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지놈, GC그룹 신성장동력 될까..."유전체 분석기술 고도화"
GC그룹의 유전체 분석 계열사인 GC지놈이 국내외 의료 현장에서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23일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GC지놈은 글로벌 다중암 조기 선별검사 시장을 공략한다. GC지놈은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다중암 조기 발견 및 선별이 가능한 '아이캔서치', 고형암 환자의 유전적 진단 및 치료 예측에 활용하는 '그린플랜 고형암 검사' 등을 개발했다. 특히 아이캔서치는 한 번의 채혈만으로 폐암, 간암, 대장암, 췌장담도암, 식도암, 난소암 등의 존재를 확인해 준다. GC지놈은 국내 대학병원과 협업해 아이캔서치의 성능과 정확도를 입증한 바 있다. 약 7000명 이상의 임상 검체 데이터를 확보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아이캔서치를 활용한 결과, 82.2% 민감도가 확인됐다. 민감도가 높을수록 해당 질환을 놓치지 않고 찾아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이캔서치는 현재 암 진단에 주로 사용되는 영상 검사인 CT, MRI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방사능 피폭이나 조영제 부작용 위험이 없고, 내시경 검사보다는 간편하다는 장점까지 갖췄다. 또 GC지놈은 독자적인 유전체 및 데이터 분석 기술로 고령화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노령 산모 증가에도 적극 대응한다. GC지놈의 '지니프트'는 비침습적 산전검사다. 지니프트는 산모 혈액 내 존재하는 태반 유래 태아 DNA에서 염색체 수적 이상, 성염색체 이수성, 다양한 염색체 결실 및 중복 등을 검출한다. 기존 산전 선별검사인 1·2차 생화학적 혈액검사보다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아 정확한 결과를 제공한다. 이처럼 유전체 분석 기술을 각종 질환에서 고도화하고 있는 GC지놈은 코스닥 상장도 추진하고 있다. GC지놈은 올해 상반기까지 기업공개를 완료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해 12월 기술성장기업 상장특례 제도를 통한 기업공개(IPO)의 첫 관문인 기술성 평가를 각 기관에서 'A·A'로 통과해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시장 상장 예비 심사를 신청했다. GC지놈은 GC그룹 계열사로 지난 2013년 설립됐고 최근에는 매출에서 성장세를 유지했다. 2022년 241억원, 2023년 273억원 등의 매출을 올렸다. 2022년 32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으나, 2023년에는 1억원대의 영업이익으로 전환하는 성과를 냈다. 같은 기간 당기순손실도 2022년 38억원에서 2023년 6억원으로 줄었다. 이번 코스닥 상장 본격화로 GC지놈의 외형 확장뿐 아니라 GC그룹 내 신성장동력 확보에 대한 기대감도 높인다. GC그룹은 지난해 실적 부진을 겪으면서 자회사 실적 악화를 주요 원인으로 꼽은 바 있다. 그룹 핵심 계열사인 GC녹십자의 경우, 지난해 매출은 1조6799억원, 영업이익은 321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3.3%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6.7% 감소했다. 당기순손실은 전년 당기순손실 198억원 대비 약 115.2% 켜져 426억원으로 적자를 지속했다. 세포·유전자치료제 전문 개발사인 지씨셀의 지난해 매출은 1745억원으로 전년 대비 7% 줄었다. 영업손실은 200억원으로 적자 전환해 전년 영업이익 40억원에서 600% 급감했다. 당기순손실은 757억원이다. 이와 관련 GC그룹은 올해 국내외에서 면역글로불린 혈액제제 '알리글로', 헌터증후군 치료제 '헌터라제', 항암면역세포치료제 '이뮨셀엘씨주' 등 고부가가치 의약품을 성장기반으로 실적 개선에 나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GC그룹 지주회사인 녹십자홀딩스가 공시한 보고서를 살펴보면, GC그룹 계열사는 총 51개에 달하는 가운데 상장사는 녹십자홀딩스, 녹십자, 녹십자엠에스, 지씨셀, 녹십자웰빙, 유비케어 등 6개다. /이청하기자 mlee236@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