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기사사진
OCI, 반도체 인산 수주 증가 기대…생산량 20% 증대 계획

OCI가 반도체 인산 수주 물량 확대에 따라 하반기 생산량을 20% 증대할 계획이다. OCI는 올해 하반기 디보틀넥킹(생산 공정 효율화를 통한 생산량 증대) 방식으로 반도체 인산 생산능력을 기존 연산 2만5000MT에서 3만MT 수준으로 늘릴 방침이라고 5일 밝혔다. OCI는 반도체 인산 국내 시장점유율(M/S) 1위 기업으로 18년 이상의 업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삼성전자, SK키파운드리, DB하이텍 등 국내 모든 반도체 칩메이커에 인산을 공급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국내 인산 제조사 최초로 SK하이닉스의 반도체 인산 공급자로 선정됐다. 반도체 인산은 반도체 생산과정 중 웨이퍼의 식각 공정에 사용되는 핵심소재 중 하나다. OCI의 반도체 인산은 D램과 낸드플래시, 파운드리까지 모든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범용 소재로 반도체 시황 회복에 따라 그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OCI는 지난해에 SK하이닉스 공급사에 선정되는 등 지속적으로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고 삼성전자, DB하이텍 등 국내외 기존 고객사 공급 물량 또한 꾸준히 확대해 나가고 있다. 특히 지난 2023년에 반도체 인산 공급자로 지정된 삼성전자-테슬라 미국 테일러 공장의 파운드리 계약 규모는 23조원 수준으로, 공장이 본격 가동될 경우 수혜가 예상된다. 반도체 인산 생산량의 5000MT 증대는 오는 2026년 상반기에 완료될 예정으로, 중장기 신규 고객사 확보 및 기존 고객사 수요 증가에 따른 단계적인 추가 증설도 검토할 계획이다. 김유신 OCI 부회장은 "지속적으로 고객사를 추가 확보해 기존 반도체 소재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기존 사업과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신규 사업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중장기 성장을 이끌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2025-08-05 10:47:58 정희준 기자
기사사진
ACE 美빅테크 TOP7 ETF, 1년 새 1500억 몰렸다…국내 최다 자금유입

한국투자신탁운용은 ACE 미국빅테크TOP7 Plus 상장지수펀드(ETF)가 국내 상장 빅테크 ETF 가운데 1년 자금유입액 1위를 차지했다. 5일 코스콤 ETF Check(체크)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최근 1년간 ACE 미국빅테크TOP7 Plus ETF에는 총 1547억원의 자금이 순유입됐다. 이는 ETF 체크에서 '빅테크 ETF'로 분류된 22개 중 가장 큰 규모며 동일 유형 평균 자금유입액(241억원)의 약 6배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빠른 속도로 자금이 유입된 요인으로는 우수한 수익률로 인한 관심 증가와 더불어 개인투자자들의 순매수 덕으로 풀이된다. 한국거래소는 ACE 미국빅테크TOP7 Plus ETF의 최근 1년 수익률은 32.80%로 동일 유형 ETF 평균 수익률(20.45%)을 크게 상회했다고 집계했다. 지난 6개월 수익률은 트럼프 발(發) 무역 갈등이 거셌던 4월을 보내며 1.51%로 조정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지난주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등 빅테크 기업들이 2분기 실적발표에서 어닝 서프라이즈를 내는 등 성과가 주가에 반영되며 최근 1개월 및 3개월 수익률은 각각 4.56%, 18.70%로 반등했다. 우수한 성과를 기반으로 해당 ETF에 대한 개인투자자들의 관심도 컸다. 개인투자자들은 지난 1년간 ACE 미국빅테크TOP7 Plus ETF를 875억원 규모로 순매수했다. 같은 기간 개인투자자들이 국내 상장 빅테크 ETF를 순매수한 평균 금액은 239억원에 그쳤다. 해당 ETF는 오는 7일 포트폴리오 재조정(리밸런싱)도 앞두고 있다. 이번 조정은 기초지수인 'Solactive US Big Tech Top 7 Plus Index'의 자산 재배분에 따른 것이다. 리밸런싱을 통해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플랫폼 기업인 팔란티어가 신규 편입된다. 팔란티어는 미국 정부 및 글로벌 기업들을 대상으로 데이터 분석 기반의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최근 AI 기반 국방·정보·의료 분석 수요 증가에 따라 실적이 빠르게 개선되고 있다. 동시에 반도체와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모두 아우르는 글로벌 인프라 기업 브로드컴의 비중이 대폭 확대된다. 브로드컴은 올해 2분기 기준 반도체 매출과 소프트웨어 매출 모두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최근 VM웨어(VMware) 인수 효과로 기업 고객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리밸런싱 이후 브로드컴의 ETF 내 비중은 기존 2%대에서 약 10%로 확대될 예정이다. 반면 기존 구성 종목이었던 T모바일은 제외되며 테슬라 비중은 감소한다. 남용수 한국투자신탁운용 ETF운용본부장은 "ACE 미국빅테크TOP7 Plus ETF는 시가총액 상위 7개 종목에 집중투자하는 상품으로 상장 이후 우수한 성과를 보여 빠르게 자금이 유입됐다"며 "장기적으로 볼 때 빅테크 기업들이 미국 증시를 이끌어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어 "빅테크 기업들이 AI 혁신을 중심으로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연구개발 투자 확대를 지속하는 가운데 이러한 기업들에 선별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중장기적인 수익 확보에 적합한 전략이 될 수 있다"며 "앞으로도 ACE 미국빅테크TOP7 Plus ETF는 시장 흐름을 반영한 리밸런싱을 통해 경쟁력을 높여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08-05 10:38:15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한인 CEO' 美우주기업 파이어플라이, 8조대 IPO...7일 나스닥 거래

한국계 미국인 제이슨 김 최고경영자(CEO)가 수장으로 있는 미국 우주기업 파이어플라이 에어로스페이스(Firefly Aerospace)가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기업 가치를 60억달러(약 8조4000억원) 이상으로 평가받고 있다. 4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파이어플라이는 이날 미국 증권 규제 당국에 제출한 서류를 통해 곧 추진되는 IPO의 주당 가격을 41∼43달러로 예상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주 공개했던 예상 범위 35∼39달러보다 상향 조정된 수치로, 상장 후 회사의 목표 기업 가치도 55억달러에서 60억달러 이상으로 올라갔다. 이에 따르면 파이어플라이는 1620만주를 시장에 유통해 최대 6억9660만달러(주당 43달러 기준)의 자금을 조달하게 된다. 파이어플라이는 오는 6일 공모가를 확정하고, 규제 당국의 승인이 완료되면 7일부터 나스닥 시장에서 'FLY'라는 티커명으로 거래를 시작할 예정이다. IPO 시장조사업체 IPOX의 분석가 루카스 무엘바우어는 "회사 측이 제시한 좁은 가격 범위는 높은 수요와 가격에 대한 확신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파이어플라이는 로켓과 달 착륙선을 개발하는 민간 우주기업으로, 지난달 공식적인 상장 계획을 발표했다. 특히 지난 3월에는 무인 탐사선으로 달에 성공적으로 착륙한 첫 민간 기업이라는 타이틀을 얻으며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현재 미국의 방산 대기업 노스럽 그러먼으로부터 5000만달러(약 693억원)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록히드마틴, L3해리스, 미 항공우주국(NASA) 등과도 전략적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회사 매출은 올해 3월 말 기준 5590만달러로, 전년 동기(830만달러) 대비 6배 이상 성장했다. 그러나 같은 기간 순손실도 5280만달러에서 6010만달러로 확대됐다. /신하은기자 godhe@metroseoul.co.kr

2025-08-05 10:33:42 신하은 기자
기사사진
"콜라 사면 코카콜라 주식이?"…CU×카카오페이증권 '일상 속 투자'로 혜택↑

카오페이증권이 CU 편의점 운영사 BGF리테일과 함께 8월 한 달간 특별 이벤트를 진행한다. 5일 카카오페이증권에 따르면 이번 협업은 투자 문턱을 낮추고 일상에서 쉽고 재미있게 주식을 접할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카카오페이증권은 CU 이용 고객에게 주식 선물을 제공하는 한편, 첫 주식 거래 사용자에게는 CU 멤버십 VIP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달 1일부터 31일까지 진행되는 '주식 선물' 이벤트는 전국 약 1만8600개 CU 편의점에서 행사 대상 상품을 구매하고 CU포인트를 적립한 고객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CU에서 구매·적립 후 포켓CU 앱 이벤트 페이지에서 '주식받기'를 클릭해 쿠폰 번호를 발급받고, 이를 카카오페이앱 증권탭 이벤트 페이지에 등록하면 된다. 주식 선물은 구매 상품과 연계해 재미를 더했다. 예를 들어, ▲코카콜라 음료 구매 시 '코카콜라 주식' ▲'애플맛' 음료 구매 시 '애플 주식' ▲스타벅스 냉장음료 구매 시 '스타벅스 주식' ▲'소프트' 키워드 관련 상품 구매 시 '마이크로소프트 주식' ▲알파벳 ABC 관련 상품 구매 시 '알파벳 Class A 주식'이 랜덤 금액으로 지급된다. 금액은 최소 1000원에서 최대 100만원까지며, 1인당 최대 2회 참여할 수 있다. 같은 기간 진행되는 '주식 거래' 이벤트는 올해 1월 1일부터 7월 29일까지 카카오페이증권에서 주식 거래 이력이 없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다. 8월 이벤트 기간 동안 카카오페이앱 증권탭 이벤트 페이지에서 '참여하기' 완료 후 국내주식 또는 해외주식을 8만원 이상 거래하면, 포켓CU 멤버십 VIP 등급으로 승급할 수 있는 쿠폰이 제공된다. VIP 등급은 일반(0.5%)보다 높은 2% 적립과 다양한 할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카카오페이증권은 "일상 속 소비를 통해 해외주식 투자 경험을 제공하고, 주식 거래로 생활 혜택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기획했다"며 "앞으로도 누구나 쉽고 즐겁게 투자할 수 있는 이벤트를 지속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08-05 10:32:40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미래에셋자산운용 TIGER 월배당 ETF, 순자산 10조 시대 열어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월배당 ETF'의 순자산이 10조원을 넘어섰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4일 종가 기준 TIGER 월배당 ETF 31종의 총 순자산 규모는 총 10조 5778억원이다. 현재 국내 상장된 월배당 ETF의 전체 순자산은 30조 5362억원으로, 이 중 TIGER ETF가 약 34.6%를 차지한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측은 "이는 국내 자산운용사 중 가장 큰 점유율을 확보한 것"이라고 밝혔다. 월배당 ETF는 일반적으로 ETF에서 보유한 주식이나 채권, 부동산 등에서 발생한 배당금이나 이자 수익 등을 모아 투자자에게 매월 분배한다. 회사 측은 "꾸준한 분배금을 재투자·생활비·연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해 매월 일정한 현금흐름을 기대하는 투자자들에게 갈수록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개인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TIGER 월배당 ETF는 'TIGER 코리아배당다우존스 ETF'다. 국내 증시 상승세 속에 지난 5월 상장 직후부터 관심이 집중된 해당 ETF에는 7월 한달간 740억원이 몰렸다. 7월 TIGER 월배당 ETF 개인 순매수 1위다. 그 뒤로는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ETF(466940)'에 해당 기간 417억원이 유입됐다. 'TIGER 코리아배당다우존스 ETF'와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ETF' 2종은 월배당 ETF 투자자라면 주목해야 할 '성장형 월배당 ETF다. 성장형 월배당 ETF란 투자자들이 받을 수 있는 현금흐름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증가하는 구조로, 배당이 성장하지 않는다면 물가상승률에 의해 배당 가치가 훼손될 수밖에 없다. 특히 장기 투자에서는 당장의 분배율보다 성장하는 분배금을 앞으로 얼마나 꾸준하게 받을 수 있는지 배당의 '성장 가능성'과 '지속 가능성'을 모두 고려해야 한다는 게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설명이다. 아울러 투자자들은 TIGER ETF 공식 홈페이지에 업로드 된 'TIGER 시그니처 월배당 ETF' 가이드북을 통해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달부터는 월배당 ETF 투자자를 위한 '월배당 라이브'도 새롭게 진행된다. 순매수, 수익률, 배당수익률 상위 TOP5 등 매월 주목할만한 TIGER 월배당 ETF를 소개하고, Q&A 코너를 통해 투자자들과 실시간으로 소통할 예정이다. 이달 '월배당 라이브'는 5일 오후 6시 TIGER ETF 공식 유튜브채널 스마트타이거에서 진행된다. 윤병호 미래에셋자산운용 전략ETF운용본부장은 "TIGER 월배당 ETF는 다양한 자산군과 전략을 바탕으로 투자자에게 지속가능한 월배당 수익을 제공하고자 한다"며 "앞으로도 시장 변화에 맞춘 상품 라인업 강화와 투자자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월배당 ETF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

2025-08-05 10:28:38 허정윤 기자
기사사진
7월 말 외환보유액 4113억원 …외평채 신규발행·운용수익 증가

우리나라 외화보유액이 두 달 연속 증가했다. 미국 달러화 강세에 기타통화 외화자산의 달러 환산액이 줄었지만, 외국환평형기금채권(외평채)을 신규 발행하고, 운용 수익이 늘어난 영향이다. 한국은행이 5일 발표한 '외환보유액'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우리나라 외환보유액은 4113억 3000만 달러로 전월 말 4102억 달러 대비 11억 3000만 달러 증가했다.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면서 달러로 환산해 계산한 기타통화 외화 자산액은 상대적으로 줄었다. 다만 지난 6월26일 발행된 14억 유로 규모 외평채 발행 대금이 7월 중 납입된 데다 운용수익도 늘면서 증가세를 이어갔다. 7월 중 미 달러화지수(DXY)는 약 2.5% 상승했다. 우리나라 외화보유액은 2021년 하반기까지 꾸준히 증가했다. 2021년 10월 말 4692억달러를 기록, 4700억달러를 바라보던 외화보유액은 2022년부터 본격화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정책금리 인상 등에 영향을 받으며 규모가 줄었다. 또 지난해 10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을 전후로 통상정책 불확실성이 고조된 데다 연말 비상계엄 사태 등 국내 정치 리스크가 더해지며 강달러가 지속, 환율 방어를 위해 달러 매도가 이어지며 감소세를 보였다. 소폭의 등락은 있었으나 올해 들어 2~5월엔 4100억달러 선을 밑돌기도 했다. 7월 외환보유액 구성항목 중 국채와 회사채, 정부기관채 등이 포함된 유가증권은 전월 말 대비 65억 6000만 달러 늘어 3650억 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유가증권 비중은 전체 외화보유액의 88.8%다. 예치금은 212억 5000만 달러(5.2%)로 52억 9000만 달러 줄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대한 특별인출권(SDR)은 157억1000만달러(3.8%), 금은 47억9000만달러(1.2%), IMF 포지션은 45억2000만달러(1.1%)였다. 한편 지난 6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화보유액 규모는 세계 10위를 기록했다. 10위권 내에서 외화보유액이 감소한 국가는 7위 사우디아라비아, 8위 독일로, 각각 13억달러, 1억달러 줄었다. /나유리기자 yul115@metroseoul.co.kr

2025-08-05 10:28:36 나유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