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IPO 시장, 관세·금리 우려 속 회복세…한국 기술株 중심 활력 이어가
글로벌 IPO 시장이 관세·금리·부채 우려에도 회복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미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신규 상장이 급증했고, 한국 역시 기술 중심 기업의 IPO가 꾸준히 이어지며 시장 활력을 보였다.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대표이사 박용근)은 2025년 3분기(7~9월) 글로벌 IPO 시장이 관세·금리·부채 우려를 딛고 뚜렷한 회복세를 나타냈다고 20일 밝혔다. 주요 주가지수가 최고치를 경신했으며, 통화정책 완화와 기업 실적이 상승세를 뒷받침한 것으로 분석됐다. '2025년 3분기 EY 글로벌 IPO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3분기 글로벌 IPO는 370건(전년比 19%↑), 조달금액은 482억달러(89%↑)를 기록했다. 올해 누적 기준으로는 914건, 1101억달러로 각각 5%, 41% 늘었다. 미국은 2021년 이후 가장 활발한 분기 실적을 보였고, 인도는 내수 호조로 건수가 3배, 조달금액이 4배 늘며 분기 기준 최고치를 경신했다. 한국은 대형 IPO와 기술·산업재 섹터 중심의 투자 수요가 이어지며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3분기 동안 총 18건의 IPO가 이뤄져 약 10억 달러를 조달했으며, 1~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전년 동일 기간 대비 건수는 56건으로 17% 상승, 조달금액은 25억 달러로 18% 상승했다. 섹터별로는 산업재가 건수 기준에서 가장 활발했으며, 테크놀로지가 조달 금액 측면에서 견인했다. 상장 기업들은 첨단 제조, 반도체 솔루션, 자동화, 인공지능(AI) 기반 소프트웨어 플랫폼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혁신이 융합된 기술 중심 기업이 주를 이뤘다. 코스피 IPO 수익률은 43.9%로 글로벌 4위, 지수 수익률은 44.7%로 1위를 차지했다. 박정익 EY한영 감사부문 마켓 본부장 겸 IPO 리더는 "금리 완화 기조와 안정된 실적, IPO 수익률 회복 등이 투자 심리를 뒷받침하며 글로벌 IPO 시장의 회복세를 견인하고 있다"며 "다만 관세 갈등과 지정학적 불확실성은 여전히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하는 만큼, 거시경제 흐름을 읽고 AI 기반의 산업 변화를 성장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역량이 중요하다. 또한 시장 변동성을 견딜 수 있는 탄탄한 비즈니스 모델과 지속가능한 성장 전략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허정윤기자 zelkova@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