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호평' 애플 인텔리전스 EU에선 빠진다… 삼성 기회 왔다
애플이 지난 세계개발자컨퍼런스(WWDC)에서 대호평을 받은 핵심 기술 '애플 인텔리전스'를 EU에서 출시하지 않기로 했다. EU가 3월부터 시행 중인 디지털시장법(DMA)에 저촉 된다는 이유이다. 이번 조치로 기술 발전으로 새 국면을 맞은 인공지능(AI) 비서 시장에서 삼성과 갤럭시 시리즈가 경쟁 우위를 점할 기회를 얻었다. 애플이 21일(현지시간) 27개 EU 국가에서 애플 인텔리전스를 비롯한 아이폰 미러링, 화면 공유 기능 등을 제공하지 않기로 발표했다. 애플은 이번 조치에 대해 "DMA의 상호 운용성 요구사항으로 인해 사용자 개인정보 보호 및 데이터 보안을 위협해 제품의 무결성이 손상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디지털시장법(DMA)이 오히려 이용자 정보 보호에 문제를 일으킨다는 지적이다. DMA는 EU가 지난 3월부터 시행 중인 법안으로, 빅테크 기업의 권력 오남용을 막기 위해 제정되었다. DMA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구글, 메타 등 6곳의 빅테크 기업을 자유로운 공정 경쟁을 저해하는 '게이트키퍼(Gatekeeper)'로 지정하고 이들 기업에 대해 강력한 규제를 가한다. 애플이 문제 삼은 것은 DMA가 게이트키퍼 기업이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다양한 서비스에서 결합하는 것을 금지한 조항으로, 애플은 구체적인 위반 매커니즘을 밝히지는 않았다. EU 집행위원회는 애플의 AI 기능 탑재 보류 발표에 대해 "게이트키퍼들이 공정한 경쟁을 보장하기 위한 우리의 규칙을 준수한다면 유럽에서 그들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환영한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지난 10일 세계개발자컨퍼런스(WWDC)에서 하이라이트로 소개된 기능으로, 아이폰·아이패드·맥 등을 통합하는 개인 인공지능(AI) 시스템이다. 오픈AI의 챗GPT를 LLM으로 활용한 생성형 AI 모델로, 사용자 컨텍스트를 이해하고, 텍스트 교정, 이미지 생성, 개인화된 알림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특히 Siri는 새로운 디자인과 함께 화면 인식 기능을 통해 더 자연스럽고 개인화된 도움을 준다. 애플은 WWDC에서 해당 기능에 대해 "개인정보 보호를 최우선으로 대부분의 데이터를 기기 내에서 처리하고, 더 복잡한 요청에 대해서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처리한다"고 설명했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WWDC 발표 직후 주가를 약 9% 상승시키는 등 핵심 기능으로 주목받았다. 애플이 새로운 AI 기술 없이 아이폰을 출시하게 되면, 삼성 갤럭시 시리즈가 AI 비서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릴 예정이다. AI 비서는오픈AI와 구글이 지난 5월 하루 차이로 AI 비서 기술을 선보이는 등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분야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오픈AI의 챗GPT를 기반으로 구축 된 AI 비서지만, 삼성은 갤럭시에 구글 어시스턴트와 자체 개발한 LLM을 바탕으로 한 빅스비를 AI 비서로 탑재하고 있다. 삼성은 DMA에 따른 게이트키퍼 기업이 아니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애플과 유사한 문제가 있다고 하더라도 무리 없이 EU 출시가 가능한 상태다. AI 비서의 고도화와 대중화가 본격화하는 시점에서 삼성과 갤럭시가 먼저 시장을 점유함으로써 우위를 다질 기회로 분석된다. 업계 관계자는 "애플이 새로운 AI 기능 없이 제품을 출시하게 되면, 삼성 갤럭시는 기술 혁신과 마케팅을 통해 이를 기회로 삼을 수 있다"며 "유럽 소비자들에게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서현기자 seoh@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