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클라우드 시장 진출 선언속 KT 등 업계 '들썩'
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가 클라우드(서버 가상화 서비스) 플랫폼 사업 진출을 선언하자 관련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네이버의 자회사 NBP는 17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 파트너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관련 사업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그간 네이버 등 계열사에게만 활용했던 클라우드 기술을 일반 기업에게도 오픈하겠다는 것이다. 클라우드는 인공지능(AI), 자율주행차, 사물인터넷(IoT) 등 미래 산업 혁신의 기반이 되는 핵심 기술이다. 서버나 데이터 저장장치(스토리지) 등 전산 설비와 업무용 소프트웨어(SW)를 인터넷망을 통해 유료로 빌려주는 업종이다. 박원기 NBP 대표는 "향후 2년 내에 클라우드 사업에서 기술 플랫폼으로 '글로벌 톱5' 회사로 성장하겠다"며 "기업이나 개인들이 제 2, 제 3의 네이버와 라인으로 성공할 수 있도록 그동안 쌓아온 비즈니스 노하우와 성공 경험, 기술 역량을 시장에 나누며 중소 업체의 비즈니스 성장을 돕는 데도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가 클라우드 사업에 자신감을 가지는 이유는 그만큼 노하우가 쌓였기 때문이다. NBP는 이미 네이버, 라인, 스노우, 브이 등의 서비스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운영하며 기술과 운영 역량을 쌓아왔다. 대용량 데이터 처리와 트래픽 급증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하드웨어 가속 기술, 고성능 메모리 기술, 소프트웨어 정의 기술 등 클라우드 구현에 가장 중요한 원천 기술도 확보했다. 2013년 6월에는 국내 인터넷기업 최초로 친환경에너지 데이터센터 '각(閣)'을 강원 춘천시에 구축했다. 현재 일본, 미국, 독일 등 9개국에 글로벌 거점을 구축한 상태다.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은 컴퓨팅, 데이터, 시큐리티, 네트워크 등 가장 기본적인 30여개의 인프라 상품 위주로 선보인다. NBP는 매달 4~5개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추가하면서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하겠다는 방침이다. 당장 이달에 2개, 내달 9개의 신상품을 내놓는다. 네이버가 자사 계열사에게만 제공하던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업화한 것은 클라우드가 성장 가능성이 큰 미래 사업이기 때문이다.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1조1900억원으로 전년 대비 55.2% 늘었다. 마이크로소프트(MS), IBM, 구글 등 글로벌 기업이 주도하고 있는 해외 클라우드 시장은 지난해 965억 달러에서 2020년 1950억 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 대표는 "제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고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면서 과거 리치 콘텐츠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수백 배 이상 많은 데이터가 생성, 소비되고 패턴화되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며 "정확하게 저장한 데이터를 분실 없이 잘 보관하고 원하는 목적에 맞게 처리, 분석해 서비스를 제대로 유저에게 전달하느냐는 클라우드가 가지는 숙제"라고 말했다. 자율주행시스템이나 AI가 '인간의 뇌'라면, 클라우드는 '육체'로 볼 수 있는 셈이다. 국내 시장의 경우 1등 업체인 KT 등과 경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NBP는 지난 2월, KT에 이어 국내에서 공공클라우드 보안인증을 두 번째로 획득해 국내 공공클라우드 시장 경쟁 신호탄을 쏘기도 했다. KT는 이날 서울 목동 CDC(Cloud Data Center) 2센터에 기업전용 클라우드 존인 '서울-M2존'을 신규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번 서울-M2존 추가 구축으로 KT는 총 5개 CDC를 기반으로 7개의 기업전용 멀티존을 운영하게 된다. 서울-M2존의 클라우드 서버 이용 가격도 글로벌 사업자 대비 최대 18%까지 절감된 비용으로 대폭 인하했다. KT 관계자는 "네이버의 클라우드 사업 진출은 관련 시장 규모가 커진다는 면에서 긍정적"이라며 "앞으로 공공 클라우드 등 클라우드 사업 규모가 더욱 커지면 경쟁도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