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월 늦어진 삼성 인사…경영시계 정상화(종합)
삼성전자가 지난해 연말 이후 미뤄뒀던 임원인사를 단행했다. 새 정부 출범을 시작으로 경영 정상화를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다만 인사 규모는 총수인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구속 상황 등을 감안, 최소한으로 실시됐다. 삼성SDS와 삼성생명, 삼성물산 등 계열사들도 순차적으로 임원 인사를 실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11일 IM(인터넷·모바일)과 CE(소비자가전) 등 세트(완제품) 사업부에 대한 임원인사와 주요 보직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말 실시하지 못한 인사를 더 이상 지체할 경우 조직의 신진대사가 저하될 것을 우려, 이번에 인사를 실시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승진 대상자는 부사장 승진자 6명, 전무 승진자 11명, 상무 승진자 30명, 전문위원 승진자 5명, 마스터 선임 2명 등 총 54명이다. 이번 승진에서는 특히 외국인 2명(조셉 스틴지아노 전무, 존 헤링턴 상무), 여성 2명(이애영 상무, 이혜정 상무)이 승진해 눈길을 끌었다. 부사장 승진자로는 김석기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엔터프라이즈 비즈니스팀장과 김정환 중남미 총괄, 이상훈 생활가전사업부 메카솔루션팀장, 이재승 생활가전사업부 개발팀장, 홍현칠 서남아총괄, 황정욱 무선사업부 글로벌 H/W개발팀장 등이 이름을 올렸다. 삼성전자는 사업부와 해외지역에 대한 주요 보직인사도 실시해 사업 경쟁력 강화를 꾀했다. 최경식 부사장이 무선사업부 전략마케팅실장을 맡게 됐고, 이영희 부사장이 무선사업부 마케팅팀장과 글로벌마케팅센터장을 맡았다. 이상철 부사장은 동남아, 권계현 부사장은 중국, 명성완 전무는 중동 시장을 이끌게 됐으며 팀백스터 부사장은 북미총괄 SEA법인장을, 이돈태 전무는 디자인경영센터 부센터장을 맡게 됐다. 이번 임원 인사는 '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예년보다 5개월 가량 늦게 실시됐다. 삼성은 매년 12월 사장단 인사에 이어 임원 승진 인사를 해왔으나 삼성 수뇌부가 '최순실 게이트'에 휘말리고, 그룹 컨트롤 타워인 미래전략실 해체되면서 지금까지 임원 인사가 미뤄져 왔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사에서 제외된 부품(DS) 부문에 대한 인사도 조만간 실시할 계획이다. 인사안 확정이 늦어지면서 이번에 제외됐을 뿐, 조직 전체적으로 임원 인사는 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이번 인사의 폭은 필요한 최소한의 범위에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총수인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 상황 등을 감안해 꼭 필요한 인사만 실시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인사에 포함되지 않은 사장단 인사는 이 부회장의 1심 판결이 나오는 8월 이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다른 계열사들의 임원 인사도 다음달 초까지 순차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인사의 필요성에 대한 자체적인 판단에 따라 인사를 할 것으로 안다"며, 삼성 계열사로 확대될지 여부에 대해서 선을 그었다. 하지만 그룹의 맏형 격인 삼성전자가 인사를 단행함에 따라 삼성SDS와 삼성생명, 삼성물산 등 다른 계열사도 조직의 원활한 업무운용을 위해 임원급 인사는 뒤따라 실시할 것으로 업계는 내다봤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사를 통해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2017년 경영목표 달성에 매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