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하락에…1분기 파생결합증권 발행 9.5조 감소
올 1분기 증시 하락장에서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DLS·ELS) 발행액과 상환액이 모두 지난해 보다 감소했다. 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2년 1분기 중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 및 운용 현황'에 따르면 1분기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은 14조 5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24조 1000억 원) 대비 9조 5000억 원가량 줄었다. 같은 기간 상환액은 같은 기간 20조 3000억 원 감소한 9조 원을 기록했다. 발행액이 상환액을 상회함에 따라 올해 1분기말 잔액은 94조 4000억원으로 직전 분기말 대비 4조6000억 원 증가했다. 종류별로 주가연계증권(ELS·ELB 포함) 발행액은 12조원으로 6조8000억원(36.0%) 감소했다. 원금비보장형 ELS가 지난해 홍콩H지수 약세와 1분기 글로벌 증시 하락으로 투자수요가 감소하며 발행액도 줄었다. 기초자산별로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8조 원), 유로스톡스50 지수(8조 1000억 원), 코스피200 지수(4조 3000억 원), 홍콩H지수(2조 4000억 원) 등 순으로 ELS 발행액이 많았다. 낙인(Knock-In)형 ELS 발행액은 4조3000억원으로 3조9000억원 감소했고, 비중도 7.7%P 감소한 35.6%를 기록했다. 저낙인형 상품의 발행액은 2조8000억원 감소한 4조1000억원을 기록했지만, 비중은 10.6%P 늘어난 96.3%로 집계됐다. 상환액은 6조8000억원으로 17조원(71.4%) 감소했다. 퇴직연금에 편입되는 원금보장형 ELS 만기 상환이 연말에 집중되면서 전분기에 상환액이 일시적으로 크게 증가했다. 원금비보장형 ELS는 조기상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며 상환액이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올해 3월말 기준 ELS 발행잔액은 61조9000억원으로 6조1000억원(11.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기상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원금비보장형 ELS가 증가하며, 그 비중이 6.9%P 증가한 62.9%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DLS 발행액도 2조5000억원으로 2조8000원(52.5%) 감소했다. 퇴직연금에 편입되는 원금보장형이 연말에 일시적으로 증가했지만, 원금비보장형이 일괄신고서 금지방안과 대내외 금리 상승 영향으로 감소세를 나타냈다. 기초자산별 발행액은 금리 1조4000억원, 신용 9000억원, 원자재 1000억원, 환율 100억원, 주식 및 기타 100억원 순이었다. DLS 상환액은 2조2000억원으로 3조3000억원(59.8%) 감소했다. 올해 3월 말 기준 DLS 발행잔액은 27조5000억원으로 4000억원(1.4%) 증가했다. 한편, 1분기 ELS 투자수익률은 연 3.7%로 전년동기대비 0.8%포인트 증가했다. DLS 수익률은 연 1.5%로 같은기간 1.1%포인트 올랐다. 해외주가지수 등 기초자산의 변동성이 상승하면서 파생결합증권의 쿠폰금리가 개선되며 투자수익률이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증권사의 파행결합증권 발행 및 운용 손익은 602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2331억원(79.5%) 감소했다. 글로벌 지수, 금리 상승 등 영향으로 헤지자산인 파생상품, 채권에서 운용손실이 발생했지만, 투자자에 상환해야 할 기대금액이 감소하며 발생한 평가이익이 늘면서 1분기 순이익을 시현했다. 금감원 측은 "현재 전체 녹인형 상품 대비 발생 비중은 0.84%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향후 증권사의 헤지 운용에 따른 예상 손실 및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점검해 잠재 리스크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