잡으려다 집토끼 놓칠 수 있으니 주의. 82년 비가 그치면 무지개가 뜨듯 인생길도 그러한 것. 94년 망설이지 말고 새로운 일에 도전을. [돼지띠] 47년 충고는 수용하는 것이 신상에 이롭다. 59년 작은 성과는 있으나 만족하지 못한다. 71년 하나를 뿌리고 열 개를 얻는 날. 83년 면접 시에 생각과 말이 막히니 미리 연습을. 95년 배우자의 빈자리가 크게 느껴진다 해도 결혼은?

2025-02-18 04:00:02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K-defense' targets Africa and the Middle East… Showcasing advanced technologies at the international defense exhibition 'IDEX 2025'"

South Korean defense companies are showcasing the power of "K-defense" at the largest international defense exhibition in Africa and the Middle East. According to the industry on the 17th, Hyundai Motor Group and Hanwha Group's defense subsidiaries are participating in the international defense exhibition "IDEX 2025" to showcase advanced technologies. Kia will unveil the Medium Standard Vehicle (KMTV) bonnet-type bare chassis, the Small Tactical Vehicle (KLTV) two-seat cargo, and the Tasman. Kia's medium standard vehicle is set to replace the existing 2½-ton and 5-ton military standard vehicles, and it is scheduled to be supplied to the Korean military starting in June this year. Equipped with various convenience features such as front and rear cameras and navigation, this vehicle ensures safer transportation of personnel and supplies. It has capabilities like fording a 1-meter-deep river, climbing a 60% grade (both forward and backward), handling a 40% side slope, and a transport capacity of up to 25 passengers. The medium standard vehicle bonnet-type bare chassis is made up of just the frame and engine, allowing it to be customized into various forms depending on its specialized use. The small tactical vehicle two-seat cargo is designed to help secure safe military mobility in various environments, with capabilities such as fording a river with a depth of 760 mm, handling a 60% grade, navigating a 40% side slope, starting in temperatures as low as -32°C, and having electromagnetic shielding. The Tasman, the brand's first true pickup, will be showcased as a dedicated show car with various special features tailored to the local environment, including a desert-colored matte paint, snorkel, and front bumper with fire extinguishing capabilities. "Exhibition booth of Hyundai Wia at IDEX 2025, held at the Abu Dhabi International Exhibition Center in the UAE on February 17 (local time) / Hyundai Wia" 4o mini Hyundai Wia is participating in the exhibition for the first time, unveiling a range of mobile artillery systems in the form of mockups (display models). The mobile artillery system is a weapon system that reduces the weight of existing products and significantly improves mobility by being mounted on vehicles.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lightweight 105mm self-propelled howitzer" mounted on a small tactical vehicle. This lightweight 105mm self-propelled howitzer was developed through the rapid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by the Defense Acquisition Program Administration (DAPA), and it boasts a maximum range of about 14 kilometers, longer than traditional self-propelled howitzers. Also on display are mockups of tactical vehicle-based future weapon systems, such as the vehicle-mounted 81mm mortar for rapid fire support in infantry combat and the vehicle-m Hanwha Group's defense subsidiaries are showcasing key technologies of the Korean Integrated Multi-Layered Air Defense Solution. Hanwha Aerospace and Hanwha Systems are displaying advanced air defense capabilities, including key components such as multi-function radars (MFR), guided missiles, and launchers. These include the Long-Range Surface-to-Air Missile System (L-SAM), known as the "Korean THAAD," the Korean Iron Dome Long-Range Artillery Intercept System (LAMD), and the Korean Patriot Medium-Range Surface-to-Air Missile System (M-SAM). The L-SAM is a surface-to-air defense system capable of tracking and intercepting incoming enemy missiles from much longer distances than any other air defense system currently held by the Korean military, enabling early destruction of the threats. At this exhibition, the companies showcased the key technologies of the multi-layered air defense solution, including the multi-function radar (MFR), launchers, and guided missiles, which are essential for the operation of L-SAM. The L-SAM guided missile, developed jointly by the Agency for Defense Development (ADD) and Hanwha Aerospace, features a multi-pulse propulsion system that generates stepwise thrust to reach stratospheric altitudes with low air density. Additionally, it is equipped with a Dual-Axis Control System (DACS) that precisely controls the missile's posture with minute gas ejection, even at high altitudes where the air is thin. Hanwha Aerospace showcased a K9 self-propelled howitzer equipped with a domestically produced engine. The K9, which is powered by a 1,000-horsepower diesel engine, recently passed durability tests in Egypt and will begin full-scale production in Egypt later this year. In 2022, Hanwha Aerospace signed a package export contract worth 2 trillion KRW with the Egyptian government, which includes the K9, K10 ammunition carrier, K11 fire control command vehicle, and other systems.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2-17 16:29:17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신세철의 쉬운 경제] 헤라클레스와 소몰이꾼

소몰이꾼이 도랑에 빠트린 짐수레를 제힘으로 건져낼 노력은 하지 않고, 신들 가운데 그가 특별히 존경하는 헤라클레스에게 수레를 꺼내 달라고 기도하고 기도했다. 마침내 헤라클레스가 소몰이꾼 앞에 나타나서 이렇게 꾸짖었다. "먼저 네 손으로 수레바퀴를 힘껏 밀고 소를 채찍하거라. 너 스스로 힘쓰지 않는다면, 아예 기도도 하지 마라. 노력하지 않으면서 신을 찾으면 모두 다 헛일이 될 테니까 말이다"(이솝우화 '소몰이꾼과 헤라클레스) 어쩐 셈인지, 운세산업이 번성하다 보니, KAIST N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 신당'을 서울 인사동에 등장시켰다는 최근 뉴스를 보고 생각나는 우화다. AI 목사, AI 스님에 이어 멀지 않아 AI 예수, AI 석가모니가 사람들의 영혼을 이끄는 세상이 되면 나쁜 운명과 재수 없음을 걱정하지 않아도 될까? 웬일이지 겁난다. 오래전, 어떤 욕심쟁이는 재직 회사 재산을 야금야금 빼내 자기 회사를 차리고는 대운이 터져 졸부가 된 줄 알았다. 무당을 모셔다 허구헌날 푸닥거리를 일삼아 주변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운이 좋아 썩은 돈탑을 쌓을 수 있었다고 착각하며 정직한 사람들을 외려 업신여기고 으스댔다. 얼마 가지 않아 믿었던 부하가 자산을 몽땅 빼돌리고 오히려 고발하겠다는 시늉을 하자 떨었다. 거부가 될 거라는 무당의 거짓 예언에 탄복하다가 부하 또한 자신과 같은 아류일 줄 짐작하지 못했을까? 그 더러운 돈은 다 날아갔지만 뇌리에 깊숙이 새겨진 죄업은 좀처럼 지워지지 않을 거다. 사람이 "살다가 보면 넘어지지 않을 데에서 넘어질 때도 있다." 또 신바람이 나서 맘껏 달리고 싶을 때도 있기 마련이다. 바른말을 하며 떳떳하게 살다 보면, 엉뚱한 구설수로 시샘 많은 자들의 입에 오르내릴 수도 있다. 하찮은 일에 일희일비하면서 운이 없다거나 재수가 좋다고 으스대다가는 갈 길이 헷갈려 앞길을 스스로 가로막는 꼬락서니가 된다. 보람을 느끼며 살아가는 방법은 세상의 이치를 저버리지 말고 바른 자세로 가야 할 길을 뚜벅뚜벅 가는 것이다. 자신과 나라의 내일을 짊어질 '젊은 사자들'은 돌아가신 조상의 은덕을 바라지 말고, 헤라클레스의 도움을 기다리지도 말라. 관상, 사주팔자, 점성술에 기대다가 결국엔 인생 망친다. 가야 할 길을 제 스스로 개척해야 하는데, 자신의 의지를 내치고 변덕스러운 점쟁이를 찾아가 앞길을 묻는다면 어찌될까? 점쟁이 맘에 따라 변해가는 점괘에 따라 이리저리 휘둘리다 무뇌충이 되기 십상이다. 옳고 그름, 정의와 불의를 제쳐두고 부귀와 권세를 탐하다 보면 패배감 아니면 우월감 같은 망상에 사로잡혀 판단력을 상실한다. 눈앞의 이익에 눈이 어두워 노력은 하지 않고 관상이나 사주팔자에 탐닉하다 보면 미래를 헤아리는 혜안을 기르지 못해 어느새 뿌리치지 못할 근심거리가 다가온다. 세상사를 되도록 멀리 보고 눈앞의 이해관계에 급급하지 않고 순응하여야 헛발을 디디지 않는다. 긍정적 사고와 감사하는 자세를 이어가면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는 이치를 깨닫게 되어 마음 편안해진다.

2025-02-17 10:23:07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김소형의 본초 테라피] 세 가지 맛을 가진 독특한 봄나물 '눈개승마'

매서웠던 추위가 차츰 누그러지고 있다. 날씨가 조금씩 풀려 갈수록 성큼 다가오는 봄이 느껴진다. 봄이 오면 따뜻한 날씨도 좋지만 조금 더 풍성해질 식탁 또한 기다려진다. 특히 가지각색 매력으로 무장한 각종 산나물 때문에 더욱 그렇다. 달래, 두릅, 냉이처럼 잘 알려진 봄나물도 많지만 생소한 이름의, 그렇지만 매력 만점 봄나물도 적지 않다. 예를 들어 '눈개승마'가 그렇다. 장미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눈개승마는 우리나라 각지의 산지에서 자라난다. 30cm에서 크게는 1m까지도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긴 잎자루를 가지고 있다. 눈개승마라는 이름은, 이른 봄에 눈이 채 녹기도 전에 눈을 뚫고 자라난다고 하여 붙여졌다. 눈개승마의 별칭으로는 삼나물이 있다. 그 잎이 삼을 닮았고, 인삼과 두릅 거기에 고기 맛까지 세 가지 맛이 난다고 하여 삼나물로도 불린다. 두릅처럼 어린잎을 살짝 데쳐 먹거나, 말린 후 조리하면 흡사 고기와 같은 쫄깃한 식감으로도 즐길 수 있다. 지금은 고인이 된 세계적 팝스타 마이클 잭슨이 내한했을 당시, 눈개승마가 들어간 산채비빔밥을 한국에서 머무는 내내 즐겼다는 일화는 무척 유명하다. 근래 들어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재배 농가가 크게 늘고 있으며,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도 인기가 많다. 다른 봄나물 종류들처럼 몸에 좋은 성분들 역시 가득 들어있다. 철분, 인과 같은 필수 미네랄과 베타카로틴과 같은 양질의 비타민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는 것은 물론 인삼의 주요 성분이 사포닌 역시 들어있다. 이러한 까닭에 오래전부터 약재로 눈개승마를 활용해 왔다. 『동의보감』에서는 눈개승마를 두고 온갖 독을 풀어주고 기운을 북돋워 준다고 적고 있다. 그 외에도 항암, 항산화 성분이 있다는 다양한 연구 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눈개승마는 보통 다른 봄나물들처럼 무침이나 볶음, 장아찌, 비빔밥으로도 먹지만 차로도 즐길 수 있다. 물 1리터를 기준으로 눈개승마 한 줌을 넣고 우려 마시면 된다.

2025-02-17 05:38:50 메트로신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