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외국인, '셀 코리아' 7개월 연속 순매도…지난달 '2.8조' 매도

지난달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에서 7개월 연속 순매도를 이어갔고, 채권은 3개월 만에 순투자로 전환됐다. 1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월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에 따르면 외국인은 지난달 국내 상장주식 2조8300억원을 순매도했다. 지난달 8월부터 7개월 연속 순매도세를 보였다. 유가증권시장에서 2조8천600억원어치를 순매도했고, 코스닥시장에서는 300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미주·유럽·중동 지역 투자자가 각각 1조3000억원, 7000억원, 5000억원 순매도했다. 국가별로는 룩셈부르크 투자자가 1조3000억원 순매도했고, 영국 투자자와 중국 투자자가 각각 1조5000억원, 6000억원 순매수했다. 지난달 말 기준 외국인이 보유 중인 국내 상장주식 규모는 704조1000억원으로 전체 시가총액 26.5% 규모의 상장주식을 보유한 것으로 파악됐다. 채권시장에서는 외국인 투자자가 상장채권 5조6천680억원을 순투자하며 3개월 만에 순투자로 전환했다. 상장채권 6조8330억원을 순매수하고, 1조1650억원을 만기상환 받은 데 따른 것이다. 지역별로는 유럽(3조1000억원), 아시아(2조원) 지역은 순투자했고, 미주(-1000억원)는 순회수했다. 종류별로는 국채(6조3000억원)는 순투자했고, 특수채(-6000억원)는 순회수했다. 지난달 말 기준 외국인의 상장채권 보유액은 271조5000억원(상장잔액의 10.3%)으로 집계됐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03-14 18:21:12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 "인도서 ETF 상품 통해 새로운 기회 창출할 것"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인도 자본시장에서 상장지수펀드(ETF) 시장 확대와 AI 기반 투자 전략을 논의하며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의 리더십 강화를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인도에서 'New AGE: The Future Ahead'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인도 뭄바이에서 열린 이번 세미나에서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인도에서의 미래에셋 ETF 성장을 짚어보고, 글로벌 ETF 운용사로서 한 단계 도약을 위한 앞으로의 전략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미래에셋그룹 글로벌전략가 GSO(Global Strategy Officer) 박현주 회장,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 CEO 스와럽 모한티(Swarup Mohanty) 부회장, 혁신/글로벌경영부문 대표 김영환 사장을 비롯한 주요 임직원이 참석했다. 지난해 말 기준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의 총 운용자산(AUM)은 약 230억 달러(한화 34조원)로, 인도 현지 자산운용사 9위 수준이다. 특히 'Mirae Asset Nifty EV & New Age Automotive', 'Mirae Asset Nifty India Manufacturing', 'Mirae Asset Nifty India New Age Consumption' 등 다양한 혁신 상품을 기반으로 인도 ETF 시장에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ETF 운용자산 약 15억 달러로, 인도 현지 ETF 운용사 6위에 올랐다. 이날 세미나에서 박현주 회장은 향후 인도 시장에서의 미래에셋 성장을 위한 3가지 핵심 전략으로 'ETF 혁신', 'AI 전환', '사모시장 확대'를 강조했다. 박 회장은 "미래에셋은 다양한 혁신 ETF를 적극적으로 선보이는 동시에 인도 최대 증권사 중 하나인 쉐어칸(Sharekhan)의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활용해 시장 접근성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시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차별화된 상품, 이른바 '킬러 프로덕트(Killer Product)' 차원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상품의 중요성을 언급했다. 박 회장은 "AI 기반 ETF 상품 개발을 통해 새로운 투자 기회를 창출하겠다"며 "나아가 미래에셋 글로벌 계열사와의 협업을 통해 인도를 AI 혁신 허브로 성장시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이 밖에도 벤처캐피털(VC) 시장 성장을 위해 혁신적인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PE 및 IB로의 투자를 확대할 계획도 전했다. 2024년말 기준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은 핀테크 기업 '레이즈파이낸셜(Raise Financial Services)'과 '크레딧비(KreditBee)', 인도 최대 음식 배달 플랫폼 '조마토(Zomato)' 등 혁신 기업을 발굴해 투자해 왔으며, 2024년말 기준 총 운용 규모는 5억9천만 달러 수준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이번 세미나를 통해 미래에셋 글로벌 ETF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그룹 내 시너지를 창출해 미래에셋의 경쟁력을 키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인도 시장에서 ETF와 AI를 기반으로 한 미래에셋만의 역량을 강화해 다양한 투자 기회를 선보일 수 있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인도법인 CEO인 스와럽 모한티 부회장은 "인도에서 미래에셋은 높은 브랜드 인지도, ETF 역량, 시장 조성자로서의 역할, 그리고 강력한 로컬 금융투자 파트너십을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췄다"며 "그동안 인도 시장에서 ETF 성장을 주도해 온 미래에셋은 앞으로도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03-14 18:16:40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특징주] 서울보증보험, 코스피 입성 첫날 '훈풍' 23%↑

서울보증보험이 코스피에 성공적으로 입성하며 상장 첫날 3만2000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이는 공모가(2만6000원) 대비 23.08% 상승한 수치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서울보증보험은 장중 한때 3만2150원까지 오르며 강세를 보였다. 시가총액은 이날 주가 상승으로 2조2343억원을 기록했다. '공모주 혹한기'라는 의견 속에서 서울보증보험은 상장 희망 범위 하단으로 잡고 증시에 입성했지만, 높은 배당 매력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면서 주가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내 유일의 전업 보증보험사인 서울보증보험은 1969년 설립돼 개인과 기업의 경제활동에 필요한 이행보증, 신원보증, 할부보증, 중금리 및 전세자금 대출보증 등 다양한 보증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보증 잔액은 469조원에 달한다. 서울보증보험의 강한 배당 정책도 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서울보증보험은 2012년부터 2023년까지 평균 53.5%의 배당성향을 유지하며 13년 연속 배당금을 지급해왔다. 상장 이후에도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주주환원 정책을 유지할 계획이다. 지난해 결산 배당금으로 2000억원(주당 2865원)을 확정해 오는 4월 지급할 예정이다. 이는 공모가 기준으로 11%의 배당수익률에 해당한다. 이날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상장 기념식에는 서울보증보험 이명순 대표이사와 예금보험공사 유재훈 사장, 한국거래소 정은보 이사장, 미래에셋증권과 삼성증권 관계자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했다. 이명순 대표이사는 "상장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회사의 역할과 가치를 다시 한번 되새길 수 있었다"며 "상장을 계기로 더 큰 도약을 위해 변화하고,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는 책임경영을 실천하겠다"고 밝혔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03-14 17:55:04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서울 입주 절벽 현실화? 내년 공동주택 공급, 올해 절반 수준으로 감소

내년도 서울의 공동주택 입주물량이 2만4462호로 올해(4만6710호) 물량 대비 절반 가량 줄어들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내년도 입주물량이 7000호 수준으로 급감한다는 민간 통계가 나왔지만 연립·다세대, 임대주택 등의 물량이 포함되며 그 3배 이상의 규모로 집계됐다. 14일 한국부동산원과 부동산R114이 공동으로 발표한 '공동주택 입주예정물량 정보'에 따르면 전국의 공동주택 입주예정 물량은 올해 27만4360호, 내년 19만773호 등 2년간 총 46만5133호다. 수도권은 올해 14만114호에서 내년 10만1083호로 3만9031호 감소할 전망이다. 서울은 2년간 총 7만1172호(2025년 4만6710호·2026년 2만4462호) 경기도는 13만3184호(2025년 7만1472호·2026년 6만1712호), 인천은 3만6841호(2025년 2만1932호·2026년 1만4909호) 등이다. 앞서 부동산 R114는 청약 완료 단지를 기준으로 서울의 입주예정물량을 산정한 결과 올해 3만1300호, 내년에 7768호로 급감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경기·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입주예정물량도 올해 11만3465호에서 6만9642호로 40% 가까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했다. 국토교통부는 "아직 모집공고 하지 않은 단지나 공공주택 등이 포함되지 않아 정확도에 큰 한계가 있다"며 "정비사업 후분양 단지, 공공분양 주택, 건설형 공공·민간 임대주택 등 다양한 유형의 아파트가 누락될 수 있다"고 반박했다. 민간과 집계 기준이 달라짐에 따라 서울 입주예정 물량 차이는 올해 약 1만5410호, 내년은 1만6694호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올해 2만6649호, 내년 3만1441호 차이가 발생했다. 부동산원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2025년 1월부터 2026년 12월까지 2년간 공동주택 입주예정 물량의 전망치"라며 "부동산원과 부동산R114 양 기관이 보유한 주택건설 실적정보와 입주자모집 공고 정보, 정비사업 추진실적, 부동산R114 정보 등을 활용해 산정했다"고 설명했다. 다른 광역시는 ▲부산 2만1409호(2025년 9539호·2026년 1만1870호) ▲대구 2만3085호(2025년 1만2334호·2026년 1만751호) ▲광주 1만5962호(2025년 4725호·2026년 1만1237호) ▲대전 1만8350호(2025년 1만1907호·2026년 6443호) ▲울산 8285호(2025년 5653호·2026년 2632호) ▲세종 2001호(2025년 2001호·2026년 0호)로 집계됐다. 도 단위는 ▲강원 1만7225호(2025년 9071호·2026년 8154호) ▲충북 1만8946호(2025년 1만3168호·2026년 5778호) ▲충남 2만3531호(2025년 1만3530호·2026년 1만1호) ▲전북 1만7304호(2025년 1만875호·2026년 6429호) ▲전남 1만2515호(2025년 7199호·2026년 5316호) ▲경북 1만5396호(2025년 1만1210호·2026년 4186호) ▲경남 2만8641호(2025년 2만2224호·2026년 6417호) ▲제주 1286호(2025년 810호·2026년 476호)로 나타났다. 한편 입주예정물량의 세부정보 등은 부동산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과 청약홈, 공공데이터포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5-03-14 17:54:32 전지원 기자
기사사진
임재택 대표, 한양증권 남고 다올行 철회…"M&A 소임 다 할 것"

임재택 한양증권 대표이사가 다올투자증권 대표이사직을 맡기로 했던 결정을 번복하고 한양증권에 남기로 했다. 임 대표는 14일 입장문을 통해 "다올투자증권의 대표이사직을 맡아 새로운 도전에 나설 계획이었으나, 여러 가지 사유로 해당 결정을 변경하고 한양증권 대표이사직을 유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결정이 단순한 개인적 사유가 아니라, 인수·합병(M&A) 과정에서의 변수와 현직 최고경영자(CEO)로서의 역할과 책임을 고려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현재 한양증권은 KCGI의 경영권 인수 추진으로 인해 금융당국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 절차를 밟고 있는 상황이다. 임 대표가 다올투자증권으로 이동하지 않는 것 역시한양증권 인수전에서 승기를 잡은 KCGI가 금융당국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통과하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은 횡령이나 비자금 조성 등 혐의에 대한 특별 세무조사를 전담하는 부로, 지난11일 KCGI 본사에 조사관들을 파견해 세무조사에 필요한 회계자료와 각종 거래 내역을 확보하고 조사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임 대표는 "한양증권은 현재 M&A라는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며 "조직의 최고 책임자가 이런 시기에 회사를 떠나는 것에 대한 현실적, 법률적 제약이 많아 깊이 고민했다"고 말했다. 이어 "가장 힘든 시기에 현 경영진이 자리를 지켜야 한다는 재단(한양학원)의 기대를 무겁게 받아들였다"며 "경영진 역시 대주주 변경으로 인한 조직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개인의 이해관계보다 조직의 안정을 우선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고 덧붙였다. 임 대표는 이번 결정과 관련해 다올금융그룹에도 사과의 뜻을 전했다. 그는 "이병철 다올금융그룹 회장님을 비롯한 임직원분들께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부족한 저를 믿고 함께하자고 손을 내밀어주셨음에도 갑작스러운 거취 변화로 혼란을 초래한 점을 생각하면 송구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한양증권의 M&A 과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한양증권의 최대 과제인 M&A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많은 분께 심려를 끼친 만큼, 엄중한 자세로 제 도리를 끝까지 다하고 보다 신중하게 나아갈 것을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03-14 17:24:55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한국투자증권, GWM 패밀리오피스 환영 만찬 개최

한국투자증권은 패밀리오피스 신규 고객 환영 만찬을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패밀리오피스는 금융자산 100억원 이상 초고액자산가를 위한 가문 단위 종합 금융 서비스다. 지난 13일 열린 환영 만찬 행사는 올해 새롭게 선정된 패밀리오피스 고객 2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진행됐다. 패밀리오피스 서비스에 관한 개괄적인 안내에 이어 한국금융지주 사외이사인 김태원 이노레드 CEO가 'AX와 재정의 시대를 위한 스마트 워킹'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한국투자증권은 2023년부터 초고액자산가 전담 조직인 GWM(Global Wealth Management)'을 통해 패밀리오피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매년 10곳 내외로 대상 가문을 선정해 글로벌 금융투자와 가업 승계, 절세 전략, 부동산 등 다양한 부문 전문가들이 1:1 맞춤 솔루션을 제공한다. 패밀리오피스만을 위한 특화 상품 투자 기회를 제공하며, 투자 포럼 및 '아트 앤 컬처(Art & Culture)' 행사 등 고객만을 위한 전용 혜택도 연간 다양하게 준비된다. 박재현 개인고객그룹장은 "한국투자증권만의 고유한 경쟁력을 적극 활용해 초고액자산가 고객의 기대를 뛰어넘는 차별화된 자산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03-14 16:52:12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정부, 홈플러스 기업회생 점검…협력업체 지원 및 금융시장 안정 총력

정부가 기업회생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의 대금 지급 현황을 점검하고 협력업체 지원 방안을 추진한다. 14일 금융위원회는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공정거래위원회, 금융감독원, 은행연합회, 기업은행 등 관계기관과 함께 홈플러스 법원의 기업회생 관련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홈플러스의 회생 절차 진행 상황과 협력업체의 피해 현황을 점검하고 금융권의 지원 대책을 논의했다.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을 신청하면서 납품 협력업체들의 대금 정산이 지연되고 있으며, 단기채권을 보유한 개인투자자들의 손실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에 정부와 금융권은 협력업체 피해를 최소화하고 시장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대응책을 마련 중이다. 은행권(기업·농협·신한·우리·하나·국민)은 홈플러스 협력업체를 위한 자체적인 금융지원 방안을 시행하고 있다. 기존 대출의 경우 원금 상환 없이 만기를 연장하고 상환 유예를 지원하며,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 연체 시에도 운전자금 대환 대출을 제공한다. 또한 신규 자금이 필요한 협력업체에는 최대 5억원의 긴급 자금 지원을 통해 유동성 확보를 돕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금융 지원이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이행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한편, 홈플러스는 이날 오전 기자간담회를 열고 상거래 채무 약 3400억원을 상환했으며, 소상공인 및 영세업자 채권을 우선적으로 순차 지급하고 있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홈플러스가 변제 계획을 성실히 이행해야 하며, 협력업체들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상품 공급 안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은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신청과 관련하여 기업어음(CP) 및 단기사채 발행 과정에서 위법 소지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13일부터 CP 인수 증권사 및 신용평가사 2곳에 대한 검사에 착수했다. 만약 위법 사항이 발견될 경우 엄정 대응할 방침이다. 현재까지 홈플러스의 회생 신청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는 평가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유통업 등 업황이 부진한 업종에 대한 시장의 경계감이 커질 가능성을 고려해 금융시장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필요 시 시장 안정 프로그램을 가동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홈플러스 상품권 이용 제한 등으로 인한 소비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민원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대응할 방침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기업회생 절차가 협력업체 및 소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03-14 16:50:09 허정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