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근당, '당뇨병' 복합제로 턴어라운드 시동
종근당이 국내 당뇨병 치료제 시장에서 연구개발 성과를 속속 내놓고 있다. 9일 국내 제약 업계에 따르면 종근당은 지난 7일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2형 당뇨병 복합제 '엠파맥스에스정(성분명: 엠파글리플로진, 시타글립틴)' 품목허가 승인을 받았다. 이번 품목허가는 '엠파맥스에스정' 25/100 mg, 10/100 mg 등 두 가지 용량에 대해 이뤄졌고, 해당 의약품은 파글리플로진과 시타글립틴의 병용투여가 적합한 제2형 당뇨병 성인 환자에게 쓰인다. 엠파맥스에스정은 나트륨-포도당 공동수송체 2(SGLT-2) 억제제 계열 약물인 '엠파글리플로진'과 DPP-4 억제제 '시타글립틴'을 조합한 의약품으로는 첫 번째 사례다. 현재 국내 의약품 시장에서 다양한 성분을 조합한 당뇨병 복합제가 잇따라 발매되고 있는 가운데, 종근당이 새로운 복합제를 선보여 시장 선점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종근당은 앞서 국산 신약 듀비에를 기반으로 한 2제, 3제 복합제 연구개발을 활발히 하며 당뇨병 치료제 제품군을 확대했다. 종근당은 일찍이 2014년 자체 기술로 개발한 제20호 국산 신약 '듀비에정(성분명: 로베글리타존)'을 발매하고 듀비에 패밀리를 구축해 왔다. 2023년 9월과 10월 각각 듀비에에스정, 듀비메트에스서방정 등을 발매하기도 했다. 듀비에에스정은 기존 듀비에와 시타글립틴 성분을 조합한 2제 복합제고, 듀비메트에스서방정은 듀비에, 시타글립틴, 메트포르민 등을 더한 3제 복합제다. 이와 함께 종근당은 'CKD-383' 임상 1상도 진행하고 있다. 듀비에를 기반으로 엠파글리플로진, 메트포르민 등을 조합한 3제 복합제를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제2형 당뇨병을 적응증으로 하고 있어, 건강한 성인에서 음식물 섭취가 CKD-383의 약동학적 특성, 안전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연구개발 측면에서뿐 아니라 수익성 측면에서도 종근당은 당뇨병 치료제 시장에서 안정적인 매출 확보를 위한 성장동력을 마련해 왔다. 특히 종근당은 2023년 5월 스위스 제약사 MSD와 자누비아, 자누메트, 자누메트XR 등 3개 품목의 국내 판권 및 유통권 등을 인수하는 계약을 맺었다. 해당 계약기간은 오는 2038년 8월까지로 종근당은 허가, 상표, 제조 등 모든 권리를 확보했다. 실제로 2024년 기준 종근당은 자누비아 제품군으로 808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해당 매출은 전체 매출의 5.1%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듀비에정의 경우, 연간 158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아울러 2024년 연간 실적은 매출 1조5864억원, 영업이익 995억원이다. 각각 전년 대비 5%, 59.7% 줄었다. 당기순이익도 48.1% 감소한 1108억원이다. 국내 제약 업계 관계자는 "당뇨는 많은 현대인들이 겪고 있으면서 투약과 건강 관리가 요구되는 만성 질환"이라며 "약효에 근거를 둔 처방과 복용 편의성에 대한 수요는 꾸준한 데다 해당 성분들은 최근 비만, 고지혈증 등 다른 만성 질환 영역에서도 주목받는 등 연구개발 영역이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인 점을 반영하면 기업 입장에서는 연구개발 경쟁에 집중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청하기자 mlee236@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