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대, ‘대한민국 차세대 피지컬 AI 사업’ 주관 기관 선정
경남대학교가 320억원 규모의 'PINN 모델 제조 융합 데이터 수집·실증 사업' 주관 기관으로 선정되며 국내 제조 분야 인공지능 전환을 주도하게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지난 22일 발표한 '2025년 피지컬 AI 핵심 기술 실증' 사업 선정 결과에 따른 것이다. 피지컬 AI 기술 주권 확보를 위한 이번 사업은 산업 특화형 피지컬 AI 선도모델 수립 및 PoC, PINN 모델 기반 제조 융합 데이터 수집·실증 등으로 구성됐다. 이번 선정으로 초거대 제조 AI를 통한 지역 제조업 인공지능 전환을 이끌어온 경남대는 국내 제조 분야 피지컬 AI 개발까지 담당하며 글로벌 AI 시장을 선도하는 연구 개발 거점 혁신 대학으로 발돋움하게 됐다. 경남대는 UC버클리대학 주관 '글로벌 거대 언어 모델 에이전트 개발 경연대회'에서 우승한 경력을 보유하고 있어 이번 선정은 세계 수준의 연구 역량을 재입증한 결과로 평가된다. PINN 모델 제조 융합 데이터 수집·실증 사업은 피지컬 AI 특화 거대 행동 모델 개발에 필요한 물리 정보 신경망 'PINN 모델' 개발에 집중한다. 서울대학교 자동화시스템공동연구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전자기술연구원(KETI), 한국생산기술연구원(KITECH),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등 국내 대표 연구 기관과 구글 클라우드, 메가존소프트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이 참여해 산업적 실효성을 강화한다. 우리나라 최초로 초정밀 제어를 위한 PINN 모델의 개념 정립과 현장 융합 데이터 수집 체계 구축, 실증을 진행할 계획이다. 사전 실증을 통해 제조업 적용 가능한 대형 행동 모델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도 확보한다. CTR, GMB코리아, 화승R&A, KG모빌리티, 신성델타테크, 삼송, 코렌스, 삼현 등 지역 제조 기업과의 자유로운 제조 데이터 공유를 통한 GNAIX(Gyeongnam AI-X) 연구 개발 플랫폼도 본격 가동된다. 유남현 경남지능화혁신사업단장은 "경남대는 지역 제조업이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꾸준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조업의 디지털 대전환은 물론 시대에 맞춘 인공지능 전환도 필요하다고 판단해 2019년부터 꾸준히 기술 개발 및 실증에 대학의 모든 역량을 쏟아 왔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대학교, KAIST, 글로벌 빅테크 기업 구글 클라우드, 아마존 웹 서비스(AWS), 메가존클라우드 등이 경남대와 협업하고 있는 것은 제조 AI는 물론 제조 피지컬 AI분야에도 경남대가 충분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증거"라고 강조했다. 경남대는 지난해 5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지원 '지역지능화혁신인재 양성' 사업 주관대학으로 선정됐으며 경남 최초로 AI·SW융합전문대학원을 신설하고 초거대제조AI 글로벌공동 연구센터를 부설 기관으로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