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원관희
기사사진
금감원, TA무역금융펀드 판매 관련해 삼성증권에 '기관경고' 제재

금융감독원은 삼성증권에 대해 TA무역금융펀드 판매 관련해 '기관경고' 조치했다고 15일 밝혔다. '무역금융펀드'는 기업 간 무역 거래 과정에서 발생하는 외상 매출채권, 선적서류, 신용장 등을 기초자산으로 삼아 수익을 얻는 상품으로, 국제무역에서 발생하는 외상 거래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삼성증권이 판매했던 상품은 232억원 규모로 2019년 주로 투자가 진행됐고, 이후 2020년 코로나 영향으로 전세계 무역 시장이 급격하게 침체에 빠지면서 무역 관련 거래주체들의 활동에 차질이 빚어지며 환매가 지연됐다. 결국 이 상품에 투자한 고객들은 원금대비 약 20~30% 수준의 투자금만 회수할 수 있었다 환매가 지연된 사모펀드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한 금감원은 삼성증권의 무역금융상품 판매 절차 중 일부 단계의 문제를 지적해 최종적으로 기관경고라는 징계를 내렸다. 금감원은 그간 코로나로 문제가 발생했던 무역금융펀드와 관련해 지난 2021년 신한증권에 영업정지 6개월, 올해 4월 한투증권에 기관경고의 제재를 내린 바 있다. 증권 업계의 한 관계자는 "이번 삼성증권 상품의 경우 라임, 옵티머스 같은 사기성 이슈는 없었으나, 판매과정에서 투자자 성향을 지키지 않는 등 적합성원칙, 부당권유금지 원칙 등을 위반한 부분이 문제가 됐다고 알고 있다"며 "특히 고위험 파생상품의 경우 상품을 판매하는 과정에서 절차상 꼭 지켜야 하는 판매 프로세스를 철저하게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증권은 손실을 본 고객들에 대해 원금의 80%에 달하는 보상조치를 진행해 투자고객들은 원화 기준으로 원금수준을 회복한 상태이다.

2025-05-15 18:38:51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기관 매도에 하락…2621.36마감

코스피 지수가 기관의 매도세에 하락 마감했다. 15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9.21포인트(0.73%) 내린 2621.36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713억원, 2647억원을 순매수했지만, 기관은 3857억원을 순매도하며 지수 하락을 이끌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한화에어로스페이스(0.24%), KB금융(0.21%), HD현대중공업(0.12%) 등은 소폭 상승했으나, SK하이닉스(-2.67%), 현대차(-2.13%), LG에너지솔루션(-2.07%) 등은 하락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82포인트(0.79%) 내린 733.23에 장을 마감했다. 개인과 기관이 각각 1248억원, 141억원을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은 1214억원을 순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서는 리가켐바이오(4.07%), 펩트론(1.51%), 휴젤(1.16%) 등이 상승했지만, 레인보우로보틱스(-2.90%), 에코프로(-2.67%), 에코프로비엠(-2.21%) 등은 약세를 보였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이번 주 미·중 무역 협상 이후 3거래일 연속 상승한 코스피는 숨 고르기 장세에 들어갔다"며 "특별한 매크로 이슈가 부재한 가운데 미국 증시도 3대지수 선물과 아시아 증시가 일제히 소폭 하락했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25.7원 내린 1394.5원에 거래를 마쳤다.

2025-05-15 16:07:10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외인·기관 매수에 상승…2640.57마감

코스피 지수가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14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2.15포인트(1.23%) 오른 2640.57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5344억원, 4701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개인은 1조17억원을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대부분 상승세를 나타냈다. 의료정밀기기(2.71%), 기계장비(2.70%), 오락문화(2.11%) 등이 크게 올랐다. 상승종목은 590개, 하락종목은 293개, 보합종목은 52개로 집계됐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기아(-1.39%)를 제외한 전 종목이 상승했다. SK하이닉스(3.78%), 한화에어로스페이스(1.99%), HD현대중공업(1.59%) 등이 큰폭으로 상승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7.17포인트(0.98%) 상승한 739.05에 장을 마감했다.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610억원, 473억원을 순매수한 반면, 개인은 859억원을 순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레인보우로보틱스(10.91%)가 10% 이상 급등했다. 이외에도 파마리서치(6.41%), 에스엠(2.73%), 삼천당제약(1.35%) 등이 올랐다. 반면 펩트론(-4.73%), 알테오젠(-3.74%), 리가켐바이오(-1.4%), 에이비엘바이오(-1.13%), 리노공업(-1.11%)등은 하락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사우디 순방 과정에서 엔비디아의 AI반도체 공급계약이 이뤄지면서 국내 증시에도 훈풍이 불었다"며 "외국인과 기관 모두 전기전자와 대형주를 중심으로 순매수세를 나타내며 지수 상승에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4.2원 오른 1420.2원을 기록했다.

2025-05-14 15:59:05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관리종목 지정 기업 급증…상장사 재무건전성 악화 우려

국내 상장사들의 재무 건전성이 악화하면서 올해 들어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기업 수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불확실성으로 인해 기업들의 실적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보여 관리종목 지정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기업은 총 51개사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25개사)과 비교하면 약 2배에 이른다. 관리종목은 영업실적 악화, 자본잠식, 감사의견 거절 등으로 상장폐지 위험이 발생하거나 유동성 확보에 실패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지정된다. 일반적으로 관리종목 지정 사유로는 자본금의 50% 이상 잠식, 회계감사 의견 부적정 또는 의견거절, 연간 매출액 미달 등이 있다.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기업은 주가 급락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HLB펩은 지난 3월 24일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이후 다음 날 주가가 5.33% 하락하며 시장의 불안감을 반영했다. 이외에도 관리종목으로 지정된 기업은 거래가 정지되거나 신용거래가 제한될 수 있으며, 일정 기간 내 재무 상태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상장폐지로 이어질 수 있어 투자자들에게는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현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관리종목 지정 기업 수가 단기적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재무 구조가 취약한 중소형 기업들이나 산업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들이 주요 타깃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로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이자도 갚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역대 최다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지난해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 중 한계상태에 빠진 기업은 541개사로, 1년 새 12.7%(61개사) 증가했다. 한계기업이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인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으로 1 미만인 기업을 말한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이라는 것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내지 못한다는 뜻이다. 올해 들어 금융당국이 자본시장 효율성 제고를 위해 상장폐지 요건 강화를 추진하고 있는 만큼, 이들 기업 상당수는 증시에서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기업 실적은 거시 경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경기가 둔화될수록 한계 기업들의 경영 여건은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다"며 "투자자들은 기업의 재무제표와 경영 상태를 종합적으로 점검하며 신중한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특히 영업 적자가 2~3년 이상 누적된 기업들은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기업에 대한 투자는 더욱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2025-05-14 14:26:53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마감시황] 코스피, 미중 무역 긴장 완화에도 강보합…2608.42마감

미·중 무역 긴장 완화에도 코스피 지수는 강보합으로 마감했다. 13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09포인트(0.04%) 오른 2608.42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외국인은 1714억원 순매수했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1360억원, 892억원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운송창고(3.11%), 일반서비스(2.56%), 증권(1.93%) 업종이 상승한 반면 전기가스(-3.10%), 금속(-2.23%), 종이목재(-1.63%) 등은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SK하이닉스(1.79%), 기아(1.41%), HD현대중공업(1.24%) 등이 올랐고 LG에너지솔루션(-2.95%), 한화에어로스페이스(-1.95%), 삼성전자(-1.22%)는 약세를 보였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48포인트(0.89%) 상승한 731.88에 장을 마감했다. 기관과 외국인은 각각 594억원, 398억원을 순매수한 반면, 개인은 873억원을 순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대부분 상승세를 나타냈다. 특히 펩트론(13.80%), 삼천당제약(8.50%), 알테오젠(3.57%) 등이 크게 올랐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상호 관세 인하 발표 이후 급락했던 글로벌 증시가 대부분 V자 반등을 이어가면서 차익 실현 압력이 높아졌고 그 영향으로 오후 들어 코스피가 마이너스로 전환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무역 협상 타결로 경기침체 우려가 완화되면서 연내 2회 금리인하가 전망된 점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3.6원 오른 1416.0원에 마감됐다.

2025-05-13 16:17:37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해외주식Click] 변동성 장세에 배당 ETF는 인기 지속…서학개미, 방어적 투자전략 강화

글로벌 증시의 변동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서학개미들이 배당 상장지수펀드(ETF)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투자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13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서학개미들은 미국 증시의 관세 충격과 반등 국면에서 일관되게 배당 관련 ETF를 매수하고 있다. 서학개미는 지난주(5월 6~12일) 슈왑 미국 배당주 ETF(SCHD)를 3482만 달러어치 순매수했다. SCHD는 버라이즌, 코카콜라, 록히드마틴, 펩시코 등 경기 방어적인 고배당 종목들로 구성돼 있으며, 배당주 특유의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SCHD은 연 3~4% 수준의 배당수익률을 유지하고 있다. 같은 기간 JP모건 나스닥 에퀴티 프리미엄 인컴 ETF(JEPQ)에는 1649만 달러가 유입됐다. JEPQ는 애플, 엔비디아 등 나스닥100 대형 기술주에 투자하면서 주가 하락 시 콜옵션 매도(커버드콜)를 통해 옵션 프리미엄 수익을 얻어 손실을 일부 상쇄하는 구조를 갖췄다. 콜옵션 매도란 특정 자산을 미래의 정해진 가격에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타인에게 팔고 그 대가로 프리미엄을 받는 전략이다. 최근 1년 동안 JEPQ의 배당수익률은 11%에 달하며, 주당 배당금은 5.65달러 수준이다. 배당주 ETF에 대한 수요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산운용업계 관계자는 "고배당주 중심의 ETF는 단순히 주가 상승을 기대하기보다는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며 "배당주는 시장의 변동성이 커질 때도 일정한 현금흐름을 제공하며, 주가 하락 시 매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중국과의 무역 분쟁 속에서 90일 간의 '휴전'을 선언하면서 미국 증시의 변동성이 일시적으로 완화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여전히 성장주 위주의 공격적인 투자보다는 포트폴리오 분산을 통해 리스크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윤재홍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국 주식만을 고집하거나 성장주만을 편입하는 것은 현재 시장 환경에서는 위험할 수 있다"며 "중국 등 신흥 시장과 같은 지역에도 일정 부분을 투자하거나 배당주와 같은 방어적인 자산을 일정 비율 편입하는 것이 안정적인 투자 전략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025-05-13 14:28:35 원관희 기자
기사사진
이전 상장 '실종'… 코넥스·코스닥·코스피 이동, 올해 단 1건

코넥스·코스닥·코스피 상장사들 간 이전상장이 자취를 감췄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한 기업은 자동차부품사 한국피아이엠 1곳에 그쳤다. 지난해에는 듀켐바이오, 에이치엔에스하이텍, 한중엔시에스 등 3곳이 이전 상장을 했고, 2023년에는 유투바이오, 에스엘에스바이오, 빅텐츠 등 총 7곳이 코스닥에 입성했지만, 올해는 그 흐름이 사실상 멈춘 상태다. 코넥스 시장의 설립 목적이 중소·벤처 기업의 자금 조달과 코스닥 이전을 지원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들어 이전 상장 수요는 크게 줄어들고 있다. 증권업계는 이전 상장 감소 배경으로 기술특례상장제도의 영향이 크다고 분석한다. 기술력이 있는 기업들이 굳이 코넥스를 거치지 않고 코스닥으로 직행할 수 있는 길이 열리면서, 코넥스에서의 이전 상장 필요성이 감소했다는 것이다. 코스피로의 이전 상장 흐름도 비슷하다. 지난해 포스코DX와 엘앤에프, 파라다이스가 코스닥에서 코스피로 진입했고, 2023년에는 SK오션플랜트, 비에이치, NICE평가정보가 이전 상장을 완료했으나, 올해는 아직까지 이전 상장 사례가 전무한 상태다. 과거에는 코스닥 대장주들이 안정적인 자금 유입을 기대하며 코스피로 이전하는 흐름이 이어졌다. 2017년 카카오, 2018년 셀트리온이 대형주로 성장하며 코스피로 이전한 사례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올해는 글로벌 경기 침체와 주요 수출 기업들의 실적 부진이 이전 상장 추진을 가로막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에코프로비엠 역시 흑자 기조를 유지할 경우 코스피 입성을 재추진할 계획이지만, 시장 환경은 여전히 불확실하다. 자금 유입 측면에서도 부정적인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올해 들어 외국인 투자자들은 국내 증시에서 17조5000억원을 순매도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20조원 가까이 순매수했던 상황과는 대조적이다. 패시브 자금 유입도 기대만큼 크지 않다는 점이 코스피 이전 상장 유인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이전 상장은 실적과 자금 유입이 뒷받침돼야 가능하다"며 "패시브 자금 유입과 실적이 미미한 상황에서 굳이 이전 상장을 강행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전문가들은 이전 상장 여부보다 기업들이 꾸준히 성장하며 질적 개선을 지속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황세운 자본시장 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코스닥에 머무는 기업들이 성장하고 질적 개선을 이루고 있다면, 굳이 코스피로 이전하지 않아도 문제 될 것이 없다"며 "이전 상장 여부보다는 기업의 실질적인 성장과 수익성 개선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25-05-13 08:36:37 원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