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지만 고출력"…배터리업계, 소형 시장 '공략'
배터리 업계가 소형 시장 공략에 힘을 더하고 있다. 모바일뿐 아니라 e-모빌리티, 웨어러블 등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소형 배터리 탑재가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이에 각사별로 기술력을 앞세워 새로운 먹거리를 찾아 나서는 모습이다. 6일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소형 배터리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5.2%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SDI는 올해 시장 규모가 전년 대비 3% 성장한 438억달러 규모로 예측하기도 했다. 소형 배터리는 소형 가전에 주로 쓰이는 제품이다. 2000년대 휴대전화와 노트북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면서 함께 규모를 키워왔다. 원통형과 각형, 파우치형 등으로 구분된다. 소형 배터리는 최근 원통형을 중심으로 사용량도 늘어나는 추세다. 한동안 파우치형 배터리가 각광을 받으면서 수량 기준으로는 축소되기도 했지만, 원통형이 대량 생산에 용이하고 가격도 저렴하다는 장점으로 다시 채용을 늘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휴대용 이동장치, e-모빌리티 시장에서 수요가 크게 늘었다고 배터리 업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았다. 스마트폰과 노트북이 경기 침체로 위축된 대신, 전기자전거와 스쿠터 등에서 소형 배터리를 많이 찾고 있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관계자들은 스마트워치 등 웨어러블과 전동 공구 등도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시장으로 꼽았다. 일각에서는 소형 전지가 저가형인 만큼 실적에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오지만, 배터리 업계는 성장률이 높아 앞으로도 중요한 시장으로 남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업계는 각사별 전략을 마련하고 소형 배터리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삼성SDI는 소형 배터리 사업에 가장 적극적인 곳으로 평가받는다. 삼성전자 갤럭시 등 모바일에 오랫동안 공급해 오며 노하우를 쌓아왔다. 파우치형과 원통형, 각형 등 모든 소형 전지를 양산할 수 있다. 삼성SDI는 모바일에 더해 e-모빌리티 시장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신규 애플리케이션을 발굴하고, 전동 공구와 전기차용 등 소비자 수요에 부응하는 제품을 출시해 시장을 선점한다는 계획이다. 하반기에는 46파이 배터리 셀 양산을 시작하며 실적 개선도 이끌어낸다는 복안이다. LG에너지솔루션도 원통형 배터리 시장에서 일찌감치 실력을 인정받은 회사로, 소형 파우치 등 다양한 소형 배터리를 새로 개발하며 사업을 육성하고 있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은 모바일 기기에 최적화된 배터리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1개 이상 바이셀을 분리막 위에 쌓고 접는 구조로, 자체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그동안 파우치형과 각형만 만들던 SK온도 원통형 배터리 양산에 성공하면서 소형 전지 시장 진출 여력을 확보했다. 최근 최재원 SK온 수석 부회장이 원통형 배터리 개발을 상당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며 양산 가능성을 언급했다. SK온이 개발한 원통형 배터리는 전기차용 4680형으로, BMW와 볼보 등에 적용을 논의 중으로 알려졌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고출력과 고용량을 바탕으로 각 애플리케이션의 특성에 맞는 최적화된 소형 배터리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차현정기자 hyeon@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