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은미
기사사진
수입맥주에 밀리고 과일소주에 치이고…국산맥주 '어쩌나'

상반기 국산 맥주 매출 4.23%↓…7월 더위에도 13.7%↓ 같은기간 전체 맥주 매출 13.87%↑…소주도 18.77%↑ [메트로신문 정은미기자] 오비맥주의 카스와 하이트진로의 하이트 등 국산 맥주들이 주류시장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다양한 맛으로 중무장한 수입맥주에 밀리고 상큼한 과일 맛으로 소주가 젊은 층 입맛까지 사로잡으면서 치이는 모습이다. 19일 A 편의점에 따르면 상반기(1~6월) 국산 맥주 매출은 전년 동기대비 4.23% 하락했다. 같은 기간 맥주(수입+국산) 매출이 13.87% 증가한 것과 대조된다. 국산 맥주의 월별 매출은 1월은 전년에 비해 6.4% 떨어졌다가 2월 들어 3.4%로 소폭 반등했다. 하지만 3월부터는 3.3%, 4월 0.7%, 5월 3.7%로 지속적으로 하락하더니 메르스 사태가 있던 6월 들어 14.7%까지 추락했다. 이달 들어(1~17일까지) 본격적인 더위와 함께 메르스가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지만 국산 맥주 매출은 전년비 13.7%로 떨어지면서 전달에 이어 두 자릿수 하락세를 유지했다. 반면 수입산을 포함한 맥주 전체 매출은 다시 상승세를 보이며 전년비 10.7% 늘었다. 국산 맥주는 매출 고공행진중인 소주 시장과도 비교된다. A 편의점에서의 상반기 소주 매출은 전년에 비해 18.77% 상승했다. 월별로는 1월 8.7%, 2월 15.7%, 3월 9.0%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롯데주류가 3월 출시한 과일 소주 순하리가 본격 유통되기 시작한 4월 들어 매출이 전년비 18.3%로 뛰더니 5월 35.4%로 급증했다. 6월 메르스 여파로 전달보다는 상승폭이 줄긴 했지만 25.5%로 고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이달 들어 소주 업계 점유율 1위 하이트진로까지 과일 소주 시장에 뛰어들면서 소주 매출은 전년비 40.3%까지 상승했다. 주류 업계 관계자는 "편의점이 주류 시장을 그대로 보여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젊은 층이 최접점에서 소비하는 시장인 만큼 트랜드를 그대로 나타낸다"며 "국내 맥주가 수입맥주와 과일 소주에 밀리고 있는 현재 모습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고 봐야한다"고 말했다. 오비맥주와 하이트진로는 국산 맥주 판매 촉진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중이다. 오비맥주 관계자는 "수입 맥주가 국내 맥주 시장에 위협적인 것은 사실이지만 시장을 잠식할 수준은 아니다"면서도 "최근 출시한 '프리미어'와 'OB 바이젠' 등으로 맥주 맛을 다양화하고 이달 대표적인 카스 마케팅에 주력해 시장을 회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이트진로 관계자는 "수입 맥주 성장에는 편의점 할인 행사의 영향이 크다"며 "다양한 맛을 원하는 소비자의 취향에 맞춰 해외 유명 맥주컨설팅 업체에 컨설팅도 받는 등 여러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2015-07-19 14:08:44 정은미 기자
기사사진
구더기 액상분유 논란에 LG생건 "인터넷 주장, 사실과 다르다" 해명

구더기 액상분유 논란에 LG생건 "인터넷 주장, 사실과 다르다" 해명 [메트로신문 정은미기자] 구더기 액상분유 논란에 휩싸인 LG생활건강이 인터넷으로 알려진 것과 일부 사실이 다르다며 해명에 나섰다. 17일 각종 온라인 육아 관련 커뮤니티에는 LG생활건강의 액상분유 '베이언스'에서 구더기가 나왔다는 글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 글은 한 여성이 '액상분유 OOOO 살아있는 구더기 나온 그 후'라는 글을 통해 아기에게 먹이는 액상분유에서 구더기를 발견하고 이후 겪었던 일들을 폭로하고 있다. 이 글에 따르면 작성자는 유통기한이 11월15일까지로 돼 있는 해당 업체의 액상분유를 아이에게 먹인 후 분유 병뚜껑 부분에서 살아있는 구더기를 발견했다. 아이가 분유를 먹고 난 뒤 묽은 변을 보거나 음식을 섭취하면 다 게워내고 설사하는 등 부작용을 겪고 있다고 전했다. 이후 업체 해당 업체에 문의하자 "우리도 우려하던 일이다. 지난번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는데 살아있는 건 처음이다"면서 "멸균처리를 하고 있으나 그 후에 뚜껑 틈으로 들어가서 알을 까고 부화한 것 같다"고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피해보상으로 50만원을 주겠다고 제안했다고 글쓴이는 전했다. 이에 대해 LG생활건강측은 "2주전 관련 민원이 제기 됐고 바로 식품의약안전처에 이물 신고를 했다. 바로 본사 담당자가 소비자를 찾아갔지만 소비자 제품을 넘겨주지 않아 제대로된 진상조사를 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제조 공정에서는 살아있는 구더기가 혼입될 수 없다"고 해명했다. 이어 "134도 이상의 고온에서 멸균을 하고 거름망을 통해 미세한 이물도 거르고 있고 살아있는 구더기가 들어갈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면서 "일단 도의적인 책임이 있지만 인터넷에 퍼지고 있는 것과는 사실이 다르다"고 덧붙였다.

2015-07-17 15:19:38 정은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