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라벨 위해…경총, 시차출퇴근·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등 도입
경제계가 일과 생활균형(워라밸) 문화 확산을 위해 나선다. 노사관계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먼저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제도를 마련했다. 손경식 경총 회장은 15일 경총회관 회의실에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와 함께 '일·생활 균형 문화 확산을 위한 기업 간담회' 열고, 다양한 저출산 지원제도를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손 회장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젊은 세대들의 결혼과 출산 기피 현상은 노사정이 힘을 모아 해결해야 할 시대적 소명"이며 "이제는 경총이 나서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경총은 사무국을 대상으로 시차출퇴근, 정시퇴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가족돌봄휴가 등 다양한 저출산 지원제도를 시행한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KT&G와 풀무원이 일·생활 균형 제도를 잘 적용하고 있는 사례로 선정돼 발표됐다. KT&G는 임신·출산기의 직원에게 난임부부 시험관 아기 시술비(총 3회, 연간 1000만원 한도내), 출산 휴직 등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육아기의 직원을 대상으로 출산휴가 후 별도 절차없이 육아휴직으로 전환되는 '자동 육아휴직제' 시행, 육아휴직기간 2년까지 유급 확대 운영, 보육수당 지원·직장어린이집 운영 등 육아휴직자 업무 복귀 지원 등의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풀무원은 출산 전후 휴가(90일)와 연계해 1년 간의 육아휴직 사용을 의무 사용토록 한 '자동육아휴직제', 복직 1개월 전 해피콜·시차출퇴근제 등 육아휴직 복직 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의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저출산위 김상희 부위원장과 경총 송영중 상임부회장, KT&G 김태성 인사실장, 풀무원 김기령 실장, LG유플러스 양효석 상무, 노선국 CJ E&M 상무, 아시아나 장경호 상무, 현대산업개발 김희방 팀장 등 참석자들은 일·생활 균형 제도 도입시 기업들의 애로사항, 정부 지원이 필요한 사항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경총 관계자는 "오늘 논의된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실천방안은 근로자들에게 가정이 있는 삶, 행복한 근무환경을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