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세철의 쉬운 경제] 도덕 불감증
2024년 현충일 기념식을 시청하면서 참석자 면면을 보니 타의 모범이기는커녕 '도덕불감증'에 빠져 죄의식도 수치심도 저버린 인사들이 눈에 띄었다. 과연 그들이 호국 영령을 기리고 나라의 앞날을 기약하는 신성한 의식에 국민을 대표할 자격이 있을까? 미래를 짊어질 청소년들이 그들을 본받아 행동하면 나라 꼴이 어떻게 될지 두려웠다. 세상이 탐욕과 파벌에 휩싸이면서 빚어진 국면으로 웃을 수도 없고 울지도 못할 막장 드라마인지 모른다. 나라에 도가 있으면 가난하고 천한 것이 부끄러운 일이며, 나라에 도가 없으면 부유하고 귀한 것이 부끄러운 일이다.(邦有道 貧且賤焉 恥也, 邦無道 富且貴焉 恥也. 논어, 泰伯 13)고 하였다. 나라에 도가 없어서 막가는 인생들이 책임 있는 자리를 차지했는지? 아니면 막가파들이 나라를 뒤흔들고 날뛰다 보니 혼란의 혼란이 이어졌는지 선후는 분명치 않다. 어떤 유명 인사는 "남에게는 봄바람처럼 따듯하게 대하고 자신에게는 가을날 서릿발처럼 엄격하게 대하라(待人春風 持己秋霜. 채근담)"는 액자를 집에 걸어놓았다. 막상 그의 행동거지는 남의 잘못은 조그맣더라도 물고 늘어지고, 자신이나 패거리의 잘못은 껄껄거리며 흐지부지해 버린다. 속담에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 하였듯이 남의 조그만 잘못은 부풀리고 모질게 추궁하다가도 제 잘못은 뭣이 문제냐며 웃어넘기려 드니 그들에게 법의식, 질서 의식이란 한낱 장식품에 불과하다. 어찌 된 셈인지 모르나, 사면권이 남발되고 한때는 거래되었을지 모른다는 의혹까지 있었던 질곡의 역사 속에서 법과 도덕성을 논하는 일이 부질없는 짓인지 모른다. 세상을 어지럽히는 죄를 짓더라도 입신출세(?)하면 특별 사면을 받아 풀려나 흐지부지되는 도깨비 같은 세상에서 용을 쓰다 보니 도덕불감증에 빠져도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춘풍추상으로 써 붙여놓고 추풍춘상(내로남불)으로 읽는 데 익숙한 데다가 법을 자의적으로 해석하고 무시하려 드니 홍두깨 방망이인들 뭐 그리 두렵겠는가? 도덕불감증에 빠지다 보니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최소한 도리인 법질서를 교란시키고도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 히죽거린다. 우리 사회에 만연해 온 도덕불감증에서 벗어나려면 누가 뭐라 해도, 지도층부터 모범을 보여야 하는데, 지금 같은 국면에서는 불가능해 보인다. 높이 올라갈수록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기에 조그만 잘못도 엄하게 벌을 내려야 하는데 현실은 그 반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고대 그리스의 솔론(Solon)은 "법이 거미줄처럼 되면 나라가 위태롭다"고 했다. 거미줄이란 착한 나비가 날아가면 잡히고 사나운 사금파리가 날아가면 저항 없이 뚫린다. 모어(T. More)는 "탐욕과 파벌 두 가지 악은 모든 정의를 파괴한다"고 하였는데 오늘날 우리의 현실을 미리 짐작하고 그런 말을 했을지도 모른다는 의문이 간다. 어떻게 생각하면 도덕적용기(道德的勇氣)는 아무나 가질 수 있는 흔한 보물이 아니다. 질곡의 역사 속에서 살아남은 것도 대단한 데 도덕불감증에서 벗어나는 일은 참 어려운 일이다. 분명한 사실은 어리석은 우리 인간들에게, 탐욕이란 해야 할 일을 하지 못하게 하고, 해서는 아니 될 일을 하도록 유인하는 무서운 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