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요금할인 직격탄 맞은 SK텔레콤…"5G 상용화 매진할 것"
이동통신사가 3·4분기 실적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정부가 추진한 각종 통신비 인하 대책에 따른 후폭풍 여파다. 이동통신 3사 중 가장 먼저 성적표를 받아든 SK텔레콤은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22.5% 줄어들었다. 내년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로 신사업에 대한 투자를 앞두고 있어 표정이 어두울 수밖에 없다. 다만, SK텔레콤은 보안, 미디어 등의 사업 강화로 종합 ICT 기업으로 발돋움 해 기존 사업의 한계를 이겨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내년 상용화되는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에 집중해 매출 턴어라운드를 이루겠다는 전략이다. 30일 SK텔레콤은 연결 재무제표 기준, 올 3·4분기 매출 4조1864억원, 영업이익 3041억원, 순이익 1조498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5.8%, 22.5% 줄었고, 직전 분기와 비교해도 영업이익이 12.3% 감소했다. 다만, 순이익은 SK하이닉스의 기록적인 성과에 힘입어 전년 동기보다 32.4% 늘어나 분기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다. 분야별로 보면, 미디어사업이 가입자 확대에 힘입어 성장세를 이어갔다. 인터넷TV(IPTV) 매출은 기존 회계기준 322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3% 증가했다. IPTV 가입자는 11만명 순증했고, 9월 말 기준 모바일 IPTV '옥수수' 가입자는 16.6% 늘어난 946만명, 월 순 방문자 수는 29.4% 증가하며 700만명을 돌파했다. 다만, 중점 사업인 이동통신사업 매출은 8.5% 줄어든 2조4850억원을 기록해 맥을 추지 못했다. 정부의 통신비 인하 정책이 실적 부진의 '직격탄'이 됐다. 지난해 9월 선택약정할인율이 기존 20%에서 25%로 올린 이후 가입자는 시행된 지 1년 만에 1768만명으로 늘어났다. 전체 이동전화 가입자의 27%에 달하는 수치다. 이 기세로는 연말 2000만명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선택약정요금할인제는 지원금 대신 매월 통신요금에서 일정비율을 할인받는 것을 뜻한다. 첫 시행 때는 할인율이 20%였지만 가계통신비 인하 정책에 의해 지난해 9월부터 25%로 상향 조정됐다. 이와 함께 지난 7월부터 시행한 취약계층 요금감면으로 인해 무선수익은 떨어졌다. SK텔레콤의 가입자당월평균매출(ARPU)도 3분기 3만2075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3만5172원에 비해 8.8% 감소했다. 유영상 코퍼레이트 센터장은 이날 진행한 컨퍼런스 콜을 통해 "지난 7월 시행된 기초연금 수급자 요금 감면이 온전히 반영돼 3분기도 무선 매출 감소가 이어졌다"고 말했다. 다만, ARPU에 대해서는 "선택약정할인 증가 속도 완만한 추세고 미디어 소비 확대 등 데이터 소비 수준이 증가해 내년 상반기에는 ARPU 하락세가 안정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 또 5G 상용화 되는 내년 하반기 무선 매출 턴어라운드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MNO의 한계를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넓히며 극복해 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3분기 물리보안업체 ADT캡스 인수를 마무리했고, 정보보안업체 SK인포섹을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는 한편 커머스 플랫폼 11번가를 분사했다. 아울러 자사 모바일OTT '옥수수(oksusu)'를 키워 동남아시아 진출을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5G 상용화 준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유영상 센터장은 "지난 9월 중순 장비 공급사를 선정한 이후 5G 상용화에 매진했다"며 "4분기부터 일부 지역을 시작으로 망 구축을 시작하고 최선의 투자 효율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이동통신 시장을 달군 단말기 완전자급제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그는 "단말기 완전자급제 도입 시 서비스 간 경쟁과 단말 간 경쟁을 통해 통신요금과 단말의 가격이 혼재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