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협중앙회장선거, 이성희·최덕규·김병원 3파전…승자는?
농협중앙회장, 임기 4년·8조원 집행 권한…"농민 대통령" 12일 선거, 6명 출마…수도권·영남·호남 지역 3파전 양상 조합장 중심 경영체제 확립·농협법 개정 등 공약 '각각' '농민 대통령'이라 불리는 농협중앙회장 선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농협중앙회장은 10만명의 임직원과 전국 농민회원 234만명을 대표한다. 차기 농협중앙회장 선거전은 막판까지 3명의 후보가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는 형세다. 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농협중앙회 등에 따르면 12일 치러지는 제23대 농협중앙회장 선거에는 이성희(67) 전 낙생농협 조합장, 최덕규(66) 합천가야농협 조합장, 하규호(58) 경북농업경영인조합장협의회장, 박준식(76) 농협중앙회 상생협력위원회 위원장, 김순재(51) 전 창원 동읍농협 조합장, 김병원(62) 전 농협양곡 대표이사 등 6명(기호 순)이 출마했다. ◆선거공약…'농협중앙회 개혁' 한목소리 이번 선거는 이성희·최덕규·김병원 후보의 3파전 양상을 띠고 있다. 이들 세 후보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나란히 상위권에 오르는 등 선거 막판까지 접전을 벌이고 있다. 이성희 후보는 낙생농협 조합장(3선)을 거쳐 농협중앙회 감사위원장을 7년간 지냈다. 이 후보는 ▲조합장의 권한과 위상 강화 ▲사업구조 개편에 따른 회원조합 불이익 해소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최덕규 후보는 농협중앙회 이사(3선)를 거쳐 현재 합천가야농협 조합장(7선)을 역임하고 있다. 최 후보는 지역 대의원 숫자(80명)에서 가장 앞서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 후보는 ▲중앙회를 조합지원에 매진하는 조직으로 구조개혁 ▲조합장 중심의 경영체제 확립 ▲경제사업을 일선 농·축협 중심으로 개편 등을 공약으로 발표했다. 김병원 후보는 호남지역 인사로 농협중앙회장에 세번째 도전한다. 그는 남평농협 조합장(3선)과 농협양곡 대표이사를 지냈다. 김 후보는 공약으로 ▲농협법 개정 추진 ▲조합장 위상 강화와 처우 개선 등을 내놨다. 이들 후보들은 각기 다른 공약을 발표하면서도 막강한 권한을 휘두르다 비리를 저질러 구속된 역대 중앙회장과 관련, 농협중앙회에 대한 이미지·신뢰도를 회복해야 한다는 의지를 반영해 '농협중앙회 개혁'에 대해서는 한 목소리를 냈다. ◆첫 호남·수도권 출신 중앙회장 나올까 농협중앙회 개혁에 대한 요구가 큰 만큼 고질적인 지역주의 투표 행태를 타파할 수 있을 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후보를 출신 지역별로 분류하면 ▲서울·경기 2명(이성희·박준식) ▲영남 3명(최덕규·하규호·김순재) ▲호남 1명(김병원) 등으로 3개 지역 구도로 구분돼 있다. 지역별 대의원 분포는 영남이 32%로 가장 높고 호남(21%), 충청(18%), 경기 (16%), 강원(8%) 등이다. 역대 선출직 회장 출신지는 영남 2명(정대근·최원병), 충남 1명(원철희), 강원1명(한호선)으로, 아직까지 수도권과 호남에서는 회장을 배출하지 못했다. 때문에 호남지역 유일 후보인 김병원 후보와 수도권지역의 이성희, 박준식 후보가 재조명됐다. 김병원 후보는 8년 전 농협중앙회장 선거에 첫 출마해 1차 투표에서 1위를 했으나 재투표에서 2위로 올라온 최원병 회장에게 결선에서 역전패를 당했다. 4년 전 선거에선 최 회장을 상대로 33%의 득표율을 기록한 바 있다. 농협중앙회 관계자는 "경기도 출신 이성희 후보와 서울 출신 박준식 후보 역시 그동안 수도권지역에서 농협 회장이 없었던 점이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며 "다만 이번 선거에서는 지역보다 조합장들은 후보의 도덕성과 경영능력을 중시하는 분위기"라고 귀띔했다. 한편 농협중앙회장 선거는 지난 2009년 12월 시행된 농업협동조합법(농협법)에 따라 대의원 간선제로 치러진다. 회장 임기는 4년 단임제다. 조합원 234만여명이 선출한 조합장 1142명 가운데 다시 뽑힌 대의원 291명과 농협중앙회장 등 총 292명이 투표권을 행사한다. 선거인은 선거 당일 투표장인 서울 농협중앙회 대강당에서 후보자의 소견 발표 후 투표를 실시한다. 1차 투표에서 과반수 득표자가 없을 경우 상위 득표자 2인을 대상으로 재투표한다. 이후 즉시 개표가 진행되며 당선자는 다음날 농협중앙회장에 취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