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 기술금융 평가 1위…신·기보 출연료 100억 감면
금융위, 기술금융 실적 발표…지방은 부산은행 1위 금융당국이 은행권을 상대로 실시한 지난해 하반기 기술금융 실적(TECH)평가에서 신한은행이 1위를 차지했다. 이에 따라 신한은행은 인센티브로 올 상반기에 내야 할 신·기보 출연료 중 100억원을 감면받게 된다. 금융위원회는 24일 이런 내용을 담은 '제3차 은행권 기술금융 실적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기술금융이란 기업의 재무제표만 보지 않고 기술력도 함께 고려해 성장성이 큰 기업에 사업자금을 지원하는 것이다. 기술금융 실적은 공급규모(30%), 지원내역(30%), 지원역량(30%), 투자실적(10%)과 같은 4가지 지표를 바탕으로 매긴다. 2015년 하반기 기술금융 실적은 신한은행이 40점 만점에 33.12점을 받아 상반기 국민은행에 빼앗겼던 1위 자리를 탈환했다. 2위는 27.28점을 받은 KEB하나은행이었다. 지방은행 중에선 부산은행이 35.04점을 받아 1위, 경남은행(27.28점)이 2위를 차지했다. 이번 평가에서 상위 1·2위를 차지한 은행에는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출연료를 3~15% 감면받는 혜택이 주어진다. 일반은행 1위 은행은 반기당 출연료 약 90억원을 절감할 수 있으며, 지방은행 1위 은행은 반기당 약 7억원을 줄일 수 있다.지난 1월 말 기준 금융권의 기술신용대출 전체 평가액 규모는 33조 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누적 기준 기업은행의 기술신용대출 평가액 규모가 8조 2235억원으로 가장 많고 신한(5조 9242억원), 국민(4조 7919억원), 우리은행(4조 6510억원) 순이다. 금융당국은 은행들이 기술력이 뛰어난 중소기업에 적극적으로 자금을 공급하도록 유인하기 위해 지난 2014년 하반기부터 은행권 혁신성 평가에 기술금융 실적을 비중 있게 반영하고 있다. 그동안 기술금융 실적을 반영한 혁신성 평가 결과를 발표했지만 올해부터는 기술금융 실적을 따로 발표한다.? 또 평가지표를 개편해 기술금융 평가 중 투자실적에 따른 평가비중을 기존 10%에서 15%로 상향하고, 초기기업에 대한 지원실적 평가 비중을 기존 6%에서 10%로 상향키로 했다.누적평가 비중은 기존 31%로 14%로 축소해 과거 실적이 다소 미흡해도 평가기간 중 실적에 따라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당국은 은행들이 기술금융을 놓고 효율적으로 경쟁할 수 있도록 일반·지방·특수은행으로 나눠졌던 리그를 대형·소형·기타은행으로 재편성했다. 시중은행에 비해 중소기업 대출 규모가 낮은 SC와 씨티은행은 지방은행들과 경쟁하도록 하고 제주은행과 산업·수출입은행과 같은 특수은행은 평가를 면제받는 기타은행으로 분류했다.한편 금융당국은 산업, 기업, 국민, 신한, 우리, 하나은행 등 6곳의 은행 자체 기술신용(TCB) 평가를 '레벨1'로 승인하고 오는 3월부터 외부기관이 아닌 자체적으로 기업의 기술력을 평가할 수 있도록 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레벨1에 진입한 6개 은행이 올 하반기 레벨2에 진입하면 올 하반기부터 약 1조5000억원 규모의 기술신용대출이 은행 자체 TCB 평가에 따라 공급될 것"이라며 "2018년부터는 대출금액에 대한 제한 없이 자체 TCB평가를 통해 기술신용대출을 공급하는 은행(레벨4)이 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