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김승호
기사사진
관세 유예에 숨 고른 전력기기...美 현지화로 대응 지속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유예하면서 북미 진출에 속도를 내고 있던 전력기기업계가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상호관세 발표 당시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지연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 상황이었지만 일정 부분 여유를 확보하며 관세 리스크에 대응할 수 있는 시간을 벌었다는 평가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9일 중국을 제외한 75개국에 대한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하면서 전력기기 업계의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됐다. 기존 25%였던 관세가 10%로 낮아지면서 성장세를 이어가던 업계의 부담이 줄어들고 일부에서 제기됐던 수출 차질 우려도 완화된 분위기다. 당초 미국의 광범위한 상호관세가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AI 인프라 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AI붐은 빅테크가 AI 데이터센터 등 AI인프라 구축에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며 확산돼 왔다. 하지만 관세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이 타격을 입을 경우 기업들도 투자계획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일각에서는 미국 관세 정책이 자국 내 제조업 회귀(리쇼어링)를 가속해 전력난 심화를 초래하고 이에 따라 전력기기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어 관세 압박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 다만 업계는 수요 흐름이 견조하더라도 향후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따라 실적 영향 가능성이 열려있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각사는 미국 현지에 생산 시설을 구축하며 리스크 대응에 한창이다. HD현대일렉트릭은 미국 앨라배마 제2공장 증설을 진행 중이다. 울산과 함께 미국 공장 증설이 완료되는 오는 2028년에는 연간 매출액이 3000억원 늘어날 것이라고 회사 측은 전망했다. 효성중공업 또한 멤피스 공장 증설 완료 후 추가 증설을 검토하고 있다. LS일렉트릭은 아직 미국 공장 건설 계획을 밝히지 않았으나 텍사스에 부지를 확보한 상태다. 업계 안팎에선 LS일렉트릭이 국내 주요 변압기 업체 가운데 유일하게 반덤핑 관세를 적용받아 관세 영향을 더 크게 받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 상무부는 이달 초 국내 주요 변압기 제조업체들에 반덤핑 관세율을 확정 통보했다. LS일렉트릭은 16.87%를 부과받았고 HD현대일렉트릭과 효성중공업은 반덤핑 관세를 피했다. 미국 상무부의 이번 결정은 현지 생산 시설 유무가 결정적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LS일렉트릭은 미국에 초고압 변압기 생산공장이 없고 전량을 국내에서 생산해 수출하고 있다. 회사의 지난해 연간 미국향 매출 비중은 37%로 지난 2020년대비 13%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일부에선 반덤핑 관세율이 유의미한 수준은 아닐 것이라는 분석도 따른다. 국내보다 북미 판매가격이 훨씬 높은 상황이기에 향후 반덤핑 관세 리스크는 제한적일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관세 정책은 자국 내 제조업 회귀를 촉진시키고 전력난을 심화시킬 수 있기에 관세 압박이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이라며 "현재 수요 증가와 단가 상승은 긍정적인 신호이며 업체별 생산 능력 확대가 향후 공급 과잉으로 이어질지 여부는 아직 판단하기에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차현정기자 hyeon@metroseoul.co.kr

2025-04-13 16:34:54 차현정 기자
기사사진
해수부, 5월 산란기 불법어업 전국 대대적 단속

해양수산부가 봄철 어류 산란기를 맞아 5월 한 달간 '불법어업 전국 합동단속'을 실시한다고 13일 밝혔다. 단속에는 해수부 어업관리단을 비롯해 해양경찰청, 지방자치단체, 수협중앙회, 수산자원공단 등 관계기관이 참여한다. 해역별 조업 특성을 고려한 지도·단속을 추진할 계획이다. 동해안의 경우 ▲암컷대게 불법포획 및 유통, ▲대형업종 조업금지구역 침범 ▲어선 위치발신장치 미작동 등을 중점적으로 점검한다. 서해안은 ▲업종별 어구 사용량 초과 ▲무허가 실뱀장어 불법포획 등이 주요 단속 대상이다. 또 남해안은 ▲총허용어획량(TAC) 대상 어종 사매매 및 배분량 초과 ▲금어기·금지체장 어획물 유통행위 등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계획이다. 해수부는 어업인이 법령을 숙지하고 자율적으로 위법요소를 사전에 점검해 해소할 수 있도록 단속 계획을 사전 예고할 예정이다. 위반행위 예방에 중점을 두고 주요 어장과 항포구 등에서 어업인과 직접 소통하겠다고 해수부는 밝혔다. 또 준법조업 지도, 불법어획물 유통 차단 등 실효성 있는 현장지도도 강화한다. 안전조업 교육, 어로장비 점검 등 사전 안전관리 활동도 병행한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이번 불법어업 전국 합동단속은 위반행위 단속이 목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어업인과 함께 수산자원을 보호하고 안전한 조업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한 상생 노력"이라며 "사전에 단속계획을 예고한 만큼, 어업인 스스로 수산관계법령을 준수하고 위법행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 협조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

2025-04-13 16:28:49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석 달 유예 이어 날아든 낭보..."스마트폰·반도체 美관세 예외"

국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에 주말 사이 낭보가 전해졌다. 워싱턴이 석 달 후 매기게 될 관세(잠정 10% 이상) 품목에 반도체와 스마트폰 등이 예외 적용을 받을 것이란 소식이다. 언론 보도대로 추진된다면 이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자국 내 전자기기 물가의 큰 폭 상승을 우려한 데 따른 조처인 것으로 풀이된다. 13일 미국 CNBC 방송 등 외신에 따르면 워싱턴이 세계 각국에 부과를 추진하는 '상호관세'에서 반도체와 스마트폰, 컴퓨터 등이 제외됐다. 미 국토안보부 산하 세관국경보호국은 지난 11일(현지시간) '특정 제품에 대한 상호 관세 제외' 지침을 공개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스마트폰, 노트북, 모니터, 반도체 등이 2일 발표된 상호 관세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내용이다. 지침에는 또 태양전지, 평면 패널 TV 디스플레이, 플래시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데이터 저장에 사용되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등 기타 전자 장치 및 구성 요소에 대한 제외 사항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의 경우, 미국시장에 메모리 반도체 수출은 물론 스마트폰의 40% 이상을 베트남에서 생산하는대,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대(對)베트남 상호 관세율은 46%에 달한다. 13일 오후 기준 삼성전자 모바일사업부는 미국의 이번 결정에 대해 공식 입장은 내놓지 않고 있다. 다만 삼성전기, LG디스플레이 등 애플을 주요 고객사로 둔 대형 부품사들이 큰 부담을 덜게 된 것은 확실해 보인다. 하지만 향후 상황이 또 뒤바뀔 수 있다는 우려는 남아 있다. 이번 지침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1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한 이후 나왔다. 애플은 스마트폰 제품의 90%가량을 중국에서 생산한다. 이와 같이 애플 등 기술집약 기업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침이 제시됐다고 CNBC는 전했다. 애플은 세계 최대 기업이자 미국을 대표한다. 자국민들의 물가상승 체감도가 높아지는 등 여러 측면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조처로 애플 아이폰은 중국시장에서 제작이 돼도 관세 적용을 받지 않게 됐다.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별 상호관세 수위를 공개할 당시, 반도체와 목재 등 일부 품목에 대해서는 별도로 개별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에 각각 25%의 개별 품목별 관세를 물리겠다고 했으나 이 품목들 관세 방침에 대한 유지·수정 지침은 나오지 않은 상태다. 한편, 우리 정부는 향후 협상에서 조선부문 협력을 지렛대로 내세우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트럼프 대통령도 "가깝고 조선 실적이 우수한 나라에서 선박을 구매할 수 있다"고 밝혀왔다. 업계는 한국의 기술력을 미국에 조선기술을 이전하는 방식으로 협력 범위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관세 협상에서도 유용한 카드가 될 것으로 보는 전문가들도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조선업은 1980년대 이후 급격히 위축됐다. 미국 내 조선소 수는 80% 넘게 줄었고, 연간 건조 능력도 5척 이하 수준으로 떨어졌다. 국제 선박시장 점유율은 0.2%에 불과하다. 이에 반해 한국은 올해 1~3월 누적 기준 세계 수주 점유율 27%를 차지했다. 중국이 49%로 1위에 자리했고 일본은 2%로 3위에 올라 있다. 중국 견제가 목적인 미국 입장에선 한국이 전략적 파트너라는 평가가 나온다.

2025-04-13 16:20:45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국민의힘, 尹과 '헤어질 결심' 못하고 대선으로… 경선판에 '윤심' 개입 여지 커져

국민의힘이 윤석열 전 대통령을 떨쳐내지 못하고 '대선 열차'를 출발시켰다. 윤 전 대통령은 파면 일주일 만에 사저로 돌아갔지만, 철저한 칩거를 택한 박근혜 전 대통령과는 달리 '사저 정치'를 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경선에 윤 전 대통령의 의중이 개입될 수 있다는 의미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1일 서울 한남동 관저를 떠나 서초의 아크로비스타로 돌아갔다. 관저 앞에는 지지자들이 모여들었고, 윤 전 대통령은 차에서 내려 이들에게 인사를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흡사 퇴임 후 환송을 받으며 청와대를 떠나는 문재인 전 대통령이 떠오르는 모양새였다. 파면 이틀 만에 조용히 청와대를 떠났던 박근혜 전 대통령과는 다른 행보다. 게다가 윤 전 대통령은 관저를 떠나며 법률대리인단을 통해 지지층 결집용 메시지를 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겨울 많은 국민들 그리고 청년들께서 밤낮없이 한남동 관저 앞을 지켜주셨다"고 했다. 이어 "나라와 국민을 위한 새로운 길을 찾겠다"고 밝혔다. 또 대통령실에 따르면 윤 전 대통령은 퇴거 당일 관저에서 직원들과 만나 "비상 조치 이후 미래 세대가 엄중한 상황을 깨닫고 자유와 주권 가치의 소중함을 인식하게 돼 다행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12·3 비상계엄 사태가 정당성을 강조하고,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에 승복할 수 없다는 뜻으로 보인다. 문제는 윤 전 대통령의 영향력이 커질수록, 6·3 대선을 앞둔 보수 진영의 근심도 커진다는 점이다. 이 경우 이번 대선은 '국민의힘 대 더불어민주당'이 아니라 '윤석열 대 이재명' 구도로 변할 수밖에 없다. 안그래도 비상계엄 사태로 불리한 대선판에서 중도층이 더욱 외면할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지지층 결집이 절실한 국민의힘 대선 주자들은 윤 전 대통령을 찾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대선 출마를 선언한 일부 인사들은 지난주 한남동 관저를 찾아 윤 전 대통령과 만난 바 있다. 이제 윤 전 대통령이 사저로 돌아갔으니, 더 자유롭게 대권주자들이 방문할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윤 전 대통령의 뜻이 내게 있다"고 주장하는 후보가 나올 수 있다. 실제로 윤 전 대통령 극렬 지지층이 모인 단체 채팅방을 살펴보니 "대통령님(윤석열)이 픽(pick)한 후보를 선택하자" "대통령님의 뜻을 이어받는 사람이 후보가 돼야 한다"는 발언이 심심찮게 발견됐다. 윤 전 대통령은 파면됐지만, 그를 복권시킬 수 있는 후보를 찾자는 의미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의 영향력이 대선 내내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오는 14일 윤 전 대통령은 내란죄 관련 형사재판에 출석해야 한다. 또 김건희 여사가 관련됐다는 의혹이 있는 명태균 수사도 대선 중에 진행돼 새로운 사실이 나오면 이 또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4-13 16:19:43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U.S. excludes tariffs on semiconductors, smartphones, and laptops… Samsung and Apple breathe a sigh of relief.

The U.S. administration under Donald Trump has temporarily exempted high tariffs on key electronic products, such as smartphones, laptops, and semiconductor equipment, providing a brief relief to global electronics companies, including Samsung Electronics and Apple. This decision is interpreted as an effort to consider the impact on domestic big tech companies, as well as to reduce the burden on consumers and related industries. According to reports from Bloomberg and other media outlets on the 13th, the U.S. Customs and Border Protection (CBP) announced on the 11th (local time) through a notice on "Reciprocal Tariff Exemptions for Specific Goods" that approximately 20 items, including smartphones, laptops, hard disk drives, computer processors, memory chips, and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will be exempt from reciprocal tariffs. This measure will be applied retroactively from 12:01 AM on the 5th of the month, and companies can receive refunds for tariffs already paid. This move is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ntire U.S. electronics industry. In particular, Samsung Electronics and Apple are considered major beneficiaries in the smartphone market. Apple sources 90% of its iPhone production from China, while Samsung Electronics produces about half of its smartphones in its Vietnam plant. Earlier, the Trump administration had announced tariffs of up to 145% on Chinese products and 46% on Vietnamese products, meaning this new decision will relieve both companies from significant tariff burdens. The semiconductor industry has also been somewhat relieved by this decision. The Trump administration included not only finished products like memory chips, DRAM modules, and solid-state drives (SSDs) but also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in the list of tariff-exempt items. This is a positive development for Samsung Electronics and SK hynix, which do not have memory production facilities in the U.S. In particula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is crucial for future investments in U.S.-based semiconductor plants, and this move is seen as a response to the U.S. policy of attracting semiconductor plants to the country. However, there is also a perspective that this announcement is only a temporary easing measure. President Trump has continuously stated his position that he can impose item-specific tariffs on critical technology products such as semiconductors under Section 232 of the Trade Expansion Act. Section 232 of the Trade Expansion Act allows the U.S. president to impose tariffs or other measures to restrict imports of specific items deemed to threaten national security. The U.S. has already applied Section 232 to impose a 25% tariff on steel and automobiles. Meanwhile, the Trump administration is expected to clarify its stance on semiconductor tariffs on the 14th (local time). Initially, a 25% tariff had been proposed, but given the burden on domestic big tech companies, there are discussions about the possibility of adjusting the tariff rate. ChatGPT를 사용하여 번역한 기사입니다.

2025-04-13 16:08:19 메트로신문 기자
기사사진
K뷰티, 잇따라 기업공개 도전...달바·미미박스 '글로벌 도약' 목표

국내 유망 뷰티 브랜드들이 기업공개(IPO)를 통해 글로벌 시장 공략, 매출 개선 등에 중점을 두며 'K뷰티'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에 나서고 있다. 13일 국내 뷰티 업계에 따르면, 오는 5월 코스피 시장 진입을 앞두고 있는 달바글로벌은 지난 10일 공모일정 변경을 공시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달바글로벌은 4월 28일부터 5월 7일까지 수요 예측을 진행하고 5월 9~12일 공모주 청약을 받을 예정이다. 달바글로벌은 앞서 지난달 25일 일반공모 방식의 유상증자를 결정한 바 있다. 신주 종류와 수는 보통주 총 60만4000주로, 1주당 최저발행가액은 5만4500원이다. 이에 따라 달바글로벌은 최소 356억4300만원을 조달한다는 방침이다. 이 중 180억원은 운영자금으로, 145억원은 타법인 증권 취득 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달바글로벌은 이번 정정 공시에서 자금 사용 세부 계획도 일부 구체화했다. 회사는 타법인 증권 취득 자금 중 약 109억원으로 오는 2027년까지 인수합병 및 지분투자를 진행할 계획이다. 다만 추가 투자 대상은 구체적으로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혀 왔으나, 해당 사항을 삭제하고 신사업 확장, 신규 브랜드 확보 등 비즈니스 가치 극대화를 추구하겠다고 강조했다. 달바글로벌은 현재 연간 실적 측면에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매출은 2021년 690억원에서 2024년 3091억원으로 증가했고 연평균 성장률은 약 65% 수준이다. 특히 2024년 기준 해외 매출액은 전년 대비 218% 급증하며, 전체 매출에서 해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45%로 늘었다. 미국을 비롯해 유럽, 일본 등 20여 개국에서 K뷰티를 대표하고 있다. 달바글로벌은 이번 기업공개(IPO)를 통해 미래 성장을 위한 성장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달바글로벌 측 관계자는 "오는 2028년까지 글로벌 매출 비중을 70%로 대폭 확장하고, 연간 매출 1조원을 달성해 글로벌 슈퍼 브랜드로 도약하겠다"고 설명했다. K뷰티 전문 기업 미미박스도 지난해 상장주관사를 삼성증권으로 선정하며 기업공개(IPO)를 본격 추진해 올해 연내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미박스는 창립 초기부터 실리콘밸리 유수의 투자자들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입증했다. 조 론스데일 팰런티어테크놀로지 공동설립자가 운영하는 8VC, 굿워터캐피털, 알토스벤처스, 스파크랩,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와이콤비네이터 등 실리콘밸리 대표 투자자들로부터 2억달러 이상의 투자를 받은 바 있다. 그 결과, 미미박스는 전체 매출의 약 90%를 해외 시장에서 거두고 있고, 북미 시장 매출 비중만 65%에 달한다. 2024년에는 첫 영업이익을 기록하기도 했다. 미미박스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조정 후 영업이익(에비타,EBITDA)은 22억원이다. 미미박스는 미국 내 유통망 확보와 현지 맞춤형 마케팅 전략이 매출 성장을 견인했고 사업 구조 개선 노력도 결실을 맺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미미박스 측 관계자는 "2억 달러의 투자금을 활용해 미국과 글로벌로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 현재 미국 내 10개 이상의 리테일러에 입점해 폭넓은 고객층과 브랜드 입지를 다졌다"며 "2025년과 2026년에는 수익성 개선 측면에서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또다른 국내 뷰티 브랜드 관계자는 "국내외에서 K뷰티 대표 주자로 속속 입성한 브랜드들이 기업공개, 매출 개선 등으로 외형을 확장함에 따라 K뷰티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도 "다만 화장품은 경기 변동에 민감한 소비재인 만큼, 현재 직면한 글로벌 정세의 불확실성, 특정 국가에서의 규제, 양국 관계 등 변수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 마련도 절실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청하기자 mlee236@metroseoul.co.kr

2025-04-13 16:02:08 이청하 기자
기사사진
美, 반도체·스마트폰·노트북 '관세 제외' 결정…삼성·애플 '한숨'돌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스마트폰과 노트북, 반도체 장비 등 주요 전자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한시적으로 면제하기로 하면서 삼성전자와 애플 등 글로벌 전자업계가 일단 한숨을 돌리게 됐다. 자국 빅테크 기업에 미칠 파장을 고려하고 소비자와 관련 업계 부담을 낮추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13일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관세국경보호국(CBP)은 지난 11일(현지 시간)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통해 ▲스마트폰 ▲노트북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용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 약 20개 품목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 5일 오전 0시 1분부터 소급 적용되며, 이미 납부한 관세도 환급받을 수 있다. 이번 조치는 미국 내 전자업계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애플과 삼성전자가 대표적인 수혜 기업으로 꼽힌다. 애플은 전체 아이폰 생산 물량의 90%를 중국에서 조달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생산량의 약 절반가량을 베트남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산 제품에는 최대 145%, 베트남산 제품에는 46%의 관세를 예고한 바 있어 이번 조치로 두 기업 모두 상당한 관세 부담에서 벗어나게 됐다. 반도체 업계 역시 이번 조치로 일부 숨통이 트였다. 트럼프 행정부는 메모리칩, D램 모듈,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등 완제품뿐 아니라 반도체 제조장비까지 상호관세 면제 품목에 포함시켰다. 미국 내 메모리 생산시설이 없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는 긍정적인 조치다. 특히 반도체 장비는 향후 미국 내 반도체 공장 건설 투자에 핵심이 되는 분야로, 자국 내 반도체 공장 유치 정책을 고려해 수위를 낮춘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이번 발표가 일시적 완화 조치에 불과하다는 시각도 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반도체 등 핵심 기술 품목에 대해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밝혀왔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특정 품목의 수입이 국가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할 경우 미국 대통령이 관세 등 조치를 통해 수입을 제한할 수 있는 조치다. 이미 철강과 자동차에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25%의 관세를 부과한 상태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 관세와 관련해 구체적인 입장을 14일(현지시간) 밝히겠다고 예고했다. 당초 25% 수준의 관세 부과를 예고해왔으나, 자국 빅테크 기업들의 부담을 고려해 관세율 조정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2025-04-13 15:35:31 이혜민 기자
기사사진
안철수, 10대 공약 발표 "5대 초격차 산업 육성으로 韓 재도약"

제21대 대통령선거 출마를 선언한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13일 신성장 동력인 5대 초격차 산업 육성으로 대한민국을 재도약시키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안철수 의원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여는 10대 대선 공약'을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안 의원은 AI(인공지능), 반도체, 미래 모빌리티, 바이오, K-서비스 산업을 5대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2035년까지 AI 세계 3강 진입, 반도체 기술 주권 확보, 연구개발 투자 비중 GDP의 5% 달성, 과학기술 핵심인재 100만 양성, 그리고 20조원 규모의 K-스타트업 펀드로 창업국가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개헌을 통해 정치개혁을 이루겠다고 했다. 그는 "지금 국민의 분열과 혼란, 거대 야당의 폭거를 막지 못하면 대한민국의 미래는 없다"면서 "이미 수명이 다한 87년 헌법 체제 대신, 분권형 개헌 국민투표를 2026년 지방선거와 함께 추진해 대통령과 국회의 권한을 적절하게 축소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어 "제왕적 대통령제를 종식하고, 책임총리제를 도입하겠다"며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하고, 공수처를 폐지하겠다"고 부연했다. 그밖에 안 의원은 ▲연금·교육·노동·의료·공공개혁 완수 ▲지역별 첨단산업 분산 전략 등 지방균형발전 ▲아동수당 30만원 인상 등 안심복지 ▲실수요자 중심의 부동산 정책 실시 ▲출산·육아지원금 1000만원 등 저출생 대책 마련 ▲실용과 실력 중심의 강한 외교 ▲스마트 농어촌 육성 ▲기후위기 대응과 에너지 주권 확보를 공약했다. 안 의원은 "이 10대 공약은 단순한 약속이 아니라, 시대교체와 국가 대도약을 위한 실천 계획"이라며 "정직한 사람이 손해 보지 않고, 열심히 일한 사람이 정당한 대가를 받으며, 모두가 함께 성장하는 공정한 나라, 그 미래를 저는 반드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2025-04-13 15:34:29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xAI-X 합병으로 'X 살리기' 나선 머스크...시장은 회의적

일론 머스크가 본인 소유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와 소셜 미디어 플랫폼 X의 합병을 통해 X를 재정 위기에서 구해냈지만, 기업의 시장 가치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이 적지 않다. 머스크는 이번 합병을 두고 "xAI의 첨단 AI 기술과 X의 광범위한 영향력을 결합해 엄청난 잠재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시장에서는 '단기적 모면책'에 불과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13일 IT(정보기술) 업계에 따르면, xAI와 X의 합병은 총 1130억달러(약 161조1719억원) 규모로, xAI의 기업 가치는 800억달러, X는 330억달러(총 450억달러에서 부채 120억달러 제외)로 평가됐다. 시장에서는 설립 2년 차에 불과한 xAI가 800억달러라는 높은 가치를 인정받은 것에 대해 의구심을 드러내고 있다. 작년 11월 마지막 투자 라운드 당시 500억달러였던 xAI의 기업 가치가 60% 급증했고, X의 평가액은 머스크가 지난 2022년 트위터를 인수했을 당시 금액(부채 120억달러 포함 총 440억달러)에 가까워졌다. LA타임즈는 "이 거래는 머스크가 자기 회사를 또 다른 자기 회사로 인수하는 구조로, 양사 모두 모건스탠리가 대표 자문사 역할을 맡았다"며 "이런 독특한 구조 덕분에 머스크는 투자자들이 반발하지 않는 한 사실상 임의로 가치 평가를 조정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분석했다. 비현실적인 숫자는 기대에 기반한 평가라는 분석도 나온다. 머스크의 기업에 대한 평가에는 현재의 실적보다 미래 기대치가 더 크게 작용한다는 설명이다. 딥워터 자산운용의 매니징 파트너 진 먼스터는 테크크런치에 "동종 업계는 주가수익비율(PER)이 25배 수준임에도 테슬라의 주식이 수익의 80배로 거래되는 이유는 사람들이 대부분 단기 숫자가 아닌 미래에 베팅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투자자들이 장기적으로 믿고 기다리게 만드는 힘이 머스크의 초능력 중 하나"라고 전했다. 머스크는 합병 공식 발표를 통해 "xAI와 X의 미래는 서로 얽혀 있다"며 "데이터, 모델, 컴퓨팅, 유통, 인재를 통합해 진실을 추구하고 지식을 확장하는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X와 xAI의 이번 합병이 양사 모두에 시너지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xAI는 X의 방대한 사용자 데이터를 독점적으로 활용하게 되고, 경쟁 AI 기업들에게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을 통제권을 갖게 되며, xAI의 챗봇 그록 등을 수백만명의 X 사용자에게 직접 유통할 수 있게 된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IT 업계는 머스크의 이 발언을 '시장에서 반복되던 레토릭'으로 평가한다. 실제 투자나 기술 성과 없이 미래에 대한 기대감만 부풀리는 방식이라는 것이다. LA타임즈는 "머스크의 논리는 다소 허술한 측면이 있다"며 "이런 시너지 효과는 이미 존재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머스크의 xAI는 이미 1년 넘게 X 데이터를 활용해 그록을 훈련시켜왔고, 머스크는 X를 통해 그록을 홍보했으며, X의 유료 구독 상품으로 그록 고급 버전을 판매해왔다. LA타임즈는 "머스크가 양사를 모두 운영해왔기에 이런 이점들이 위태로워질 일도 없었고 X가 갑자기 경쟁 AI 기업과 손잡을 가능성도 없었다"며 이번 합병의 필요성 자체에 회의적인 시각을 보였다.

2025-04-13 15:31:57 김현정 기자
기사사진
국민의힘·민주당, 경선 룰 정비…반발 속 경쟁 예고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제21대 대통령 선거 당 내 경선룰 정비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두 정당 모두 민심과 당심을 모두 청취하기로 하면서 일부 주자들이 반발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경선룰을 정하고 비상대책위원회의 의결까지 마쳤다. 총 세 차례 경선을 치러서 4명, 2명, 1명으로 최종 대선 후보를 선출한다. 1차 경선에서 100% 국민 여론조사를 적용해 후보를 4명으로 압축하고 2차 경선에선 당원 선거인단 투표 50%와 국민 여론조사 50%를 합산해 최종 2명을 추린다. 2차 경선에서 과반을 넘게 득표한 후보는 최종 대선 후보가 되고, 과반을 넘게 득표한 후보가 없으면 다시 당원 선거인단 투표 50%와 국민 여론조사 50%를 반영해 최종 후보를 뽑는다. 모든 경선 여론조사엔 응답자에게 지지 정당을 물어 국민의힘 지지자나 무당층에게만 선택 기회를 주고 민주당 등 다른 지지자는 배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2022년 대선 당 내 경선의 경우 1·2차 컷오프에서 각각 20%·30%의 당심을 반영한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가 경선룰을 마련했고 의원총회에 보고할 예정이다. 이후 최고위원회의 의결과 당무위원회, 중앙위원회 의결을 거쳐 최종 경선룰이 확정된다. 민주당은 국민참여경선 방식이라는 이름으로 권리당원 투표 50%와 국민 여론조사 50%를 반영하기로 했다. 권리당원 투표권은 12개월 전에 당원이 돼서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권리당원을 대상으로 하며, 국민 여론조사는 안심번호를 통해 각 50만명 씩 두 차례 실시한다. 민주당은 19일부터 2주 동안 4개 권역 순회 경선을 실시한 뒤 최종 후보를 선출할 예정이다. 당심과 민심 반영 비율에 따라 자신이 받는 지지율이 크게 차이가 나는 후보들은 당의 결정에 반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민의힘 대선 주자 중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와 탄핵에 반대한 이들은 당원 선거인단 투표 반영 비율이 국민 여론조사 반영 비율이 높으면 유리하다. 반대로 비상계엄 선포와 탄핵에 찬성한 이들은 민심 반영 비율이 더 높은 것을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 높은 민심 반영 비율을 주장한 후보들은 헌재의 윤 대통령 파면 선고 이후 치러지는 조기대선인 만큼, 당심보다는 민심을 더 폭넓게 반영해야 보수 진영을 다시 세울 후보가 당선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결국, 민심 100% 반영을 요구하던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은 경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당 내에선 2차 경선에서 과반을 넘는 득표자가 없을 경우 실시되는 양자구도를 불편하게 바라보는 시선도 있다.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양자 경선 운운은 탄핵 대선판을 모르는 사람들의 탁상공론"이라며 "이번처럼 탄핵 대선일 경우 본선이 한 달밖에 남지 않았고 양자 경선을 하면 감정이 격앙돼 경선 후 봉합에 시간을 보내다가 본선에 참패한다"고 비판했다. 민주당도 일부 주자들이 경선룰에 반발하기는 마찬가지다. 이재명 전 대표가 대선 출마를 선언하며 마치 '추대'하는 것처럼 흘러가는 양상인데, 비명(비이재명)계는 국민 여론조사 100%를 반영하는 오픈 프라이머리(완전국민참여경선) 도입을 주장했으나, 당은 수용하지 않았다. 김동연 경기지사 측은 경선룰 확정 후 입장문을 내고 "이번 발표는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을 만들어낸 민주당의 자랑스러운 국민경선 원칙을 파괴하지 말아 달라는 요구를 헌신짝 집어던지듯 내팽개친 것이나 다름없다"며 "김동연 캠프는 '국민선거인단 없는 무늬만 경선'에 대해 단호히 반대한다"고 말했다. 김두관 전 의원 측도 "경선룰 확정에 대해 매우 유감이다. 민주당이 야당 지도자를 인정하지 않고 불통으로 일관했던 윤석열과 국민의힘을 닮아가서는 절대 안된다"며 "어대명(어차피 대통령 후보는 이재명) 경선 참여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숙고에 숙고를 하겠다"고 불출마도 시사했다. 반면, 역시 비명계 주자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이날 대선 출마 기자회견에서 수용 의사를 밝혔다. 그는 "이번 경선 과정에서 좀 더 많은 민주당의 당원들이 경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을 고려해 줬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당에 전달했다"고 말했다.

2025-04-13 15:19:52 박태홍 기자
기사사진
[기자수첩] 세종시 르네상스

"대전을 행정 부(副)수도로 만들겠습니다." 이는 1970년대 초 김대중 당시 신민당 대선후보의 공약이다. 이후 박정희 정권은 1970년대 후반 충남 공주 장기면(지금의 세종 장군면) 일대에 행정수도를 임시로 조성하는 안을 추진했다. 둘 다 수포로 돌아갔고 이후 노무현 전 대통령의 천도론 역시 헌법재판소의 위헌 결정에 의해 무산됐다. 막이 오른 대선전과 맞물려 대통령 집무실 이전과 관련한 정견(政見)들이 나온다. 크게 세종으로 가느냐 아니면 청와대 복귀냐로 나뉘는 모습이다. 특히 세종 이전을 내건 출사표가 주목받는다. 각 당의 경선 전부터 이미 언론 지면과 SNS(사회관계망서비스) 등을 달구고 있다. 집무실의 탈서울은 곧 수도 이전이다. 대통령이나 총리(내각책임제 국가) 집무실이 위치해 있는 곳이 행정수도다. 만약 제1 집무실을 세종으로 옮기는 즉시 서울은 더 이상 대한민국의 수도가 아니다. 물론 남아공(행정수도 프리토리아, 입법수도 케이프타운, 사법수도 블룸폰테인)처럼 수도가 3개인 나라도 있다. 세종이 행정수도가 될 경우, 서울은 국제금융중심지 내지 입법수도 또는 사법수도로 남을 수도 있다. 단, 국회의사당의 경우 세종 분원이 5~6년쯤 뒤 설치된다. 3년 전 대선이 끝나자마자 인수위에서 발표가 나왔다. 용산 국방부 건물로 이사 간다는 것이었다. 국민 대다수가 크게 놀랐다. 선거운동 기간 이에 대한 일언반구 언질도 없었기 때문이다. 어쨌든 청와대를 국민에게 돌려주고 국민과 적극 소통한다는 미명하에 추진된 이전에 대해 지지의 목소리도 꽤 높았다. 하지만 그 이후 터져 나온 무속 논란은 많은 이에게 가히 충격으로 다가왔다. 계엄 및 파면으로 인해 다시 또 이전이냐, 용산 잔류냐의 논쟁은 2년 당겨졌다. 걱정이 앞선다. 국민 상당수는 집담보·신용융자 원금과 이자 갚기에 허덕인다. 그런데도 집무실 이사비로 막대한 수준의 혈세가 사라졌다. 게다가 정치·사회적으로 아직 비상 상황이다. 그래서 '조기 대선'을 치르고 각 부문 복구를 해 나가야 하는데 '수도 이전'이라는 난제까지 국민 앞에 띄우는 게 옳은가 싶다. 짧은 시간 내에 새 대통령을 뽑아야 하기에 개헌 논의도 사실상 연기됐다. 수도 이전은 새 정부가 들어선 뒤 신중에 신중을 기해 시도해도 될까 말까 한 엄청난 쟁점이다. 여론의 중지도 시간을 두고 모아 가야 한다. 민심이 양극단으로 갈려 있다. 성급하면 화를 부른다. 청와대로 일단 들어가서 생각하면 될 일이다. 용산에 남아야겠다면 늦어도 사전투표 전까지는 유권자한테 알리는 것이 도리다.

2025-04-13 15:18:50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국민의힘, '한덕수 차출론' 계속 이어져… '이재명 대항마' 찾기 골몰

국민의힘 내부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21대 대통령선거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파면 국면에서 권한대행으로서 보여준 모습 등에서 경쟁력이 있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이는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 나서는 후보들 중에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압도할 만한 이가 없어서 생긴 현상이라는 분석이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도부는 한 권한대행 차출론이 커지자 자제를 요청했다. 이날 국민의힘 소속의원들의 한 권한대행 출마 요청 성명 발표 기자회견이 예정돼 있고, 해당 성명에 현역 의원 50여명이 동참했다는 이야기가 돌아서다. 한 권한대행 출마 요청 회견은 취소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한덕수 대행께서는 시대의 요구를 외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라는 제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성 의원은 한 권한대행에 대해 "경제, 통상, 외교안보 전문가로서 폭넓은 국내외 인적 네트워크와 인품, 실력, 경륜은 혼돈의 대한민국을 새로운 질서의 대한민국으로 이끌어 낼 분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 권한대행은) 트럼프 정부의 관세 폭탄과 미중의 패권전쟁, 극심한 갈등과 분열의 대한민국을 하나로 묶어낼 수 있는 적임자"라며 "이미 우리당의 정말 많은 의원님들께서 한 권한대행의 출마를 촉구했다. 한 권한대행께서는 이런 국민의 요구에 응답해주시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이런 상황 때문인지 보수 진영 유력 주자 중 하나였던 오세훈 서울시장은 전날(12일) 대선 불출마 선언을 했다.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은 경선룰을 문제 삼으며 국민의힘 경선 불참 의사를 밝혔다. 이미 대권 출마 의사를 밝혔던 이정현 전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대표는 출마 철회 선언을 했다. 이처럼 국민의힘 경선판이 요동칠 정도로 '한덕수 차출론'이 나오는 이유는 본선 경쟁력 때문이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전 민주당 대표가 선두를 달리는 가운데, 국민의힘 내에서는 당내 후보 중에 이를 누를 수 있는 대항마가 없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반면 한 권한대행은 호남 출신인데다, 정통 경제 관료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보수 진영에서는 민주당의 압력에도 헌법재판관을 임명하지 않거나, 대통령몫을 지명하는 등의 모습이 '강단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런 강점 덕분에 한 권한대행이 무당층에 소구력이 있다는 것이다. 당 선관위는 후보등록 시한인 오는 15일을 넘기면 특혜는 없다는 입장이지만, 정치권 일각에서는 한 권한대행의 국무총리직 사퇴 후 무소속 출마, 그리고 국민의힘 후보와의 단일화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다만 윤석열 정부 총리라는 점, 심판이 선수로 뛴다는 점에서 비판도 나온다. 김재섭 국민의힘 조직부총장은 한 방송에서 "반명연대, 비명연대의 진영을 폭넓게 하자는 취지인 것 같긴 한데 (국가) 위기 상황에서 컨트롤타워가 얼마큼 중요한지를 생각하면 (한 권한대행의 출마는) 적절하지는 않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한 권한대행이 출마할 경우, 국민의힘은 '박근혜 전 대통령 이후 당내에서 대권주자를 배출하지 못하는 정당'이라는 비아냥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이미 국민의힘은 두 차례 외부 인사를 영입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은 2021년 국민의힘 외부에서 사실상 영입된 경우였고,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도 22대 총선을 이끌기 위해 법무부 장관직을 사퇴하고 입당했다. 한편 야권에서도 한 권한대행을 겨냥한 비판이 제기됐다. 김민석 민주당 최고위원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나이든 윤석열인 한덕수 대행을 내세워 윤석열은 복권을 노리고, 권성동은 당권을 노리고, 한덕수는 팔십까지 권력을 노리는 조잡하고 허망한 기획"이라며 "윤석열 파면에 이어 결국 국힘 파장으로 종칠 것"이라고 꼬집었다. /서예진기자 syj@metroseoul.co.kr

2025-04-13 15:18:18 서예진 기자
기사사진
치킨값 또 오를까…프랜차이즈는 고민, 소비자는 냉동·마트로 이동 중

원·달러 환율 상승과 국제 곡물가 인상에 따른 닭고기 가격 상승, 여기에 배달앱 수수료 부담까지 더해지면서 치킨 한 마리 가격이 또 한번 들썩일 것으로 보인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닭고기(육계) 평균 도매가격은 ㎏당 약 31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20% 상승했다. 최근 원·달러 환율이 1350원을 상회하며면서 사료와 부재료의 단가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로 인해 닭고기 생산 비용이 증가, 도매가격 상승으로 이어진 것이다.. 한국육계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비상계엄 전인 11월 초 2780원~3100원을 형성하던 닭고기 시세는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리며 이달 들어 2980원~5100원까지 올랐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배달 수수료 부담이 커지면서 치킨 업계에도 '이중가격제' 도입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중가격제는 같은 메뉴라도 매장에서 먹을 때와 배달로 주문할 때 가격이 다른 구조를 말한다. 자담치킨은 이달 3일부터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 등 주요 배달앱에서 판매하는 모든 메뉴의 가격을 일괄 2000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후라이드치킨은 기존 2만1000원에서 2만3000원, 양념 및 맵슐랭치킨은 2만3000원에서 2만5000원으로 올라갔다.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에서 본사 차원에서 이중가격제를 공식화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 일부 가맹점이 자율적으로 배달 가격을 올린 경우는 있었지만, 본사가 직접 나선 건 이례적이다. 업계는 이중가격제 도입에 신중한 입장이다. 치킨의 경우 전체 매출의 70~80%가 배달에 의존하고 있어 소비자 반발이 곧 매출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교촌·bhc·BBQ 등 다른 프랜차이즈는 아직 도입 계획이 없다고 밝혔지만, 가맹점들의 요구는 커지고 있다. 버거 프랜차이즈는 이미 대부분 이중가격제를 운영 중이다. 프랜차이즈 업계는 치킨 회사들의 결정에 따라 향후 이중가격제 확산 속도가 달라질 것으로 보고 있다. 배달 매출 비중이 큰 치킨 업계까 동참할 경우 다른 업종까지 흐름이 쉽게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비자들은 이제 프랜차이즈가 아닌 대형마트 PB 치킨과 냉동 치킨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이마트는 2022년 9980원짜리 '생생치킨'으로 주목을 끈 데 이어, 2024년에는 가격을 더 낮춘 6480원짜리 '어메이징 완벽치킨'을 출시하며 승부수를 던졌다. 이마트의 치킨류 매출은 2022년 전년 대비 43.8% 증가했고, 2023년 1~7월에도 15%의 성장률을 이어갔다. 홈플러스는 '당당치킨'을 판매하고 있다. 2022년 출시 이후 누적 판매량 1000만 마리를 넘기며 대형마트 PB치킨 중 가장 강한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 롯데마트 역시 월평균 6만 개 이상 팔리는 '뉴 한통가아아득 치킨' 시리즈로 후발주자로서의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또 가격 경쟁력, 간편 조리, 품질 개선이라는 3박자를 갖춘 냉동 치킨도 프랜차이즈 대체재로 자리매김했다. 시장조사업체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국내 냉동 치킨 시장 규모는 약 1641억 원으로, 2022년(1410억 원)보다 10% 이상 성장했다. CJ제일제당의 '고메 소바바치킨'은 출시 18개월 만에 누적 매출 1000억 원을 돌파하며 시장 확대를 이끌었다. 여기에 하림, 오뚜기 등 식품 대기업들도 앞다퉈 신제품을 선보이며 제품 다양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냉동 치킨의 가장 큰 강점은 가격이다. 대형마트 기준 한 팩에 5000~8000원 선으로 프랜차이즈 치킨의 절반 이하 가격에 구매할 수 있다. 여기에 에어프라이어만 있으면 15분 내로 바삭한 치킨이 완성되는 조리 편의성도 한몫한다. 과거 '딱딱하고 퍽퍽한 맛'으로 저평가받던 냉동 치킨은 최근 제조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품질도 대폭 개선됐다. 급속 냉동 기술을 활용해 식감과 육즙을 살리고, 바삭한 튀김옷과 다양한 시즈닝으로 '갓 튀긴 맛'에 근접한 제품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 마트 PB치킨과 냉동 치킨의 인기는 단발적인 유행이 아닌 소비 구조의 변화로 읽힌다. 고물가·고금리로 허리띠를 졸라맨 소비자들에게 마트 치킨은 하나의 생존 전략이 되고 있으며, 유통업계 역시 이를 주력 상품으로 끌어올리며 레시피 개발과 품질 차별화에 나서고 있다.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 관계자는 "생산비와 배달 수수료 부담이 계속 커지는 상황에서 치킨 가격 인상과 이중가격제 도입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며 "소비자 이탈을 막기 위해 대형마트나 냉동 치킨처럼 가성비 상품 개발에 대한 고민도 함께 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원선기자 tree6834@metroseoul.co.kr

2025-04-13 14:26:34 신원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