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경제硏 "중소기업 37.9%, 금융기관 대출 안 써"
[메트로신문 김보배기자] 지난해 중소기업의 전반적인 차입여건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하락과 대출한도 확대, 만기연장 용이 등 기업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됐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IBK기업은행 산하 IBK경제연구소는 19일 올 상반기 중소기업 4500곳을 대상으로 '2015년 중소기업 금융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중소기업의 금융실태, 자금수요, 조달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정책당국의 중소기업 금융정책 수립과 학계, 유관기관의 중소기업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올해 처음 실시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한 해 동안 중소기업의 전반적인 차입여건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들은 지난 2013년에 비해 금리 하락, 대출한도 확대, 만기연장 용이, 상품가입 요구 감소 등 차입여건이 완화된 것으로 응답했다. 반면 은행권의 담보요구는 2013년에 비해 지난해 더 강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말 기준 외부차입금 잔액이 있느냐는 질문에 '있다'라고 응답한 비율은 62.1%,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37.9%로 집계됐다. 외부차입금이 없는 이유로는 '내부유보자금으로 충당이 가능해서'(83.8%)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고 '대표이사의 무차입 경영철학 실천'(10.4%), '담보부족 등으로 금융기관 대출이 어려워서'(3.2%) 등을 꼽았다. 지난해 중소기업의 6.9%는 금융기관에 신청한 신규대출을 거절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가 작은 소기업(7.0%)이 중기업(4.4%)보다 거절당한 비율이 더 높았다. 거절 사유로는 '담보부족'(63.0%)이 가장 많았고 '대출한도 초과'(30.6%), '신용등급 미달'(26.8%), '업력이 짧아서'(13.5%), '사업성 불투명'(11.2%), '업황악화'(9.4%) 순이었다. 같은 기간 정책자금 대출 수혜기업 비중은 5.1%로, 업종별로는 제조업(10.2%) 비중이 건설업(0.8%)과 서비스업(3.6%)보다 높게 나타났다. 매출액 규모별 비중은 '매출액 10억원 미만'(3.9%), '10억원 이상∼50억원 미만'(6.2%), '50억원 이상∼100억원 미만'(7.4%), '100억원 이상'(7.3%) 순으로 조사됐다. 대출받은 정책자금의 종류로는 '중소기업진흥공단 대출'이 61.0%로 가장 많았으며 '재정기금자금 대출'(21.5%),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대출'(15.2%), '온렌딩자금 대출'(3.1%), '금융중개지원 대출'(1.8%) 등이 뒤를 이었다. 정책자금을 알게 된 경로를 묻는 질문에는 '정책자금 지원기관 홈페이지'(40.4%), '은행직원의 추천'(35.1%), '정책자금 소개 홍보책자'(19.5%), '지인의 소개'(17.5%) 등을 꼽았다. 한편 이 기간 사채(私債)로 신규자금을 조달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중소기업 비중은 3.4%로, 중기업보다 소기업의 사채 조달 비중이 높았다. 사채 사용 이유로는 '은행 및 제2금융권 대출이 어려워서'가 63.4%로 가장 많았고 '친구, 지인, 친·인척 등으로부터 차입이 가능해서'(27.3%), '사채의 차입절차가 신속·간편해서'(8.8%) 등이 뒤를 이었다. 사채 조달 경로별 연평균 차입금리는 '대부업체'(25.9%), '사채업자'(20.1%), '거래업체'(12.2%), '친구, 지인, 친·인척'(6.7%)로 나타났다. IBK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실태에 대한 종합진단 통계조사"라며 "앞으로 효과적이고 과학적인 중소기업 금융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2015년 중소기업 금융실태조사'와 관련해 보다 자세한 내용은 IBK경제연구소 홈페이지(http://research.ibk.c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