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부진 여파 3분기 자영업자 등 실질 사업소득 1.7%↓
가계소득이 1년 전보다 4% 넘게 늘었으나 사업소득은 내수 부진의 영향으로 1% 미만 증가하는 데 그쳤다. 가계의 경우 물가상승분을 반영한 실질소득(2%대) 역시 늘었지만 실질 사업소득(-1%대)은 뒷걸음질했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2024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7~9월 기간 전국 1인 가구(농림어가 포함)의 월평균 소득은 525만5000원으로 전년 동분기에 비해 4.4% 늘어났다. 소득은 5분기째 증가세를 보였다. 또 전 분위에서 2분기 연속으로 소득이 증가했다. 물가 변동의 영향을 제거한 실질소득 역시 2.3% 증가하면서 2분기 연속 증가를 기록했다. 근로소득이 전체 소득의 증가를 이끌었다. 근로소득은 상용근로자 수가 늘고 임금이 오른 데 힙입어 지난해 3분기와 비교해 3.3% 늘어난 332만9000원으로 집계됐다. 이에 반해, 사업소득은 98만7000원으로 0.3% 증가하는 데 그쳤다. 물가를 반영한 실질로 보면 사업소득은 1.7% 줄어들었다. 내수가 부진했던 탓에 자영업자의 어려움이 가중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같은 기간 서비스업 생산은 늘었지만, 소매판매가 줄었고 자영업자 가구는 감소했다"며 "이런 것들이 물가를 고려한 실질로 볼 때 마이너스로 간 영향을 주지 않았나 생각한다"라고 설명했다. 올해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7000원으로 전년보다 3.5% 늘었다. 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비지출은 1.4% 늘었다. 주거·수도·광열(+12.6%)과 기타상품·서비스(+9.0%) 등에서 소비지출이 크게 증가했다. 이어 보건(+7.9%), 오락·문화(+6.9%), 음식·숙박(5.6%)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교통(-4.3%), 통신(-3.6%), 의류·신발(-1.6%), 교육(-1.3%) 등에서는 지출이 감소했다. 또 크게 늘어난 주거·수도·광열 지출만 보면 주택유지 및 수선(45.6%), 월세 등 실제주거비(18.4%)에서 증가 폭이 컸다. 이 관계자는 "같은 기간 주택거래량이 굉장히 많이 늘면서 리모델링 관련 비용인 주택유지 및 수선이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보건 지출은 입원서비스(22.4%)에서 크게 늘었다. 반면 자동차 구입(-24.8%)이 크게 줄면서 교통 지출은 전년보다 4.3% 감소했다. 통신 지출도 3.6% 감소했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