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K-방산株, 상승 여력 남았다...'슈퍼사이클' 기대감↑

호실적에도 주가 조정을 겪고 있는 방산주가 실적과 펀더멘탈(기초체력)을 중심으로 투심을 회복하고 있다. 단기 피로감에 출렁였지만 '슈퍼 사이클'을 맞이할 거란 예상도 나온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현대로템은 2분기 실적 발표 이후 상승세가 주춤하고 있다. 두 기업 모두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지만, 단기 상승으로 인한 피로감에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된 것으로 분석된다. 더불어 LIG넥스원이 시장예상치를 하회하는 부진한 실적을 발표한 직후였던 지난 8일 당일에만 14.93% 급락하면서 방산주에 대한 투자 매력이 더욱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최근 들어 방산주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기대감의 영향으로 하방 압력이 높아지고 있다. 지난 17일(현지시간)에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우크라이나의 젤렌스키 대통령은 원한다면 러시아와의 전쟁을 거의 즉시 끝낼 수 있다. 아니면 계속 싸울 수도 있다"며 "오바마 시절 빼앗긴 크림반도는 돌려받을 수 없고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은 불가하다. 어떤 것들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따라 18일 예정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비롯한 유럽 주요국 정상과의 만남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러-우 전쟁 종전 압박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방산주에 대한 투심이 약화된 것이다. 다만 지난주에는 기관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628억원) 가장 많이 사들였으며, 외국인은 LIG넥스원(79억원)을 세 번째로 많이 담으면서 투심 회복 기미를 보였다. 방산주의 약세 흐름과는 반대로 시장의 눈높이가 올라간 영향으로 풀이된다. 대표적으로 이달 들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대한 보고서를 낸 증권사 14곳 모두 목표주가를 상향했으며, 현대로템의 경우에도 14곳 중 8곳이 목표가를 올려잡았다. LIG넥스원, 한화시스템 등 일부 기업에 대한 투자의견은 하향 조정되면서 희비가 갈리고 있지만 방산 업종 전반적으로는 긍정적인 전망이 우세하다. 장남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무기체계 시장 환경을 고려했을 때, 기대치를 상회하는 수출 이익률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한다"며 "2022년과 비교했을 때, 한국 업체들의 협상력은 오히려 더 커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 업체들의 시장 점유율이 증가한 상황에서 무기체계 초과 수요 환경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2000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 방산 업체 수출 합산 규모가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이였으나, 2022년부터 2024년에는 20.2%로 늘어났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올해 국내 상위 5개 방산기업(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한국항공우주, 현대로템, 한화시스템 등)의 상반기 연결 기준 총 영업이익은 2조3004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8807억원 대비 161.2% 급증했으며, 이는 지난해 영업이익 2조8783억원의 79.9%를 이미 달성한 셈이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상반기만에 1조425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면서 지난해 실적을 넘겼다.. 더불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들은 2035년까지 국방비 지출을 국내총생산(GDP) 대비 5%로 늘리는 것에 합의했다. 유럽 각국은 합의를 이 행하기 위해 목표 설정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지만,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장 연구원은 "현재 한국 업체들은 유럽과 중동을 중심으로 다수의 수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고, 해당 파이프라인이 실제 계약으로 이어지면서 해외 방산 매출 비중이 증가할 것"이라며 "향후 수출 파이프라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중동 국가들인데, 이 역시 폴란드 대비 국방비 지출 여력이 크다"고 분석했다. 외국계 투자은행(IB)인 모건스탠리 역시 "한국 방산의 슈퍼사이클이 올 것"이라며 "고평가 우려가 존재하지만 향후 수출 점유율이 높아질 것을 감안하면 부담스럽지 않다"고 평가한 바 있다.

2025-08-21 08:55:24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롯데손보, 2분기 '반등'…하반기 기대감?

롯데손해보험이 2분기(4~6월)에 실적반등에 성공했다.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5% 늘며 보험영업이 흑자전환했고, 투자이익과 장기 보험의 '손실부담계약 비용' 축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2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롯데손보의 2분기 당기순이익은 362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55.2% 증가한 수치다. 보험영업이 흑자 전환했고, 1분기 제도 변화에 따른 비용 부담이 완화되면서 장기 부문 손익이 빠르게 정상화한 영향이 컸다. 투자 측면에서도 포트폴리오 리밸런싱과 시장 회복이 맞물리며 손익에 우호적으로 작용했다. 그럼에도 상반기(1~6월) 누계로 시야를 넓히면 결은 달라진다. 당기순이익은 475억원으로 전년 동기(573억원) 대비 17.2% 감소했다. 본업 체력을 가늠하는 보험손익이 216억원으로 전년 동기(750억원) 대비 71.2% 급감했다. 2분기 '반등'은 맞지만 상반기 전체로는 '방어'에 가까운 결과다. 보종별 지표도 이를 뒷받침한다. 일반보험의 상반기 수익·발생손해·사업비를 구성 요소로 환산한 간이 합산비율은 106.6%로 전년 동기 96.5%에서 열악해졌다. 자동차보험 역시 103.1%로 전년 102.6% 대비 소폭 악화됐다. 두 부문 모두 100%를 웃돌며 언더라이팅 적자가 이어졌다는 의미다. 상반기 동안 기초 체력은 부족했고 2분기 실적은 이를 부분적으로 메운 셈이다. 수익 구조의 '질' 면에서도 경계할 대목이 있다. 총 원수보험료는 1조421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 늘었지만, 월납환산 기준 신계약은 1643억원으로 19.1% 줄었다. 반면 장기 부문의 급반전은 긍정적이다. 1분기에 비용으로 반영됐던 손실부담계약 관련 비용이 577억원에서 59억원으로 500억원 가까이 줄면서 손익이 크게 개선됐다. 투자이익은 상반기 전체 실적 방어의 버팀목이었다. 상반기 투자손익은 396억원으로 전년 -81억원 적자에서 흑자 전환했다. 분기 기준으로는 1분기 242억원에서 2분기 154억원로 감소했다. 상반기 개선에는 유가증권 평가·처분, 파생·외환 성과가 복합적으로 기여했다는 평가다. 롯데손보의 이번 2분기 실적은 '분기 반등'의 의미가 분명하다. 상반기 누계에서 언더라이팅 부담과 신계약 둔화라는 구조개선 과제가 드러났지만, ▲일반·자동차 손해율의 실질 개선 ▲가격·인수·비용의 정렬 ▲신계약 유입의 회복 여부 ▲장기 부문 정상화 효과의 지속성 등이 갖춰진다면 하반기에도 지금과 같은 긍정적인 흐름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롯데손보 관계자는 "보험영업이익의 지속적인 성장과 이차 역마진 해소를 통해 2분기 중 준수한 경영실적을 기록했다"며 "향후 신계약 CSM을 통한 안정적 보험영업이익 성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반기에도 투자자산 리밸런싱을 통한 투자영업이익 안정화 흐름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2025-08-21 07:37:09 김주형 기자
기사사진
7월 생산자물가 0.4%↑…농산물 급등·서비스 강세

올해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2개월 연속 오름세다. 농산물과 서비스가 오름세를 이끌었고, 석탄·석유제품과 IT 관련 공산품도 반등세를 보였다. 다만 주택용 전력요금 하락으로 전력·가스·수도 부문은 내렸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 PPI는 전월 대비 0.4%, 전년 동월 대비 0.5% 상승했다. 월별 흐름으로 보면 2~5월 보합·하락 흐름 이후 6월(+0.1%)에 이어 7월 상승 폭이 확대됐다. 항목별로는 농림수산품과 서비스가 상승을 주도하고 공산품이 소폭 상승으로 전환했다.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은 하락했다. 농림수산품은 전월 대비 5.6% 뛰었다. 세부적으로 농산물이 8.9%, 축산물이 3.8% 올랐다. 주요 품목 중 시금치와 배추가 각각 171.6%, 51.7% 큰 폭으로 상승했다. 축산물에서는 쇠고기·돼지고기가 동반 상승했다. 수산물은 0.5% 상승에 그쳤다. 농산물 가격 급등이 전체 지수 상승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공산품은 전월 대비 0.2% 올랐다. 석탄및석유제품이 2.2% 상승해 저점 대비 반등했다.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는 0.6% 상승했다. 세부 품목에서는 DRAM과 플래시메모리가 각각 8.6%, 4.9% 상승해 IT 재화 가격을 견인했다. 반면 1차 금속제품(-0.3%) 등 일부 품목은 약세가 이어졌다. 전력·가스·수도및폐기물은 전월 대비 1.1% 하락했다. 주택용전력이 12.6% 빠져 하락을 주도했고 산업용 도시가스 등도 약세를 보였다. 에너지 특수분류 지수는 전월 대비 0.4% 하락했다. 전력요금 조정의 영향이 지수에 반영되면서 다른 부문의 상승 압력을 일부 상쇄했다. 서비스는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음식점및숙박서비스가 1.1% 오르며 여름 성수기 수요를 반영했다. 금융및보험서비스는 1.4% 상승으로 지수 상승에 기여했다. 운송은 0.5% 올라 보합권을 벗어났다. 세부 품목에서는 관광숙박시설과 휴양콘도가 각각 49.0%, 24.1% 상승해 계절 요인을 드러냈다. 물가의 기조를 살피는 특수분류 지표도 개선됐다. 식료품및에너지이외(근원) 지수는 전월 대비 0.2%, 전년 동월 대비 0.3% 상승했다. 수입·내수 모두를 반영하는 국내공급물가는 전월 대비 0.8% 올랐고, 수출을 포함한 총산출물가도 0.6% 상승했다. 원재료(+4.6%)와 중간재(+0.4%), 최종재(+0.5%)도 모두 올랐다. /김주형기자 gh471@metroseoul.co.kr

2025-08-21 07:31:06 김주형 기자
기사사진
[포토]2025년 금융권 공동채용박람회

2025-08-20 17:19:12 안승진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3100선 겨우 지켰다...3거래일 연속 하락세 지속

코스피가 사흘 연속 하락하며 이날 등락을 반복한 끝에 3100선을 겨우 지켜냈다. 미 증시에서 엔비디아, 브로드컴 등 대형 기술주들이 약세를 보인 영향에 SK하이닉스가 3% 가까이 급락하는 등 반도체주 부진이 두드러졌다. 코스닥 역시 낙폭을 키우며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20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21.47포인트(0.68%) 내린 3130.09에 장을 마쳤다. 장 초반인 오전 9시 15분에 3100선이 무너진 뒤, 회복과 하락을 반복하다가 오후 1시 이후에는 3100선을 지키내며 소폭 회복했다. 이번주 들어 3거래일 연속 하락세다. 기관은 5164억원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2323억원 3930억원 순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 삼성전자(0.71%), 삼성전자우(0.52%), KB금융(0.09%), 현대중공업(0.67%)이 1% 이내에서 소폭 상승했고, 자동차주인 현대차(0.68%)와 기아(1.06%)도 조금 올랐다. LG에너지솔루션(-1.69%), 삼성바이오로직스(0.49%), 한화에어로스페이스(-1.33%)는 하락세를 보였고, SK하이닉스(-2.85%)는 가장 큰 폭으로 떨어졌다. 상승종목은 243개, 하락종목은 645개, 보합종목은 47개로 집계됐다. 코스닥은 전 거래일보다 10.35포인트(1.31%) 하락한 777.61에 장을 마감했다.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855억원, 426억원을 팔아치웠다. 개인은 홀로 1572억원을 사들였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 펩트론(3.32%)과 삼천당제약(0.90%)를 제외한 나머지 종목은 일제히 하락했다. 특히 리가켐바이오(-3.88%)가 크게 떨어졌다. 상승종목은 370개, 하락종목은 1263개, 보합종목은 94개로 집계됐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한국수력원자원의 불공정계약 논란 여파로 원전 및 방산, 건설, 증권 등 주도주가 하락"했으며 "엔비디아, 브로드컴, AMD, 팔란티어 등 미국 대형 기술주 큰 폭 하락한 영향에 SK하이닉스가 크게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이 정부가 반도체 등 특정 기업에 보조금을 지원할 경우 지분을 받아야 한다고 언급한 점도 투자심리에 부정적"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7.5원 오른 1398.4원에 마무리했다. /최건우기자 geon@metroseoul.co.kr

2025-08-20 17:13:38 최건우 기자
기사사진
잘나가던 코스피 왜 흔들리나...3100선도 '위태'

코스피가 장중 3100선을 내주며 급락세를 보였다. 인공지능(AI) 거품 논란과 금리 인하 기대 후퇴, 세제개편안 실망감 지속 등 대내외 우려가 지속되면서 투자심리가 급격하게 얼어붙은 탓이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상승 랠리를 이어오던 국내 증시는 8월 들어 조정 국면에 접어드는 분위기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0.68% 하락한 3130.09에 마감했다. 장중에는 2.29% 급락하면서 3079.27까지 밀려났다. 지난달 29일 3230.57에 거래를 마치면서 약 4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지만, 이후 3.11% 떨어진 모습이다. 19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AI 의구심과 금리 경계 등으로 빅테크 낙폭이 확대됐다. 이날 나스닥종합지수는 1.46% 내린 2만1314.95에 종료했으며,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도 1.8% 하락했다. 개별 종목으로는 엔비디아가 전 거래일 대비 3.5%, AMD와 브로드컴은 각각 5.44%, 3.55% 하락하면서 국내 증시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재원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금리 인하 기대감 약화와 정책 우려, 게다가 미국에서 제기된 AI 버블론까지 더해지면서 지수 하방 압력으로 작용했다"며 "정부와 국회 간 양도세 부과 대주주 기준 강화 여부를 두고 의견 줄다리기도 지속되면서 투자자 피로감을 유발하고 있다"고 짚었다. 새 정부의 정책 기대감과 미국과의 관세협상 우려 완화로 인해 상승세를 보이던 국내 증시는 8월 들어서부터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전체적인 펀더멘털(기초체력)이 떨어지면서 장기적인 조정에 들어갈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온다. 특히 지난달 31일 공개된 정부의 세제개편안이 시장의 기대에 못 미치면서 내부적인 하방 압력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는 의견에 무게가 실린다. 정용택 IBK투자증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기본적으로 펀더멘탈에 대한 우려가 동반되고 있기 때문에 단기로만 보기 어렵고, 이달 내에 중요한 이벤트들을 앞두고 있는 만큼 시장이 그 추이를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라며 "잭슨 홀에서 미국 통화 정책 방향성이 어떻게 진행될지, 더불어 우리나라의 상법개정안 흐름에 따라 시장이 요동칠 수 있기 때문에 조심스럽게 내려가는 단계에 있다"고 설명했다. 오는 21일 밤 잭슨 홀 미팅이 예정돼 있으며, 25일 본회의에서는 2차 상법개정안 등 주요 법안이 논의될 수 있는 상황이다. 더불어 대주주 양도세 관련 발표도 8월 내로 예상되고 있다. 이어 그는 "정부의 정책 방향성이 시장 기대치에 충족하는 형태가 나온다면 반등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추세적으로 이전 고점을 넘길 수 있는 펀더멘탈의 흐름은 아니다"라고 짚었다. 올해 2분기 국내 기업들의 실적이 기대만큼 좋지 않았던 부분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다만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6월 이후 코스피 리레이팅을 만들어 낸 것은 상법 개정안, 세제개편안 등 관련 기대감"이라면서 "이 중 세제 측면에서 흠집이 났으나, 상법개정안 등 거버넌스 개선의 변화가 실제로 일어나고 있다는 점이 큰 수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한 연구원은 "지수 하단의 리레이팅은 정책이, 지수 상단은 펀더멘털과 매크로 환경 변화에 달려 있을 전망"이라며 "4분기 중 시작되는 3분기 실적시즌이 펀더멘털 상으로 레벨업을 할 수 있는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금리 불확실성'도 변수 잭슨홀 미팅을 앞두고 경계심이 높아지는 지는 이유는 금리정책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시장의 기대보다 매파적(통화 긴축)일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후퇴하면서 투자심리도 더욱 위축되는 모습이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미국 7월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매판매 등 매크로 지표 확인 후 9월 금리인하 전망이 후퇴했다"며 "코스피 지수 확장에 기여했던 주가수익비율(PER) 배수 확장은 당분간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는데, 해당 수치에 불리한 영향을 줄 수 있는 금리 불확실성 등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결국 이번 주 증시도 전주처럼 매크로 불안에 영향을 받아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매크로가 불안할 때 주목할 대상은 결국 실적이고, 앞으로 주목할 건 3분기 실적인 만큼 영업이익 전망치가 상향 조정되고 있는 업종을 골라야 한다"고 판단했다. 관세 불확실성이 약해진 반도체를 비롯해 기존 주도주인 조선, 방산, 원전을 포함한 금융주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2025-08-20 16:50:21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KB국민은행, 신용보증기금과 스타트업 지원 업무협약

KB국민은행은 신용보증기금과 '혁신 스타트업 금융지원 업무협약'을 맺고 성장 잠재력은 크지만 신용도와 담보력이 부족한 스타트업 지원에 나선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KB국민은행은 10억원을 보증료 지원금으로 출연하며, 이를 통해 약 710억원 규모의 보증서 대출을 공급한다. 지원 대상 기업은 2년간 매년 0.7%포인트(p)의 보증료를 지원받게 된다. 신용보증기금의 스타트업 대상 보증상품 보증료율이 통상 0.7% 수준임을 감안하면 수혜 기업은 최초 2년간 보증료를 전액 면제받는 효과를 얻게 된다. 이로써 초기 비용 부담이 큰 스타트업의 금융비용 경감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지원 대상은 신용보증기금의 '혁신스타트업 성장지원 프로그램' 대상 기업 등으로 ▲A(Ai/인공지능) ▲B(Bio/바이오헬스) ▲C(Contents/디지털콘텐츠) ▲D(Defence/국방기술) ▲E(Energy/신재생에너지) ▲F(Factory/스마트제조) 등 정부가 중점적으로 육성하는 국가전략산업군 전반을 포괄한다. 이번 지원은 혁신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의 시장 진출과 연구 개발을 촉진해 국가 차원의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이번 지원이 스타트업 성장 기반 마련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우리나라의 미래 성장을 이끌어갈 중소기업들이 기술 주도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전했다. /안상미기자 smahn1@metroseoul.co.kr

2025-08-20 16:28:13 안상미 기자
기사사진
탄소 감축 투자 기업에 1000억원 추가 융자 지원

최대 500억·금리 1.3%…내달 19일까지 신청 접수 정부가 탄소감축 시설과 연구개발(R&D)에 투자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1000억 원 규모의 저리 융자를 추가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산업계의 탄소중립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2025년도 탄소중립 전환 선도프로젝트 융자지원사업' 대상 기업을 8월 21일 ~ 9월 19일까지 추가 모집한다"고 밝혔다. 선정된 기업은 최대 500억 원(시설자금), R&D 자금은 100억 원까지 융자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지원 조건은 최대 10년간(3년 거치·7년 상환), 연 1.3% 금리(8월 기준)다. 금리는 매년 기재부가 고시하는 공공자금관리기금 융자계정 대출금리에서 중소·중견기업은 2%p, 대기업은 1.5%p를 차감 적용한다. 현재는 금리 하한선(1.3%)이 적용된다. 특히 이번 공고에서는 기존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대상 업종, △사업재편계획 승인 기업 외에 △'넷제로 챌린지 X' 선정 기업에도 평가 시 가점(2점)을 부여해 지원 폭을 넓혔다. 지원 신청은 한국산업단지공단 융자지원시스템(www.kicox.or.kr/netzerofin)을 통해 접수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산업부 및 산단공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산업부는 2022년 사업 개시 이후 지금까지 총 83건의 프로젝트에 6480억 원을 지원해 2조6000억 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대표적인 선도 프로젝트는 오는 27~29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5 기후산업국제박람회' 홍보부스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탄소중립 실현에 선제적으로 투자하는 기업을 장기·저리 융자로 뒷받침해 산업계 전반의 전환과 관련 생태계 조성을 가속화하겠다"고 말했다. /한용수기자 hys@metroseoul.co.kr

2025-08-20 16:23:38 한용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