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기사사진
은행, 4~6월 중소기업·가계대출 심사 강화

올해 2분기(4~6월) 중소기업과 가계대출의 심사가 더 깐깐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경기 악화로 채무상환 능력이 저하돼 신용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 은행은 2분기 중소기업과 가계에 대출태도를 강화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 3월 4~14일 국내 203개 금융기관 여신업무 총괄 담당 책임자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에 따르면 대출태도지수는 -6으로 전 분기(7)와 비교해 13포인트(p) 하락했다. 대출태도지수는 마이너스일수록 금융사 대출 문턱이 높아진다는 뜻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대기업의 대출태도지수는 3에서 6으로 높아졌지만, 중소기업의 대출태도지수는 0에서 -6으로 떨어졌다. 대내외 경제 여건이 불확실해지면서 은행들이 여신 건전성을 관리하기 위해 취약 업종을 중심으로 심사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가계대출은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기조에 따라 모두 강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주택 관련 대출은 -6으로 전 분기(14)에서 20p 떨어졌다. 일반대출은 -8로 같은 기간 16p 내렸다. 은행들이 중소기업과 가계대출 문턱을 높이는 이유는 이들을 중심으로 2분기 신용위험 지수가 높아질 수 있다고 관측했기 때문이다. 은행들은 대기업의 2분기 신용위험 지수를 8로 전 분기(6)보다 2p 높였다. 중소기업은 22로 전 분기(22)와 같이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업종별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을 보면 제조업의 연체율이 지난해 9월 0.66%에서 12월 0.70%로 증가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경기 악화로 채무상환 능력이 저하됐다는 설명이다. 건설업(1.11%→1.05%)과 도소매업(0.94%→0.86%) 연체율은 둔화된 상태다. 은행들은 2분기 가계의 신용위험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가계의 신용위험 지수는 17로 전 분기(8)에 비해 9p 올랐다. 신용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12월 0.64%에서 올해 2월 0.83%,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6%에서 0.29%로 올랐다. 은행들은 2분기 기업의 대출수요가 특히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대기업의 대출수요는 11로 전 분기(6)에 비해 5p 올랐다. 중소기업의 대출수요는 25로 같은 기간 6p 증가했다. 대내외 경제여건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운전자금을 중심으로 늘어날 것이란 분석이다. 가계대출 수요는 이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내다봤다. 주택 관련 대출 수요는 6, 일반대출은 14로 전 분기와 같이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한은 관계자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재지정 여파로 늘어난 주택 거래가 시차를 두고 대출이 실행될 것"이라며 "가계신용 대출금리도 떨어지고 있어 가계대출 모두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

2025-04-22 12:00:37 나유리 기자
기사사진
'액티브 시니어' 잡아라…은행, 금융서비스 확대

은행들이 액티브 시니어 계층을 대상으로 금융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액티브 시니어는 은퇴 후에도 활발히 사회활동을 하고 여가생활을 즐기는 50세 이상의 인구를 말한다. 제2 베이비붐(1964~1974년생) 세대로 인구가 많고, 청년들보다 경제력을 갖추고 있어 이들을 대상으로 연금, 신탁, 절세서비스를 제공해 수익을 확대하겠다는 의도다. 현재 시중은행들은 시니어 사업 관련 태스크포스(TF) 부서를 신설해 자산관리·연금서비스·상품개발·마케팅 등의 업무를 계획·수행하고 있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자산관리(WM)에 요양컨설팅을 도입하고, 시니어 세대를 위한 종합자산관리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KB라이프생명은 자회사 KB골든라이프케어 '요양원'과 '실버타운'을 통해 시니어헬스케어를 담당하고 있다. 앞서 금융위는 인구구조 변화를 고려해 자회사가 요양, 건강관리(헬스케어), 장기임대와 관련한 신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국민은행의 개인연금, 신탁 등의 자산관리 업무와 보험사의 헬스케어, 요양 서비스를 연계해 노후 준비를 한 번에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신한은행은 금융서비스를 더 쉽고 편리하게 이용하는데 무게를 둔다. 디지털 금융 이용이 어려운 고령층을 대상으로 '시니어 금융 아카데미'를 운영해 스마트폰 뱅킹, 인터넷뱅킹 사용법 등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영업점에는 디지털 금융 도우미를 배치해 고객이 모바일 앱이나 자동현금출금기(ATM)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신한 50+ 걸어요' 서비스를 개선해 건강까지 챙길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신한 50+ 걸어요는 만 50세 이상의 고객들이 8899보 이상을 걸으면 캐시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신한 예금 저축왕 적금'과 '패밀리 상생 적금'을 통해 최고 연 9%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직 시니어 계층은 아니지만 노후 준비를 하고 싶은 이들은 하나은행의 '하나 더 넥스트(HANA THE NEXT)'에서 준비를 하는 것도 방법이다. 하나은행은 하나증권, 하나생명보험과의 협업을 통해 은퇴 설계부터 상속·증여, 건강관리까지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 시니어 계층 외에도 미리 노후를 준비하려는 이들도 활용할 수 있다. 하나 더 넥스트에서는 ▲은퇴 필요 자금 분석 및 미래 자산 포트폴리오 설계 ▲유언대용신탁을 활용한 스마트한 자산 이전 준비 ▲건강관리 및 비금융 시니어 특화 콘텐츠 등의 노후 준비 솔루션을 제공한다. 우리은행은 시니어 특화 점포인 '시니어 플러스 효심(孝心)' 영업점을 운영하고 있다. 은행 업무 외 휴게공간으로 편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해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하기 위한 목적이다. 안정적인 자산관리를 위해 은퇴설계서비스도 제공한다. 은퇴 이후 금융자산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일대일 맞춤형 재무 상담을 제공해 연금 자산운용과 절세전략을 포함한 종합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

2025-04-22 08:05:05 나유리 기자
기사사진
김태한 BNK경남은행장, 청년 직원들과 소통

김태한 BNK경남은행장이 추진 과제 및 아이디어 발굴, 올바른 기업문화 정착 등 목표를 위해 청년 세대 직원들과의 소통에 나섰다. BNK경남은행은 김태한 BNK경남은행장이 '2025년 BNK YES! LEADER(예스 리더) 임명식'을 개최하고, 새롭게 임명된 예스 리더들과 은행의 발전 방향과 추진 목표 등에 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21일 밝혔다. 경남은행은 매년 전(全)사에서 젊고 활동적인 직원들을 모집해 'BNK YES! LEADER'로 임명하고, 창의적인 실행 과제 발굴을 비롯해 은행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 제공ㆍ제도 개선, 올바른 기업문화 정착을 위한 기업문화ㆍ사회적 책임활동 참여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올해 'BNK YES! LEADER'는 '본원적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경남은행만의 경쟁력 발굴, 업무 방식의 변화 및 혁신, 네트워크 형성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이달 초 BNK경남은행장으로 새롭게 취임한 김태한 은행장은 이날 새롭게 임명된 예스 리더들에게 임명장과 특별 선물을 수여하며 축하의 말을 전했다. 또한, 은행의 발전 방향을 비롯해 직원들이 평소에 궁금했던 점에 대해 자유롭게 질의응답하는 시간도 마련했다. 김 행장은 영업점 출신인 만큼 평소 직원들이 겪는 고충에 적극 공감하고, 향후 개선 목표 등에 관해서도 함께 논의했다. 김태한 은행장은 "젊고 패기 있는 직원들의 생각을 들을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소통 행사를 통해 여러 직원들의 의견을 듣고 은행의 변화와 혁신을 이끌어 내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

2025-04-21 11:11:06 안승진 기자
기사사진
은행 '800만 외국인' 유치전…서비스 경쟁 본격화

주요 은행이 외국인 특화 서비스를 확대하며 고객 유치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 은행의 외국인 고객 수가 800만명을 넘어서면서 금융권의 주요 고객층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금융당국도 각종 규제를 완화하고, 외국인의 금융 편의 지원에 나섰다. 21일 법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체류 외국인은 265만명이다. 기존 최고치인 2019년의 252만명보다 13만명 늘었다. 전체 인구(5122만명)의 5.17%에 해당한다. 90일 이상 체류하는 장기체류자의 비중은 77%에 달했고, 경제활동이 활발한 20~40대의 비중도 65.6%를 기록했다. 경제 활동을 위해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이 늘면서 금융거래도 늘었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은행의 외국인 고객은 전년 대비 37만명(4.8%) 늘어난 813만명을 기록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 국내 거주 외국인 265만명 외국인 고객은 내국인 고객보다 환전, 해외 송금 등 서비스를 이용이 잦다. 금리 하락으로 이자 수익 감소 전망이 나오는 만큼, 금융권에서는 서비스 이용률이 높은 외국인 고객에 주목하고 있다. 기존 외국인 고객의 이용이 잦았던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특화 서비스를 확대하며 외국인 고객 추가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4대 은행의 외국인 고객 수는 600만명이다. 은행권 전체 외국인 고객의 약 75%다. KB국민은행은 외국인 고객 전용 입출금계좌인 'KB 웰컴 계좌'를 출시해 입·출금 수수료 면제, 환전 우대를 제공 중이다. 오는 30일에는 외국인 고객 전용으로 수수료를 낮춘 해외 송금 서비스 'KB 퀵센드'도 오픈한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외국인 고객을 대상으로 비대면 계좌개설과 체크 카드 발급이 가능한 'SOL 글로벌 체크카드'를 출시했고, 올해는 비수도권에서 외국인 수가 가장 많은 김해시에 외국인 특화 지점을 오픈했다. 하나은행은 외국인 주민이 7.1%에 달하는 평택시에 외국인 전용 지점을 개설하고 38개 언어를 대상으로 실시간 번역 시스템을 도입했다. 해외 송금에 특화된 모바일 뱅킹 서비스인 '하나 EZ'도 출시해 운영 중이며, 외국인 특화 상품도 개발 중이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외국인 고객용 앱인 '우리WON글로벌'에 한국어능력시험(TOPIK) 강의를 오픈했고, 올해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일자리 정보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를 위한 국내 부동산 정보 서비스도 준비 중이다. ◆ 지방은행도 '특화 브랜드' 지방은행도 외국인 고객 확보에 힘쓴다. 우즈벡, 몽골 등 중앙아시아 고객의 이용이 많은 전북은행은 외국인 특화 브랜드 '브라보 코리아'를 출범해 알뜰폰 비교, 의료 정보 제공 등 각종 생활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경남은행도 일부 지점에 다문화 직원을 배치한 '외국인 근로자 전용 창구'를 운영하고, 지역 대학을 방문해 유학생을 위한 금융교육을 제공하는 등 외국인 고객 유치에 힘쓰고 있다. 늘어나는 외국인의 금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금융당국도 대책 마련에 속도를 낸다. 금융위원회는 지난달 국내 거주 외국인들이 '모바일 외국인등록증'을 비대면 계좌개설을 포함한 금융거래에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고, 금감독도 외국인의 금융 접근성 제고를 위해 중요 서류 번역본 제공, 외국인 앱 확대, 특화 점포 안내 강화 등 지원 정책 마련에 나섰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국내 체류 외국인 근로자가 빠르게 늘고 있고, 금융 거래도 용이해지면서 외국인 고객이 은행권의 주요 고객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내국인 인구 감소 전망에 따라 외국인 근로자가 계속해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만큼, 은행권의 외국인 유치 경쟁은 점차 치열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

2025-04-21 07:54:55 안승진 기자
기사사진
또다시 늘어나는 가계대출…주담대 아니라 신용대출

이달 가계대출 중 신용대출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침체가 심화하며 생활비 목적으로 신용대출을 받는 이들이 늘어난 영향이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여파로 증시가 급등락하자 신용대출을 받아 투자하려는 이들도 늘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741조 509억 원으로 지난달 말(738조 5511억 원)과 비교해 2조 4998억 원 증가했다. 가계대출은 잔액은 1월 4752억 원 감소한 뒤 2월 3조 931억 원, 3월 1조 7992억 원 증가했다. 4월 보름 간 3월 한달 증가치 가량이 늘었다. ◆주담대 보름 새 1.5조원 증가 그간 가계대출 증가세를 이끈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587조 1823억 원으로 지난달 말(585조 6805억 원)과 비교해 1조 5018억 원 늘었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2월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의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해제한 뒤 재지정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 부동산 매매건수는 1월 3만2000건에서 2월 6만건으로 2배가량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은 매매거래 이후 2~3개월 시차를 두고 발생한다. 당초 4~5월 주택담보대출이 급등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증가세가 이전 수준과 비슷하다는 설명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2월 말부터 주택담보대출 상담이 이어지기 시작했다"며 "4월 하반기부터는 토허제 해제 영향도 조금씩 대출 계수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신용대출 증가세 전환 반면 신용대출은 증가세로 전환했다. 신용대출 잔액은 102조 6658억 원으로 지난달 말(101조 6063억 원)과 비교해 1조 595억 원 늘었다. 신용대출은 ▲지난해 12월 -4861억원 ▲올해 1월 -1조 5950억 원 ▲2월 -493억 원 ▲3월 -3527억 원으로 4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이달 증가세는 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광풍이 일었던 지난 2021년 7월(1조 836억 원)이후 45개월 내 최고 증가 폭이다. 신용대출이 증가한 이유는 생활비 목적으로 자금이 필요한 이들이 늘어난 영향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지난달 신용대출도 월초에는 증가했다가 월말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며 "신용대출을 월초 받아 생활비로 사용하고 월급일이 있는 25일 상환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는 이들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의 상호 관세 여파로 증시가 급등락하자 돈을 빌려 투자하려는 이들도 늘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일부터 17일까지 개인은 5조 5718억 원가량을 순매수했다. 같은 기간 외국인이 10조 3429억 원 순매도한 것과 대비되는 모습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부동산 거래가 다시 감소세로 돌아서며 영끌 대출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며 "전반적인 대출 수요가 늘어나는 가운데, 최근 국내외 증시 급등락이 이어지면서 돈을 빌려 투자하려는 고객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말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

2025-04-20 13:33:00 나유리 기자
기사사진
'관세 쇼크' 벗어난 가상자산…추가 상승 전망은 '글쎄'

트럼프 발(發) '관세전쟁' 여파로 가라앉았던 가상자산 시장에 투자 심리가 살아나고 있다. 트럼프의 대규모 관세 정책 발표 이후 1BTC당 7만 6000달러까지 내렸던 '가상자산 대장주' 비트코인은 관세 발표 이전 수준인 8만5000달러 수준을 회복했고, 주요 알트코인 가격도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20일 가상자산 시황중계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가상자산 대장주' 비트코인은 이날 정오께 1BTC당 약 8만5200달러(1억21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 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관세 정책 발표 이후 최저 7만4600달러까지 내렸던 비트코인 가격이 관세 발표 이전 수준을 회복한 모습이다. 같은 날 원화거래소에서는 비트코인이 1BTC당 약 1억2300만원에 거래됐다. 지난 9일 기록했던 월중 최저가인 1억1200만원 대비 약 9.8% 상승했다. 알트코인(비트코인 이외의 가상자산)의 가격도 상승세다. 관세 발표 이후 이달 초 대비 각각 9.4%, 16% 하락했던 리플(XRP·시가총액 3위), 바이낸스(BNB·시총 4위)는 관세 발표 이전 수준을 회복했고, 솔라나(SOL·시총 5위)는 이달 들어 가장 높은 값에 거래됐다. 다만 발행량 증가와 거래 감소로 부진을 지속 중인 이더리움(ETH·시총 2위)은 약세를 이어갔다. 가상자산 가격이 상승세인 것은 트럼프가 전 세계를 상대로 예고했던 '상호관세'를 유보하면서, 위축됐던 가상자산 시장의 투자 심리가 다소 회복됐기 때문이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일(현지시간) 모든 국가에 부과하는 10%의 '보편관세'와 57개국(한국, 일본 등 56개의 무역국, 그리고 유럽연합)에 적용하는 '상호관세'로 구성된 대규모 관세 정책을 발표했다. 국가별 최대 84%에 달하는 강도 높은 관세가 예고되자 가상자산, 증시 등 위험자산 가격은 일제히 하락했다. 지난 9일(현지시간) 트럼프 행정부는 예정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시행 13시간 만에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겠다며 입장을 뒤집었다. 다만 중국에는 기존보다 높은 관세를 적용할 것이며, 이외 국가는 보편관세에 해당하는 10%의 관세를 부과하게 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의 관세 유예 직후 비트코인 가격은 하루 만에 8.5% 급등했고, 주요 알트코인의 가격도 10% 넘게 상승했다. 이후 가상자산 가격은 약한 강세를 지속하고 있다. 미·중 무역갈등으로 달러 가치가 하락한 것 또한 비트코인 가격 상승에 이바지했다. 트럼프는 상호관세의 유예를 결정했지만, 대(對)미 무역 보복에 나선 중국에는 예외적으로 145%의 높은 관세를 책정했다. 이후 양국의 무역 갈등은 희토류·반도체 등 특정 품목까지 번졌고, 미국은 중국에 '245%'의 관세를 부과하는 등 사실상 '금수조치'를 결정했다. 양국의 무역 갈등이 격화하면서 시장에서는 달러 기피 현상이 발생했다. 주요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는 이달 초 103.949(100보다 높을수록 달러 강세)였지만, 지난 18일에는 99.23까지 하락했다. 달러 가치가 하락하면서 가상자산의 상대 가격은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 갈등에 기반한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당분간은 가상자산 가격이 빠르게 상승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암호화폐 리서치 업체 K33리서치는 "비트코인은 최근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 기대만큼의 안전자산 역할을 하지 못했다"라며 "비트코인의 희소성은 투자자에게 매력적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글로벌 유동성 위기나 금융시장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금과 같은 (안전자산의) 역할을 맡진 못했다"라고 분석했다. /안승진기자 asj1231@metroseoul.co.kr

2025-04-20 13:28:57 안승진 기자
기사사진
KB국민은행, 퇴직연금 DC·IRP 원리금비보장 수익률 은행 1위

KB국민은행은 전체 시중은행 퇴직연금 사업자 중 DC형과 개인형IRP의 원리금비보장상품 수익률 1위를 기록했다고 20일 밝혔다. 올해 1분기 말 기준 퇴직연금 수익률 공시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의 DC형과 개인형IRP의 원리금비보장상품 최근 1년 수익률이 각각 3.57%와 4.01%를 기록했다. 해당 수익률은 시중은행 중 1위이자 전체 은행 및 증권사를 포함해도 두 번째로 높다. KB국민은행의 개인형IRP 적립금은 2025년 1분기 말 기준으로 총 16조6000억원을 기록했다. 2025년 1분기 동안 개인형IRP 적립금이 9971억원 증가했으며, 해당 증가액은 전체 은행권 중 1위이자 증권사를 포함해도 두 번째로 많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퇴직연금을 기대수익률이 높은 상품보다는 디폴트옵션과 TDF 등 자산배분전략 상품으로 운용해 변동성을 낮추고 안정적인 수익률을 거둘 수 있도록 설계해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고 설명했다. KB국민은행은 연금 자산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률을 거둘 수 있도록 '퇴직연금 AI 투자일임형 서비스' 등 새로운 서비스 도입을 준비하고 있다. 한편, KB국민은행은 고객이 직접 가입하고 운용하는 DC/IRP 적립금 규모 1위를 유지하고 있다. 퇴직연금 DC형은 18년 연속(2007년~2024년, 12월말 기준, 출처 은행연합회 퇴직연금 비교 공시), 개인형IRP는 15년 연속(2010년~2024년, 12월말 기준, 출처 은행연합회 퇴직연금 비교 공시)으로 적립금 규모 1위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

2025-04-20 08:44:39 안상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