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전지원
기사사진
현대건설, 2024년 도시정비사업 수주 6조원 돌파

현대건설이 '신반포2차아파트', '마장세림' 재건축정비사업을 각각 수주하며 2024년 도시정비사업 수주액 6조원을 돌파했다고 2일 전했다. 신반포2차아파트 재건축정비조합과 마장세림 재건축정비조합은 12월 1일과 11월 30일에 각각 시공사 선정을 위한 총회를 개최했다. 우선협상 대상자인 현대건설의 단독 입찰에 대한 조합원 찬반투표를 진행, 현대건설을 최종 시공사로 선정했다. 신반포2차아파트 재건축사업은 서울 서초구 잠원동 일원에 지하 4층~지상 48층, 9개 동 규모의 공동주택 2056세대 및 부대복리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마장세림 재건축사업은 서울 성동구 마장동 일원에 지하 3층~지상 29층, 18개 동 규모의 공동주택 996세대 및 부대복리시설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성남 중2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을 시작으로 ▲여의도 한양아파트 재건축 ▲대전 도마·변동 16구역 재개발 ▲송파 가락삼익맨숀 재건축 ▲ 부산 괴정5구역 재개발 ▲방화3구역 재건축 ▲마장세림 재건축 ▲신반포2차 재건축까지 총 9개 사업지에서 6조 612억원을 수주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앞으로도 더욱 진정성 있는 태도로 신뢰받는 동반자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12-02 14:04:05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12월 2만8070세대 분양...경기 8400여세대

12월 전국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은 2만8000여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월(2만9011)가구 대비 약 3% 적은 물량이다. 2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이달 분양 예정 물량(총 가구수 30가구 미만 아파트 단지·임대아파트 단지·사전청약 등 제외)은 40개 단지, 총 2만8070가구로 조사됐다. 전월(3만653가구)과 비교하면 1% 가량 소폭 줄어든 물량이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1만2995세대, 지방은 1만5075세대가 공급될 예정이다. 수도권에서는 경기가 8454세대로 분양 예정 물량이 가장 많다. 이어 ▲서울 2347세대 ▲인천 2194세대 순이었다. 개별 단지를 살펴보면 서울에서는 서초구 방배동 '래미안원페를라' 1097세대가 12월 분양을 준비하고 있다. 방배6구역을 재개발해 짓는 단지로 465세대가 일반분양으로 공급된다. 중랑구 상봉동에서는 999세대 규모의 '더샵퍼스트월드'가 분양예정이다. 과거 상봉터미널 부지에 위치해 있고 재개발된 복합 주거단지다. 경기·인천에서는 경기 의왕시 월암동 '의왕월암지구1차디에트르' B2BL 703세대, 경기 평택시 장안동 '브레인시티푸르지오' 1990세대, 인천 서구 마전동 '검단신도시파밀리에엘리프(AA32)' 669세대, 인천 연수구 옥련동 '래미안송도역센트리폴' 1BL 706세대 등이 12월 분양예정이다. 지방에서는 ▲부산 3249세대 ▲충북 2942세대 ▲충남 2213세대 ▲전남 1814세대 ▲대구 1596세대 ▲대전 952세대 ▲울산 899세대 ▲세종 698세대 ▲전북 287세대 ▲경남 261세대 ▲제주 164세대 순이다. 직방 분석에 따르면 지난 11월 전국 평균 1순위 청약경쟁률은 8.5대 1을 나타냈다. 청약경쟁률이 가장 높았던 단지는 서울에 위치해 있지만 2, 3위는 지방단지가 차지했다. 11월 청약경쟁이 가장 치열했던 단지는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4가 'e편한세상당산리버파크'다. 340.42대 1의 평균 경쟁률을 기록하며 1순위에서 전 타입 청약을 마감했다. 충북 청주시 흥덕구 문암동 '청주테크노폴리스힐데스하임더원'이 77.01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단지 인근에 SK하이닉스와 LG생활건강 등 대기업과 협력사들이 입주해 있는 등 반도체 클러스터 배후도시로서 발전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대전 유성구 복용동 '힐스테이트도안리버파크5단지'도 23.7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도안은 대전지역 내 신흥주거지로 떠오르며 분양성적이 좋았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한국은행의 두 차례 연속 금리 인하는 내수 침체에 수출 불확실이 더해진 상황 등이 작용한 것"이라며 "부동산 시장에서는 대출 규제와 상충하면서 금리 인하를 체감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12-02 10:03:27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현장르포] '창경궁롯데캐슬시그니처' 견본주택..."특장점이 뭐지?"

지난 주말 찾아간 '창경궁롯데캐슬시그니처' 견본주택과 현장. '창경궁롯데캐슬시그니처'는 서울 성북구 삼선5구역 재개발을 통해 선보이는 단지다. 지하 4층~지상 18층, 19개 동, 총 1223세대의 대단지(임대 포함)로 조성되며 전용면적 59·84㎡ 509세대를 일반분양한다. 타입별 세대수는 ▲59㎡A 54세대 ▲59㎡B 97세대 ▲59㎡C 218세대 ▲84㎡ 140세대다. 전 세대가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59㎡와 84㎡로만 구성됐다. 남향 위주의 단지배치와 판상형 맞통풍(일부타입 제외) 위주의 평면설계를 적용해 개방감과 채광, 통풍을 높였다. 타입별로는 드레스룸, 다용도실, 파우더룸 등을 도입해 수납공간과 공간활용성을 높였다. 커뮤니티시설로는 피트니스클럽, 실내골프클럽, 스크린골프 등의 스포츠시설을 비롯해 스터디룸, 키즈룸, 북카페, 1인독서실, 게스트하우스 등이 마련될 예정이다. 서울 도심 종로생활권에 속해 중심업무지구로의 이동이 편리하다. 도보통학이 가능한 삼선초, 한성여중, 한성여고, 경동고 등을 비롯해 반경 1㎞ 이내에는 다수의 초·중·고교가 자리하고 있다. 창경궁, 종묘, 마로니에공원과 낙산공원, 한양도성길 등 다수의 녹지공간도 가깝게 위치한다. 견본주택 관계자는 "삼선동 일대에 오랜만에 공급되는 신축 아파트다"라며 "입주민 생활 편의를 높이기 위한 차별화된 특화설계와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단지는 4호선 한성대입구역과 6호선·우이신설선 환승역 보문역 사이에 자리하고 있지만 도보로 11분 거리에 하천과 시장을 거쳐야 한다. 개발호재도 없는 상황이다. 분양가는 ▲59㎡A 10억2440만~10억8910만원 ▲59㎡B 10억3220만~10억9740만원 ▲59㎡C 9억9480만~10억5770만원 ▲84㎡ 13억730만~13억9000만원선이다. 서울에서 10억원으로 집을 구하기는 앞으로도 힘들 것 같아 이번에 청약을 넣는다는 반응도 있었으나 교통환경과 가격이 아쉽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방문객 A(60·서울 성북구)씨는 "전반적으로 애매한 것 같다"며 "분양가도 높고 지하철역이 가깝지도 않아서 청약을 넣을지는 고민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신혼부부 특공청약을 생각하고 왔다는 B(30·서울 성북구)씨 역시 "인근에서 오랜만에 나온 신축이라는 점을 제외하면 특장점이 뭔지 잘 모르겠다"고 했다. 한편 '창경궁롯데캐슬시그니처'는 오는 9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10일 1순위, 11일 2순위 청약을 받는다. 17일 당첨자를 발표하고 28~30일 3일간 정당계약을 진행한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12-01 14:09:39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분양캘린더] 12월 첫째 주 3462가구

12월 첫째 주에는 전국 5개 단지 총 3462가구(일반분양 1041가구)가 분양을 시작한다. 1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서울 강서구 등촌동 '힐스테이트등촌역', 서울시 금천구 시흥동 '한신더휴하이엔에듀포레', '인천시 미추홀구 학익동', '인하대역푸르지오에듀포레' 등 5곳에서 청약을 진행한다. 견본주택은 서울시 서초구 방배동 '아크로리츠카운티', 인천시 서구 마전동 '검단신도시파밀리에엘리프',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역라온프라이빗리버포레' 등 3곳이 오픈 예정이다. 현대건설은 서울 강서구 등촌동 일원에 등촌1구역재건축을 통해 '힐스테이트등촌역'을 분양한다. 지하 5층~지상 최고 15층, 12개동, 총 543가구 중 전용면적 59·84㎡, 274가구를 일반분양한다. 등촌역 9호선 역세권이며 올림픽대로, 강변북로, 공항대로를 통해 도심 및 외곽 이동이 편리하다. 등촌초, 백석중, 영일고 등과 도보통학권이며 마곡지구 및 목동생활권과 가까워 생활인프라를 함께 공유할 수 있다. DL이앤씨는 서울 서초구 방배동 일원에 방배삼익아파트를 재건축한 '아크로리츠카운티'를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5층~지상 최고 27층, 8개동 총 707세대 중 전용면적 44~144㎡ 140가구를 일반분양한다. 반경 500m 이내 2호선 방배역이 위치한 역세권 단지이며 남부순환로, 사당IC, 서초IC 등을 이용한 광역 교통이 우수하다. 신중초, 서초중, 상문고, 서울고 등이 인근에 위치한 학세권 단지다. 강남업무지구와 인접해 직주근접성을 갖췄다. 또한, 해당 단지는 분양가 상한제 적용단지이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12-01 13:29:42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서울 최대 규모 MICE 복합단지에 '코엑스마곡' 개관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 내 마곡마이스PFV가 시행하고 롯데건설이 시공한 MICE 복합단지 '르웨스트(LE WEST)'에서 서울 서부권 최초의 전시·컨벤션 센터 '코엑스마곡 컨벤션센터(Coex Magok Convention Center·이하 코엑스마곡)' 개관식이 28일 진행됐다. 이날 개관식에는 최광우 마곡마이스AMC 대표를 비롯해 김상한 서울특별시 행정1부시장, 진교훈 강서구청장, 윤진식 코엑스 이사회 의장(한국무역협회 회장), 이동기 코엑스 사장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롯데건설이 시공한 서울 최대규모의 MICE 복합단지인 '르웨스트'는 대지면적 8만2724㎡로 서울월드컵경기장의 9배 수준이다. 연면적은 84만㎡로 삼성동 코엑스(46만㎡)의 약 1.8배 규모다. 단지는 총 4개 블록(CP1, CP2, CP3-1, CP3-2)으로 구성된다. 모두 지하 공공보행통로를 통해 연결된다. 코엑스에서 운영하는 '코엑스마곡'은 4개 블록 중 규모가 가장 큰 CP1에 위치한다. 지하 2층~지상 5층에 7452㎡ 규모의 전시장과 최대 22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르웨스트홀 등 회의실이 조성됐다. '코엑스마곡'은 강남, 여의도, 명동, 광화문 등 서울 시내뿐만 아니라 김포국제공항과 인천국제공항으로의 접근성이 뛰어나다. 도보권에는 9호선·공항철도(마곡나루역), 5호선(마곡역)이 지나는 트리플 역세권 입지다. 서울 강남에 쏠린 MICE 수요를 서울 서부권으로 분산시키는 균형추 역할을 할 전망이다. 서울식물원, LG아트센터, 스페이스K 서울 미술관도 가까워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르웨스트' CP1에는 4성급 호텔 '머큐어 앰버서더 서울 마곡', 쇼핑몰 '더 스퀘어(THE SQUARE)'와 업무시설 '르웨스트 시티 타워(LEWEST CITY TOWER)' 등도 갖춰졌다. CP2에는 생활형 숙박시설에서 오피스텔로 용도를 변경한 '마곡 롯데캐슬 르웨스트'와 업무시설 '르웨스트 웍스(LEWEST WORKS)'가 들어섰다. CP3-1에는 롯데호텔이 운영하는 하이엔드 시니어 레지던스 'VL르웨스트'도 준공을 앞두고 있다. CP3-2에는 업무시설과 판매시설 등을 포함한 '케이스퀘어(K-SQUARE)'가 들어섰다. 마곡마이스PFV 관계자 "이번 개관을 시작으로 '르웨스트(LEWEST)'가 한민국을 대표하는 MICE 복합단지로 거듭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4-11-28 16:06:35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서울 집값 36주째 상승...매수심리 6주 연속 하락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36주 연속 상승했다. 매매수급지수는 6주째 하락했다. 28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아파트동향'에 따르면 11월 넷째 주(25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4% 오르면서 36주 연속 상승했다. 권역별로는 강북권에서 마포구(0.09%→0.06%)가 아현·용강동 신축, 중구(0.07%→0.06%)는 신당·황학동, 종로구(0.10%→0.08%)는 홍파·창신동 대단지, 용산구(0.11%→0.08%)는 이촌·서빙고동 주요단지, 성동구(0.08%→0.08%)는 하왕십리·응봉동 위주로 상승했다. 강남권에서 서초구(0.11%→0.09%)는 반포·잠원동 주요단지, 양천구(0.07%→0.05%)가 목·신정동, 강남구(0.15%→0.13%)는 청담·개포동 재건축 추진 단지, 영등포구(0.08%→0.06%)는 신길·문래동 대단지 위주로 상승세가 지속됐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성동구 옥수동에 위치한 '옥수하이츠'는 이달 전용면적 84㎡가 22억원에 거래됐다. 지난 8월 매매가격(20억2000만원) 대비 1억8000만원 상승했다. 강남구 개포동에 위치한 '디에이치아너힐즈'의 경우 11월 전용면적 84㎡가 33억원에 거래되면서, 3개월 만에 6000만원 올랐다. 11월 넷째 주(25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99.5로 전주(99.9)보다 0.4포인트 내렸다. 등락을 반복하다 10월 셋째 주부터 6주 연속 지수가 하락세다. 매매수급지수는 한국부동산원이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설문해 수요와 공급 비중(0~200)을 지수화한 수치다. 100을 기준으로 0에 가까울수록 집을 팔려는 사람이, 200에 가까울수록 사려는 사람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일부 신축 단지와 재건축 사업 추진 단지에서는 상승거래 발생하고 있다"며 "반면 그 외 단지에서는 가격급등 피로감과 대출규제 영향으로 매수자 관망세를 보이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설명했다.

2024-11-28 14:21:37 전지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