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B2B 통신 시장 확대…'기업전용 LTE' 10만 가입자 돌파
KT가 '기업전용 LTE'를 기반으로 기업 통신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KT는 지난해 4월 선보인 '기업전용 LTE' 10만 가입자를 달성했다고 15일 밝혔다.
기업전용 LTE는 임직원이 모바일에서 기업 전용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해 일반 무선 인터넷망과 완벽히 분리된 상태에서 기업 내부망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보안효과를 누릴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KT 기업전용 LTE는 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 금융, 제주, 물류 등 100여개 기업이 이용하고 있다. 주요 고객으로는 현대중공업, 포스코, 경찰정, 서울시, 소방본부, 한국전력 등이 있다.
서비스 유형별로는 KT가 위탁 관리해주는 서비스형 고객이 약 95%를 차지하고 있으며, 고객사 내부 전상망에 기업전용 LTE 게이트웨이를 직접 설치하는 구축형 고객은 5%다.
기업전용 LTE는 기업의 사업환경에 따라 구축형(Zone형)과 서비스형(전국형) 등으로 나뉜다. '구축형'은 임직원이 회사가 지정한 특정 지역에서 기업전용 LTE로 사내망에 접속하는 형태로, 강력한 보안 정책이 필요한 연구소, 대규모 산업단지와 공장 등에 적합하다. '서비스형'은 별도의 구축과정 없이 임직원이 전국 어디에서나 애플리케이션으로 기업전용 LTE를 통해 사내망에 접속하는 형태로 이동이 잦은 경찰, 소방서, 영업직군, 보험사 등에 특화됐다.
기업전용 LTE는 월 200만원(300GB제공)부터 4000만원(50TB)까지 총 8종의 요금제를 제공하고 있어, 대기업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까지 다양한 고객층을 확보하는데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또 KT는 지난 2월 출시한 '기업모바일전화'와 융합을 통해 데이터 제어, 특화 디바이스 등 다양한 기업 유무선 솔루션을 선보일 방침이다.
KT 유무선사업본부 박현진 본부장은 "기업전용 LTE는 기업과 임직원 모두에게 업무환경개선 및 비용절감 혜택을 제공하는 KT만의 차별화된 B2B 솔루션"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