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외국인은 'BUY KOREA' 국내 투자자는 '글쎄…'

'코리아 디스카운트(국내 증시 저평가)' 해소를 위한 '밸류업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가운데 외국인 투자자들의 '바이 코리아(Buy Korea)' 기조가 유지되고 있다. 반면 국내 개인투자자들은 해외투자 확대에 더욱 몰리는 추세다. 금융감독원이 8일 발표한 '6월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외국인의 상장주식 순매수는 총 22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98년 이후 역대 최고 수준이다. 6월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이 순매수한 상장주식 규모는 2조8980억원으로, 지난해 11월부터 8개월 연속 순매수 움직임을 보였다. 지난달 말 기준으로 외국인의 상장주식 보유액은 859조2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67조9000억원 늘었으며, 이는 전체 시가총액의 30.0%를 차지했다. 한국거래소 집계 결과 상반기 외국인의 순매수 1위 종목은 삼성전자로 7조9971억원을 매수했다. 이어 SK하이닉스(3조8039억원)와 현대차(3조4541억원)가 외국인 투자자들의 선택을 받았다. 금융투자업계는 외국인의 '바이 코리아' 배경으로 인공지능(AI) 산업을 중심으로 한 '반도체 슈퍼사이클'을 꼽았다. 반면 국내에서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서학개미'는 점점 더 늘어나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이 보유한 외화증권(주식 및 채권) 보관잔액은 지난 3일 기준 1331억5700만달러(183조9천617억원)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중에서도 미국 시장 쏠림 현상이 심했는데 미국 증권의 보관액은 994억1400만달러(137조3천106억원)로 전체의 75%에 달했다. 이러한 현상은 코스피의 상반기 수익률이 다른 주요국 대비 낮은 수익률을 보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8일 기준 코스피의 연초대비 상승률은 7.63%다. 동기간 미국 나스닥은 22.25% 올랐으며, 전쟁 중인 이스라엘 TA35지수도 9.91%의 상승률 기록했다.

2024-07-08 17:32:20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SK하이닉스 8일 약보합 마감... 2분기 실적 전망은

SK하이닉스가 8일 약보합 마감했다. 이날 오전 9시 SK하이닉스는 23만7000원까지 올랐으나 이후 약보합세로 전환, 지난주 금요일보다 1.06% 내린 23만3500원에 장 마감했다. 한편 SK하이닉스는 오는 25일 2분기 실적 발표를 진행한다. 이번 실적이 시장 전망치를 상회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하이닉스 올 2분기 실적 컨센서스(전망치)를 매출 16조420억원, 영업이익 5조766억원으로 추정했다. 전기 대비 매출은 1.29%, 영업이익은 1.75% 증가한 수치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는 매출은 119.58%, 영업이익은 119.58%씩 성장한 수준이다. 매출액 13조8100억원, 영업이익 4조1900억원을 기록했던 2022년보다도 1.16%, 1.21%씩 올랐다. SK하이닉스는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인공지능(AI)향 수요 강세로 업계의 수익성이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이수림 DS투자증권 연구원은 "고대역폭메모리(HBM)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범용 메모리반도체(D램(DRAM)과 낸드(NAND)) 역시 평균판매단가(ASP) 상승에 따라 분기별로 실적 개선세가 뚜렷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 연구원은 "낸드는 지난 분기에 이어 스토리지 수요 증가 영향으로 쿼드레벨셀(QLC) 기반의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eSSD)의 매출 증가가 이어지는 중"이라며 "인공지능(AI) 서버의 온기로 QLC 수요가 증가하며 작년 낸드 적자의 주요 원인이었던 자회사 솔리다임의 가동률 상승이 고무적이다"라고 설명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07-08 17:31:48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iM뱅크, '지역 기업 ESG보고서 발간 지원'

iM뱅크는 지역 기업과의 경영활동을 지원하는 활동의 일환으로 지역 기업 '동원금속'의 첫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지원을 진행했다고 8일 밝혔다. 지난 1971년 설립된 동원금속은 우수한 연구개발 역량과 생산 기술을 바탕으로 도어 프레임, 시트 프레임, 배터리 프레임 등 글로벌 자동차 부품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는 지역 기업이다. 동원금속은 지난 2023년 '글로벌 No.1 비즈니스! ESG선도기업'이라는 비전을 새롭게 설정했고,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ESG경영체계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iM뱅크는 지역 대표 금융기관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혁신금융컨설팅센터를 통해 동원금속의 첫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을 지원했다 올해 처음으로 발간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는 동원금속의 53년의 연혁을 비롯해 ESG경영 전반, 책임경영, 환경 대응 등의 내용이 수록됐고, 국문과 영문으로 제작되어 동원금속 홈페이지를 통해 배포됐다. iM뱅크 관계자는 "이번 동원금속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은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사회적 책임 이행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지역에 본사를 둔 가장 지역적인 시중은행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앞으로도 지역 기업들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다양한 ESG 지원사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

2024-07-08 17:26:05 안승진 기자
기사사진
외국인, 올해 상반기 국내서 22조9000억원 순매수 '역대 최대'

올 상반기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주식투자 순매수 규모가 반기 기준 '역대 최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6월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에 따르면 지난 상반기 외국인의 상장주식 순매수 규모는 총 22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반기 기준 역대 최고치였던 2009년 하반기 21조원을 넘어선 기록이기도 하다. 외국인은 지난 6월 상장주식 2조8980억원을 순매수해 지난해 11월부터 8개월 연속 순매수를 이어갔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유가증권시장에서 1조9490억원을, 코스닥시장에서 9490억원을 순매수했다. 대표적으로 미국은 2조1000억원, 룩셈부르크는 1조원 순매수했고, 싱가포르는 2조9000억원, 캐나다는 1조원을 순매도했다. 지난달 말 기준 외국인의 상장주식 보유액은 859조2000억원으로 전체 시가총액의 30%를 차지했다. 반면 채권투자의 경우 지난달 외국인들은 상장채권 1조450억원을 순회수하면서 3개월 만에 순회수로 전환했다. 지난달 외국인들은 국내 상장채권 11조2000억원 규모를 매수했지만 6조8000억원 규모를 매도했다. 채권은 5조4000억원 규모가 만기상환됐다. 6월말 기준 외국인의 상장채권 보유 규모는 251조5000억원으로 상장 잔액의 9.8%에 해당하는 규모다. 종류별로 통안채 1000억원 등은 순투자, 국채 20000억원 등은 순회수했다. 6월 말 기준 국채 보유액은 229조4000억원, 특수채는 22조원으로 비중은 각각 91.2%, 8.7% 수준이다. 잔존 만기별로 5년 이상 채권에 1조6000억원, 1년 이상 5년 미만물에 1조9000억원 순투자했다. 1년 미만 채권에서는 4조5000억원을 순회수했다.

2024-07-08 16:46:27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차익 실현 매물 출회에 숨고르기 장세...2857.76 마감

코스피가 기관투자자들의 차익 실현으로 약보합 마감했다. 8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4.47포인트(0.16%) 내린 2857.76에 거래를 마쳤다. 기관과 개인이 각각 3468억원, 1850억원을 순매도했고, 외국인이 5271억원을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음식료업(2.53%), 기계(1.82%), 의료정밀(1.64%) 등이 올랐고, 보험(-3.92%), 운수창고(-1.83%), 금융업(-1.45%) 등이 내렸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삼성전자우(0.88%)와 삼성전자(0.34%), 현대차(0.71%) 등을 포함해 총 5개 종목이 상승했다. 반면 기아(-1.66%), KB금융(-1.47%), 삼성바이오로직스(-1.37%) 등 나머지 5개 종목은 하락했다. 상승종목은 519개, 하락종목은 348개, 보합종목은 65개로 집계됐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1.78포인트(1.39%) 상승한 859.27에 마침표를 찍었다. 기관과 개인이 각각 477억원, 383억원을 팔아치운 반면 외국인이 789억원을 사들였다. 업종별로는 금융(4.18%), 건설(2.66%), 출판·복제매체(2.01%) 등이 상승했고, 운송(-0.69%), 기타제조(-0.41%) 등이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은 에코프로(6.21%)와 에코프로비엠(4.47%), 에이치피에스피(4.01%) 등을 포함해 총 6개 종목이 상승했다. 반면 알테오젠(-2.33%), 엔켐(-1.30%), 삼천당제약(-1.12%) 등 나머지 4개 종목은 하락했다. 상승종목은 1121개, 하락종목은 442개, 보합종목은 96개였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난주 금요일 미국 시장 상승과 실업률 등 고용지표 부진으로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고 채권금리가 하락해 외국인의 위험자산 투자심리가 증가했으나 기관은 차익실현에 나서며 보합세가 펼쳐졌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3.0원 오른 1383.3원에 마감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07-08 16:45:25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KB국민은행, 구독형 연금 콘텐츠 '수요골든레터' 개편

KB국민은행은 은퇴·노후 웹플랫폼 'KB골든라이프X'의 구독형 연금 콘텐츠 '수요골든레터'의 개편을 실시했다고 8일 밝혔다. 수요골든레터는 매주 수요일 아침 8시에 어려운 연금 지식을 쉽게 풀어 이메일로 전달하는 구독형 뉴스레터 서비스다. ▲연금관리 기초지식 ▲투자시장 동향 ▲건강 ▲생활 콘텐츠 등 은퇴 전과 후 모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 중으로 KB골든라이프X에서 무료로 구독할 수 있다. KB국민은행은 고객 관점을 반영한 차별화된 연금 콘텐츠 제공을 위해 새로운 구성의 수요골든레터를 선보였다. 이번 개편은 ▲구성 단순화 ▲고객 언어 ▲용어 설명 3가지 방향에서 이뤄졌다. 콘텐츠 카테고리를 연금·투자·골든라이프X 정보 3개로 단순화하고 핵심 정보를 더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압축했다. 아울러 고객이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짧은 문장과 일상 대화체 중심으로 풀어냈으며 금융 전문용어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연결되는 링크를 추가했다. 수요골든레터 개편을 기념하는 후기 이벤트도 이달 말까지 진행한다. 이벤트 대상은 수요골든레터 구독 및 수신 후 이벤트 응모를 완료한 고객으로 추첨을 통해 500명에게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모바일 쿠폰을 증정한다. 이벤트 관련 상세 내용은 KB스타뱅킹과 KB골든라이프X 내 이벤트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

2024-07-08 16:30:04 안상미 기자
기사사진
테슬라 강세에..."이차전지 ETF 수익률 상승 전환"

올들어 전기차 수요 부진으로 약세를 보였던 이차전지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의 수익률이 최근 테슬라의 주가 상승에 힘입어 양호한 흐름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이차전지 관련 ETF의 호조세가 하반기에도 지속할 수 있을지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주간 이차전지 관련 ETF의 수익률이 반등했다. 국내 이차전지 섹터 상승에 2배로 베팅하는 레버리지 상품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이차전지TOP10레버리지는 8%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에프앤가이드 이차전지 산업지수를 2배 따라가는 레버리지ETF인 KODEX 이차전지산업레버리지도 같은 기간 4%의 수익률을 보였다. 이밖에도 TIGER이차전지TOP10(3.82%), KBSTAR 이차전지TOP10(3.52%), TIGER 이차전지테마(2.29%) 등의 수익률도 개선됐다. 최근 글로벌 전기차 기업인 테슬라의 주가 강세가 이차전지 관련 ETF의 수익률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기차 수요 감소로 인해 지난 4월에 52주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하락세를 보였던 테슬라의 주가는 최근 한달 동안 44%가량 상승했다. 테슬라 주가를 끌어올린 건 올해 2분기 차량 인도(판매) 실적이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테슬라는 지난 2분기의 인도량이 월가 전문가 예상치(43만 8019대)를 웃도는 총 44만3956대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1분기(38만6810대)보다 15%가량 증가한 수치다. 또한 상반기 이차전지 수출액이 늘어난 점도 상승 배경으로 꼽힌다. 지난달 이차전지 수출은 7억4000만 달러로 올들어 가장 많았다. 지난 4월 6억1800만 달러로 단기 저점을 형성하고 나서 5월 6억 4400만 달러, 6월 7억 4000만 달러로 완만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업계에서는 하반기에도 이차전지 수출 성장세가 계속될 것으로 보고 이차전지 관련주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노우호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하반기 이차전지 업계는 제이차 상승 사이클을 맞이하기 위한 준비 단계에 돌입했다"며 "이차전지 업황의 1차 핵심 지표인 '가격(리튬, 니켈)'의 바닥을 확인했으며, 양극재 기업들의 분기 평균판매단가(ASP)는 반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기차(EV) 수요 정체 구간에 진입하면서 기업들의 주가·실적 변동은 고객사별 출하 규모에 따라 차별화될 것"이라며 "미국 대선의 대외 변수 불확실성에 리스크 관리 여전히 필요하겠으나, 성장의 추세는 바뀌지 않을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07-08 16:14:20 원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