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9월 외국인 채권 15조 순매수…"연중 최대"

지난달 외국인 투자자의 국내 장외채권 순매수 규모가 연중 최대치를 기록했다. 금융투자협회가 10일 발표한 '2024년 9월 장외채권시장 동향'에 따르면 외국인 투자자는 지난달 14조9490억원어치의 국내 채권을 순매수했다. 이는 8월 11조6460억원에 이어 두 달 연속 연중 최대치다. 종류별로 보면 국채는 9조630억원 순매수해 8월(7조3750억원)보다 1조6880억원 증가했다. 통화안정채권(통안채)은 2조9850억원 순매수해 직전 달(4조1970억원)보다 1조2120억원 줄었다. 8월 초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 충격 이후 통화스와프(CRS) 금리가 하락하며 외국인의 재정거래 유인(통안증권금리-통화스와프금리)이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개인 투자자는 지난달 3조9531억원어치의 채권을 순매수해 8월(3조3343억원)보다 6188억원 늘었다. 종류별로 보면 국채 순매수 규모가 1조1727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회사채(9071억원), 특수채(8899억원), 금융채(6934억원)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달 채권 발행 규모는 77조1000억원으로 8월(69조7000억원) 대비 7조4000억원 증가했다. 금융채가 38조950억원, 회사채가 10조1270억원으로 전월 대비 각각 9791억원, 3332억원 늘었다. 지난달 회사채 수요예측은 총 62건(5조9900억원) 진행돼 전년 동월 대비 3조4300억원 증가했다. 수요예측 참여 금액은 31조9063억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22조6453억원 늘었고, 수요예측 참여율은 같은 기간 361.8%에서 532.7%로 증가했다. 미매각은 A등급에서 2건 발생해 미매각률은 0.2%로 나타났다. 지난달 채권 거래량은 8월 대비 11조7000억원 증가한 426조4000억원을 기록했고, 일평균 거래량은 3조9000억원 늘어난 23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채권 금리는 단기물은 전월 대비 14.2~25.4bp(1bp=0.01%포인트), 장기물은 9.5~18.0bp 하락했다. 금투협 관계자는 "미국의 8월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지수 등 지표가 부진하게 나타나자 경기침체 우려가 커지며 미국과 한국 모두 국고채 금리가 하락했다"며 "또한 미국의 기준금리 50bp 인하 이후 장단기 금리차가 확대되는 양상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원관희기자 wkh@metroseoul.co.kr

2024-10-10 15:24:55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퇴직연금 환승시대' 개막에 유치 경쟁 치열...증권사는 대형사 쏠림

오는 15일 '퇴직연금 실물이전 시대' 개막을 앞두고 증권사들의 '머니무브' 유치 경쟁이 치열하다. 현재는 약 400조원에 달하는 퇴직연금 시장의 절반을 은행권이 선점하고 있지만, 신 제도와 높은 수익률 등으로 인해 증권가로 이동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다만 증권가 내에서도 대형사 위주로 퇴직연금 시장이 커지고 있는 모습이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증권사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약 94조512억원으로 집계됐다. 79조1534억원이었던 전년 동기보다 약 18.82% 성장한 수치다. 동일 기간 금융권 전체의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가 14.02% 늘어난 것과 비교했을 때, 증권사의 성장 규모가 더욱 주목된다. 전 금융권의 퇴직연금 적립금은 2023년 2분기 345조8140억원에서 올해 2분기 394조3034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보헙 업종은 6.62%, 은행 업종은 15.50% 상승했다. 오는 15일부터는 퇴직연금 현물이전(실물이전) 제도가 시행되면서 '퇴직연금 환승'이 간편해졌다. 제도가 도입되면 퇴직연금 사업자를 변경할 때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기존에 운용 중인 금융상품을 매도하지 않고 이전 받을 계좌로 실물 그대로 옮길 수 있다. 은행에서 증권, 증권에서 은행 등 퇴직연금 이사가 손쉬워진 것이다. 2분기말 기준으로 국내 퇴직연금 적립금의 절반 이상은 은행(약 207조원)에서 운용하고 있다. 다만 평균 수익률은 은행(4.87%)보다 증권사(7.11%)가 더 높게 나타나면서 증권사들은 '머니무브'를 내심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약 400조원에 달하는 퇴직연금 시장의 지각변동에 증권사들이 크게 수혜를 입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각사들은 활발한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상품의 다양성, 수익률, 상장지수펀드(ETF) 이용자 등에게는 편의성까지 전반적으로 금융투자업계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며 "이러한 부분에서 기대감이 있는 투자자들이 은행·보험 업종에 비해 경쟁력 있는 증권 쪽으로 넘어올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증권사 중 유일하게 퇴직연금 적립금 25조원을 넘긴 미래에셋증권은 인공지능(AI) 기반 로보어드바이저 일임 서비스를 개발했다. 더불어 현재 30인 이하 중소기업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는 퇴직연금기금제도 사업 '푸른씨앗'도 운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사전 상담을 완료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편의점 모바일 상품권을 제공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2월 말 기준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 3·4위에 해당하는 한국투자증권과 삼성증권도 RA 투자 서비스 역량 강화에 집중하는 등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다. 한투증권은 지난 8월부터 퇴직연금 현물이전 사전예약 이벤트를 실시 중이며, 삼성증권은 퇴직연금 최초로 운용관리 수수료와 자산관리 수수료 무료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다만 퇴직연금 시장 역시 대형사 위주로 쏠리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현대차증권을 제외하면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가 10조원이 넘어가는 증권사는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이 유일하다. 올해 2분기 기준 현대차증권의 퇴직연금 운용 금액은 16조7324억원으로 운용 금액 규모 2위에 해당한다. 다만 확정급여(DB)형과 확정기여(DC)형을 합친 계열사 비중이 약 86.68%에 달해 계열사 의존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24-10-10 15:20:17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김승연 토스증권 대표 사임…신임 대표에 '89년생' 김규빈 총괄 선임

토스증권이 신임 대표이사에 김규빈 제품총괄(Head of Product)을 선임했다고 10일 열린 주주총회를 통해 밝혔다. 김 신임 대표는 지난해 제품총괄로 발탁된 이후 1년 만 대표로 선임됐다. 토스증권 측은 "이번 인사는 토스증권의 투자 플랫폼으로서의 영향력 강화 및 서비스 확장을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전임 김승연 대표는 지난해 4월 토스증권 정기주주총회에서 대표이사로 선임됐지만 '개인적 사유'로 6개월 임기를 남기고 물러나게 됐다. 이로써 토스증권은 출범 4년 차에 네 번째 대표를 선임하게 됐다. 김 신임 대표는 1989년생으로, 미국 카네기멜론대학교 전자컴퓨터 공학부를 졸업했다. 지난 2012년 모바일 선물 서비스 '나노조'를 창업한 후 이베이코리아, 토스(비바리퍼블리카)를 거친 인물이다. 지난 2022년 1월 토스증권에 프로덕트 오너(Product Owner, PO)로 입사한 이후 실시간 해외주식 소수점 거래 출시, 투자자들의 토론의 장으로 성장한 커뮤니티 고도화 등을 추진하며 서비스 혁신을 이끌었다. 지난 2023년 최초로 분기 흑자 달성에 기여하기도 했다. 올해는 해외채권 출시, 토스증권 PC(WTS) 출시 등 토스증권 서비스 기반을 다져왔다. 한편 이번 대표이사 인사로 신규 제품총괄에는 고동완 PO가 선임됐다. 고 신임 PO는 토스증권 합류 이후 해외주식 서비스 성장을 이끌어왔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4-10-10 15:00:11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기존 최대치 갈아치운 '국가채무' & 역대 3위 오른 '나라살림 적자'

올해 들어 8월까지 나라살림 적자 폭이 84조 원을 넘어섰다. 이는 역대 3번째로 큰 적자규모다. 같은 기간 국가채무는 역대 최대인 1167조 원까지 불어났다. 기획재정부가 12일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10월호'에 따르면 1~8월 누계기준 총수입은 396조7000억 원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2조3000억 원 늘어났다. 그러나 총지출이 447조 원으로 21조3000억 원 증가해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가 50조4000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또 통합재정수지에서 국민연금 등 4대 사회보장기금 흑자수지 33조9000억 원을 뺀 관리재정수지는 84조2000억 원 규모의 적자를 보였다. 관리재정수지가 바로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상태(나라살림)를 나타낸다. 관리재정수지 적자 규모가 매해 1~8월 기준 역대 3번째로 컸다.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2020년에 최대인 96조 원 적자, 2022년에 85조3000억 원의 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올해 8월 말 기준 중앙정부 채무는 전월대비 8조 원 증가한 1167조3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고 수준으로, 올해 본예산 내 중앙정부 채무 예측치 1163조 원을 초과했다. 이에 대해 기재부 관계자는 "국채 상환 스케줄이 있는데 만기상환이 12월 도래하는 규모가 17조~18조 원 정도"라며 "연말까지 가면 당초 계획한 (중앙정부 채무) 범위 내에서 관리될 것으로 본다"라고 밝혔다. 또 "중앙정부 채무는 지난해 8월에도 본예산 규모를 초과했었다"며 "통상적으로 초기에는 지출을 위해 국채 발행을 많이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연도말 결산 기준을 봐야 정확한 흐름이 보여질 것"이라고 말했다. 9월 국고채 발행 규모는 10조8000억 원이다. 9월 국고채 금리의 경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빅컷(-50bp)과 미 경기침체 우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10월11일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등의 영향으로 전월괴 비교해 하락했다. 1~9월 국고채 발행량은 138조5000억 원으로 연간 총 발행한도의 87.4%다. 9월 외국인 국고채 순투자는 2조5000억 원으로 6개월째 순유입을 나타냈다. /세종=김연세기자 kys@metroseoul.co.kr

2024-10-10 14:58:09 김연세 기자
기사사진
우리은행, 오프라인 간편이체 서비스 ‘TAP(탭) 이체’

우리은행은 10일 삼성전자와 함께 국내 최초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근거리무선통신)를 활용한 오프라인 간편이체 서비스 'TAP(탭) 이체'를 출시했다. 'TAP 이체'는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의 NFC 기능을 활용한 새로운 방식의 간편 이체서비스다. 사용자간 스마트폰 뒷면을 서로 맞대면 별도의 계좌를 입력할 필요 없이 사전에 등록한 우리은행 계좌로 금액을 송금할 수 있다. 우리은행 계좌 보유 고객은 삼성전자 모바일 결제서비스인 삼성월렛 앱 안에서 사용 가능하다. 이 서비스는 계좌번호를 일일이 상대방에게 전달할 필요가 없어 계좌번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착오송금의 위험이 없다. 개인 간 이체 거래를 더욱 안전하고 신속·정확하게 할 수 있어 고객에게 새로운 이체 경험을 제공함은 물론 중고물건 거래, 더치페이, 용돈 지급 등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국내 최초로 삼성전자와 함께 출시한 'TAP 이체' 서비스는 고객들에게 더 편리하고 더 쉽고 더 빠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며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앞으로도 삼성전자와의 긴밀한 제휴를 통해 더욱 다양한 생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이승용기자 lsy2665@metroseoul.co.kr

2024-10-10 14:21:06 이승용 기자
기사사진
현대건설, 싱가포르 국책사업 진출 기반 마련

현대건설이 싱가포르 현지 최대 공공사업 기술자문기업과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에너지 신사업 진출 기반 확대에 나섰다고 10일 밝혔다. 현대건설은 지난 8일(현지시간) 싱가포르 리츠칼튼 밀레니아 호텔에서 열린 '한-싱가포르 업무협약(MOU) 체결식'에서 서바나 주롱(Surbana Jurong)과 '차세대 발전사업, 신재생에너지, 탄소저감 분야에 대한 공동연구 및 기술교류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서바나 주롱은 글로벌 도시, 인프라, 관리 서비스 컨설팅을 포함해 싱가포르 국책사업의 기술자문을 수행하는 최대 공공사업 기술자문기업이다. 이날 업무협약식은 윤영준 현대건설 사장과 션 치아오(Sean CHIAO) 서바나 주롱 사장을 비롯한 양사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탄시렝 싱가포르 통상산업부 제2장관 등이 참석해 싱가포르의 에너지 전환을 위한 양국 정부 차원의 상호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차세대 발전사업 ▲수소·태양광·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 등의 기술교류 및 인프라 구축에 협력할 계획이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이번 비즈니스 파트너십 체결을 통해 한층 강화된 정부 및 그룹 차원의 협력 네트워크와 싱가포르 정부 및 발주처의 신뢰를 바탕으로 싱가포르 에너지 전환 가속화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전지원기자 jjw13@metroseoul.co.kr

2024-10-10 14:14:59 전지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