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습 드러낸 '꿈의 항공기' 보잉 787-9, 고효율·친환경으로 승부
【영종도(인천)=김나인 기자】27일 오전 인천 중구 대한항공 인천국제공항 격납고. 격납고 문이 열리자 국내에서 최초로 공개된 보잉 787-9가 웅장한 모습을 드러냈다. 길이 62.8m, 높이 17m, 너비 60.1m, 무게 254t인 날렵한 중형기의 디자인이 눈에 들어왔다. 기내에 들어선 기자의 눈길을 가장 먼저 사로잡은 것은 기존보다 78% 커졌다는 탁 트인 창문. 창문 덮개를 엎애고, 버튼 조작만으로도 창문의 푸른색 채도를 5단계로 조절할 수 있었다. 기자가 탔던 기존 항공기에선 볼 수 없었던 기능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특수 젤이 들어 있는 창이 설치돼 창에 흐르는 전류량에 따른 화학반응으로 투명도가 변화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대한항공이 차세대 신형 항공기 즉 '꿈의 항공기(드림라이너)'로 불리는 보잉 787-9를 국내에 들여왔다. 대한항공은 이날 인천국제공항 격납고에서 조원태 사장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보잉 787-9 항공기 도입 기념식을 열고 항공기 내·외부를 출입기자들에게 먼저 공개했다. 보잉 787-9은 탄소섬유 복합소재를 기체 전 분야에 도입한 최초의 여객기이다. 전세계 항공사 중에선 대한항공이 23번째로 도입했다. 항공기 무게 기준으로 50%의 탄소복합소재, 20%의 알루미늄합금, 14%의 티타늄이 사용됐다. 조원태 대한항공 대표이사는 "쾌적한 기내기압, 최적의 습도유지로 항공여행의 불편함을 크게 개선한 고효율·친환경 항공기"라고 보잉 787-9를 소개했다. 새 비행기는 오는 3월 중순부터 김포~제주 노선에 투입되고 이후 토론토, 로스앤젤레스, 마드리드 등 장거리 국제선 노선도 오갈 예정이다. 보잉 787-9 좌석은 일등석 6좌석, 프레스티지석 18좌석, 일반석 245좌석 등 총 269석으로 구성됐다. 탄소복합소재가 사용돼 내구성이 높고 기압, 습도 등 고객 편의 기능도 대폭 향상됐다. 특히 기내 기압이 한라산이나 지리산 수준(1800m 높이)으로 유지돼 피로감을 줄인다. 기존 항공기의 경우 기내 기압은 백두산 수준(2400m 높이)이기 때문에 산소가 부족해 쉽게 피로해졌다. 기존 약 11% 수준이던 기내 습도도 15~16% 수준으로 올렸다. 엔진을 둘러싼 덮개에는 신기술이 적용돼 엔진으로 인한 소음도 대폭 감소해 조용한 항공 여행을 즐길 수 있게 됐다. 기내 인테리어도 달라졌다. 프리미엄 케빈 인테리어가 적용된 기내는 최신 발광다이오드(LED) 조명 기술로 시간과 환경에 따라 기내 색상과 밝기가 조명된다. 총천연색 조명 색부터 차분한 밝기까지 항공기 이륙에서부터 식사·음료, 취침, 착륙 등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특히 와류 발생을 줄여 연료효율성을 높인 날개 끝 '레이키드 윙 팁'(Raked Wing Tip) 등 보잉 787-9 기종의 6개 핵심부품은 대한항공의 기술력이 스며들었다. 취임 이후 처음 공식석상에 선 조원태 사장은 이날 기내에서 이색간담회를 열어 눈길을 끌었다. 조 사장은 "보잉 787-9는 3월12일부터 제주 노선에 투입하고 6월부터 토론토에도 취항할 것"이라며 "로스앤젤레스, 마드리드 등 장거리 노선도 수요에 맞게 투입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조 사장은 올해는 연매출 12조원을 목표로 삼았다. 조원태 사장은 "유가도 오르고 시장·경제 상황이 좋지 않지만, 1000% 안팎의 부채비율도 차차 내려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신 항공기를 꾸준히 도입하면서 부채비율을 낮추겠다는 계획이다. 조 사장은 "두 가지가 상충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최신 항공기를 많이 들여오고 서비스를 더 많이 하면 가치가 창출이 된다"며 "환율의 영향은 있겠지만 매출을 극대화 시켜 (부채를)갚아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