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WC25] SKT "'AI 피라미드 2.0' 비전 따라 '돈 되는 AI' 보여주겠다"
세계 최대 정보통신기술(ICT) 박람회 'MWC25'가 3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했다. 이동통신 사업에서 양자, 인공지능(AI) 사업으로 무게추를 옮긴 통신3사는 수백 평 규모의 대형 전시관을 마련하는 한편, 현장에서 속속 향후 미래 사업 비전을 발표하고 있다. SK텔레콤이 MWC25에서 본격적인 인공지능(AI) 기술 수익화 계획을 공개하고 관련한 내용을 홍보하기 위한 전시관을 대대적으로 꾸렸다. SK텔레콤은 3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열린 MWC25 현장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향후 미래 비전을 밝히고 전시장 중심부에 약 300평형 규모의 초대형 전시장을 열었다. 유영상 SK텔레콤 CEO는 직접 현지 기자간담회에서 AI 기술 경쟁력 강화 및 수익화에 관한 SK텔레콤의 청사진인 'AI 피라미드 2.0' 비전을 발표했다. AI 피라미드 2.0 전략은 1단계 AI DC, 2층 AI B2B, 3층 AI B2C로 구성된다. 1단계부터 3단계까지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AI 피라미드 2.0 전략의 첫 걸음은 AI DC 분야다. SK텔레콤은 AI DC 분야로 가장 빠르고 안정적인 수익화를 시작한 후 궁극적으로 AI B2C 사업의 성공까지 도모할 예정이다. 첫 단계인 AI DC 사업은 ▲구독형 AI 클라우드 GPUaaS(서비스형 GPU) 서비스 ▲소규모 모듈러 AI DC ▲단일 고객 전용 AI DC ▲하이퍼스케일급 AI DC 등 총 4대 사업 모델로 세분화된다. SK텔레콤의 AI DC는 SK하이닉스의 HBM을 필두로 그룹 멤버사들의 친환경 에너지 솔루션 등 에너지·AI 메모리·운영·보안 등의 역량을 집대성하고, 글로벌 파트너사들의 노하우까지 과감히 총망라한 최신기술의 집약체가 될 예정이다. 비전 발표가 있었던 만큼, SK텔레콤은 현장 전시관 또한 신사업으로 역량을 집중 중인 AI DC를 중심축으로 로봇 자율주행, 글로벌 영상 콘텐츠 현지화 지원 기술 등을 소개했다. 선제적으로 개발한 AI DC 보안 기술도 공개했다. 'AIDC 시큐어에지'는 제로트러스트 방식을 적용, AI DC 내부 데이터부터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개인정보까지 종합적으로 보호하며 원격 해킹 시도를 차단한다. AI DC와 관련한 SK그룹 차원의 AI 반도체 기술이 돋보이는 공간도 마련됐다. SK하이닉스의 고대역폭 메모리인 HBM3E와 데이터센터용 고성능 SSD 스토리지 등의 첨단 제품, SKC의 유리기판, SK텔레콤이 전략적으로 투자한 리벨리온의 AI 추론 특화 NPU 관련 기술력을 선보일 예정이다. 한편, SK텔레콤은 이날 현지에서 통신사들의 인공지능(AI) 연합인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 총회도 개최했다. 이앤(e&) 그룹 전시관에서 진행된 총회에는 유영상 SK텔레콤 최고경영자(CEO), 팀 회트게스 도이치텔레콤 회장, 하템 도비다 이앤그룹 CEO, 위엔 콴 문 싱텔그룹 CEO, 아나 입 싱텔그룹 인터내셔널 디지털 서비스 CEO, 타다시 이이다 소프트뱅크 최고정보보안책임자(CISO)가 참석해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의 성과 및 향후 협력 방향성에 대해 논의했다. 유영상 CEO는 기조 연설을 통해 "AI라는 대변혁의 시대를 맞아 통신사에도 전례 없는 기회가 창출되고 있다"며 "AI 서비스 확장을 위한 강력한 기반인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 구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