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50兆 AI 반도체 시장 선점 나선다…국내 최초 AI 반도체 출시
SK텔레콤이 50조원 규모의 성장이 예상되는 글로벌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 선점에 나선다. 이를 위해 국내 최초로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를 출시하고, AI 반도체 브랜드 '사피온(SAPEON)'을 론칭했다. ◆AI 반도체 국내 최초 출시…GPU 대비 성능 우수 SK텔레콤은 25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대한민국 인공지능을 만나다'에서 AI 반도체를 선보이고 향후 AI 반도체 사업 비전을 밝혔다. AI 반도체란, AI 서비스의 구현에 필요한 대규모 연산을 초고속, 저전력으로 실행하는 효율성 측면에서 특화된 비메모리 반도체로, 인공지능의 핵심 두뇌에 해당한다. 최근 AI 서비스가 생활과 산업 전반에 확대되면서 처리해야 하는 데이터 양이 늘어나 AI 데이터센터 성능 향상이 시급하다. 이 때문에 엔비디어, 인텔,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은 미래 반도체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AI 반도체 시장은 2018년 약 7조8000억원에서 2024년 약 50조원으로 연평균 36%의 가파른 성장이 예상된다. SK텔레콤이 이날 행사에서 공개한 AI 반도체 '사피온(SAPEON) X220'은 기존 그래픽처리장치(GPU) 대비 성능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GPU 대비 딥러닝 연산 속도가 1.5배 빠르기 때문에 데이터센터에 적용 시 데이터 처리 용량이 1.5배 증가한다. 가격은 GPU의 절반 수준이고 전력 사용량도 80%에 불과하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SKT는 맞춤형 설계를 통해 '사피온 X220'의 경쟁력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사피온 X220'은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센터에 즉시 적용 가능하며, SKT는 국내외 다양한 사업자를 대상으로 AI 반도체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AI 반도체 브랜드 론칭…글로벌 진출 노린다 SK텔레콤은 이날 AI 반도체 브랜드 '사피온'을 론칭했다. 사피온은 인류를 뜻하는 '사피엔스(SAPiens)'와 영겁의 시간을 뜻하는 '이온(aEON)'의 합성어로, 인류에게 AI 반도체 기반 인공지능 혁신의 혜택을 지속 제공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SK텔레콤은 자체 개발한 AI반도체와 AI 기반 콘텐츠 추천, 음성 인식, 영상 인식, 영상화질 개선 등 다양한 AI 서비스를 접목해 사피온을 차별화된 AI 토탈 솔루션 브랜드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AI 반도체 핵심 코어 설계 역량을 바탕으로 정부, 반도체 관련 대·중소기업과 협력해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 본격 진출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차세대 AI 반도체 개발을 위해 과기정통부 국책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메모리 관련 기술은 SK하이닉스와 협업하고 있다. 또 반도체 디자인, 서버시스템 제작,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개발은 '에이직랜드', 'KTNF', '두다지' 등 중소 반도체 기업들과 협력해 국내 반도체 생태계 활성화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SK텔레콤은 AI 반도체 칩 기반 하드웨어부터 AI 알고리즘, API 등 소프트웨어까지 AI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AIaaS(서비스제공방식의 AI)' 전략을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SKT는 올해 연말부터 미디어, 보안, 인공지능 비서 등 다양한 분야에 '사피온 X220'을 적용해 AI 서비스 고도화를 시작한다. 내년에는 자사의 AI 서비스 '누구', '슈퍼노바', '티뷰', ADT캡스 등 SK ICT 패밀리를 중심으로 본격적인 AI 반도체 적용 확대에 나설 예정이다. 아울러 과기정통부 국책 과제 수행을 통해 '사피온 X220'의 후속 반도체 개발도 진행 중이며, 2022년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SK텔레콤 김윤 CTO는 "국내 최초 데이터센터용 AI 반도체 출시는 SKT의 기술력과 서비스 역량,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중소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이뤄낸 쾌거"라며 "향후 AI 반도체와 SKT가 보유한 AI, 5G, 클라우드 등 기술을 접목해 글로벌 톱 수준의 AI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