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시장, 영상마케팅이 대세?
-스마트폰 확대로 1인 미디어 영상제작, 영상마케팅 가속화 뷰티업계에서 화장품은 당연히 아름다운 모델, 아름다운 CF가 가장 대표적인 '아이콘'이었다. 하지만 인터넷, 스마트폰이 일상화되고 개인 미디어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화장품은 아름다운 CF란 공식이 흔들리고 있다. 최근 화장품시장은 다양한 콘텐츠로 미디어, 포털, 영상플랫폼을 통한 마케팅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특히 1인 미디어로 과감히 상품을 소개하고 구매까지 연결하는 시대다. 1인 미디어 영상, 동영상 마케팅이 화장품, 패션 등 뷰티시장의 마케팅 아이콘과 트렌드를 바꾸며 변화를 선도하고 있는 것. 1인 미디어, MCN(Multi Channel Network) 서비스는 유튜브, 아프리가TV와 같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의 1인 방송을 시작으로 생겨났다. 이제는 상품의 유통과 맞물려 홈쇼핑과 같은 영상마케팅의 새로운 수익모델로 시장을 형성해 가고 있다. 뷰티 브랜드를 출시할 때 동영상 제작, 영상 바이럴마케팅은 이제 자연스런 상황이다. 화장품 CF를 만들 때 1억원 이상의 제작비가 들었다면, 이제는 몇 백 만원이면 화장품 동영상을 만드는 시대다. 빠른 인터넷 망, 1인 스마트폰, SNS의 발전은 1인 미디어 시대를 급속하게 발전시키고 있다. 뷰티시장, 화장품시장 뿐만의 상황은 아니지만, 영상의 아름다움을 추구했던 뷰티시장이 더 다양한 변화를 보이며 중국화장품시장, 세계화장품시장을 진출하는데 강력한 무기로 사용되고 있다. 그렇다보니 유튜브, 네이버TV, 페이스북, 아프리카TV 등에서 1인 미디어로 활동하는 크리에이터들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유명한 영상 크리에이터들은 인터넷 미디어를 넘어 공중파TV로도 그 모습을 보이고 있을 정도로 인기를 얻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인지 최근 커뮤니티분야에서는 블로그 시대에서 영상 크리에이터 시대로 커뮤니티 시장이 이동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화장품, 패션 등 뷰티시장에서의 동영상은 상품의 아름다움, 멋, 개성을 표현하는 이미지 사진을 넘어 상품의 속성, 사용방법, 개인 생활에서의 상품이야기 등 동영상으로 소비자들의 구매욕구를 자극하고 있다. 모바일 동영상이 홍보, 정보의 수단으로만 활용되던 차원을 넘어 자기표현, 소통의 역할을 활발히 해 가면서 재미와 감동, 개성과 전문성을 높여가고 있는 것이다. 영상마케팅의 중요한 전파수단은 모바일의 역할이 점점 커지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 따르면 지난 2016년 주 평균 모바일 사용 시간은 8시간37분, 2017년 전체 모바일 트래픽 중 동영상 비중은 56.1%였다. 온라인 광고비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한국방송광고공사에 따르면 2016년 온라인 광고시장은 3조 7000억원 규모로 전체 광고시장의 33.2%를 차지할 정도다. 이중 1조7000억원대가 모바일 광고로 나타났다. 뷰티, 화장품 온라인마케팅 전문 기업 에스피플 커뮤니케이션의 신홍성 실장은 "1인 미디어 시장의 화장품 영상마케팅은 마케팅 핵심 콘텐츠로 부각되고 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한국은 오히려 1인 영상미디어 시장이 아직 미약한 상황에 있다고 밝히며, 이제 블로그 시대를 넘어 영상 콘텐츠, 영상 크리에이터 시대로 빠르게 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