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뭉치면 산다"…'협력' 통해 성장하는 소상공인협동조합 있다
옥천 알렉산드리아조합, 농가간 협업·정책 지원 '돌파구' 마련 대구 프렌즈조합, 브랜드 개발·투자등으로 3년 만에 100배 성장 소진공 '소상공인 협업활성화 공동사업' 큰 힘…"자생력 적극 지원"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 경기침체 장기화와 고물가·고금리 등의 어려움 속에서도 협력과 상생을 통해 성장하고 있는 소상공인 협동조합들이 있다. 여러 소상공인들이 모여 시너지를 창출해 매출 증대 뿐만 아니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등 소상공인의 미래를 보여주면서다. 13일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 따르면 충북 옥천군의 알렉산드리아협동조합은 농가 간 협업을 통해 성장 돌파구를 마련했다. 이 조합에선 기계, 품종, 재배, 가공, 유통 등 각자 다른 분야에 몸담았던 조합원들이 힘을 모아 와인 포도로 유명한 최고급 품종 '머스캣 오브 알렉산드리아'를 유기농으로 재배하고 있다. 특히 조합이 효자 상품인 스파우트 파우치 착즙 주스를 생산할 수 있었던 것은 소진공의 '소상공인 협업 활성화 공동사업' 지원이 큰 힘이 됐다. 2016년 롤 포장기, 스탠딩 포장기, 스파우트 포장기를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저온창고, 급속주스냉각설비, 진공감압농축시스템 등 설비 구축 덕분에 단일 품목 판매에서 벗어나 과채 주스 등 다양한 가공품을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가능했다. 뿐만 아니라 조합은 포도 농사를 중심으로 귀농인 양성을 위한 '포도밭일꾼'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이들이 건강한 먹거리를 생산해낼 수 있는 여건 마련에 힘쓰고 있다. 급성장한 렌탈 시장에서 브랜딩으로 사업에 날개를 단 프렌즈협동조합 사례도 주목할 만하다. 대구광역시에서 프린터와 복합기 등의 사무기기 임대업을 운영하는 이 조합은 조합원들이 힘을 합쳐 확실한 브랜딩에 집중한 결과 전국 유일의 사무기기 협동조합으로 거듭났다. 2019년부터 '소상공인 협업 활성화 공동사업'에 참여해 브랜드 개발과 네트워크 구축, 마케팅 등 종합적인 지원을 받아 기업 이미지(CI)와 브랜드 아이덴티티(BI)를 완성했다. 조합은 사무기기 전문업체로 이미지를 확실히 굳힌 후에는 사무기기 전반에 대한 투자까지 사업을 확대했다. 대형 레이저젯 복합기를 대량 구매해 신규 거래처를 확대하고 캐논과 전문대리점 협약 체결, 공동 구매·판매 개척 등을 통해 좋은 제품을 저렴하게 공급하며 제품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그 결과 대구지방법원, 대구고등법원, 제2 항공전투비행단 등의 관공서를 주요 고객으로 확보하며 조합 설립 3년 만에 100배 이상 성장하는 쾌거를 이뤘다. 느티나무협동조합은 사진 관련 일을 하는 소상공인들이 모인 사회적기업이다. 2015년 설립 이후 문화 콘텐츠 기획과 방송 중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어르신들에게 장수 사진을 촬영해 주거나 지역 청년 등 주민을 대상으로 포토샵, 조명 활용 교육과 같은 재능 기부도 하고 있다. 이곳 역시 소진공의 지원사업을 통해 장비를 확충하고 인쇄물과 홍보영상 제작, 옥외광고 등 다양한 도움을 받았다. 이같이 체계적인 지원은 제품 사진 촬영뿐만 아니라 문화콘텐츠 기획, 현장 방송 중계 등 다방면의 사업 분야를 확장하며 성장하는 데 '단비'와 같은 역할을 했다. 한편 소진공에 따르면 '소상공인 협업활성화 공동사업'은 전체 조합원의 50% 이상이 소상공인으로 구성된 5인 이상 소상공인협동조합 및 연합회가 대상이다. 사업은 기반 마련과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공동브랜드 개발, 마케팅, 네트워크(누리집, 어플리케이션 등), 프랜차이즈화, 공동장비 구매 등을 중점 지원한다. 소진공은 2020년 이후 협업활성화 공동사업을 5회 지원받은 협동조합을 대상으로 졸업제를 추진하고 있다. 박성효 소진공 이사장은 "소상공인 협업활성화 공동사업을 통해 소상공인들이 협력해 경쟁력을 높이고 안정적인 수익 모델을 창출할 수 있도록 소상공인 각자의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형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소상공인들이 경쟁력을 높이고 자생력을 기르며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