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국가 DNS 처리량 역대 최대치…'포스트 코로나' 웹 선도 서비스 발굴 나선다
KISA 관계자가 24일 열린'이슈앤톡'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앞두고 차세대 국가 DNS 추진방향을 설명하고 있다. / 유튜브 캡처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웹 기반 서비스가 활성화될 예정이다. 특히 인터넷 도메인 시스템(DNS) 질의량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정부도 이에 대비해 민간 사업자들의 웹 선도 서비스 발굴을 매칭펀드로 지원하고, DNS 데이터를 활용해 산업적 활용 가치를 모색하겠다는 방침이다. 26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비대면 문화와 뉴노멀 사회가 도래하면서 국경 없는 인터넷 시장에서 신수요 창출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소비문화·근무환경·콘텐츠 소비 등의 영역에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2월 기준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전년 대비 24.5% 늘어났으며, 재택근무 도입률이 확산 전보다 12.4% 증가했다. 전세계 인터넷 사용량은 3월 기준, 전년 대비 두 배 늘어났다. 특히 인터넷 접속 시 질의하는 관문인 DNS는 3월 기준 24억6000건으로, 전년 대비 약 14% 늘어났다. 최근 6개월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영향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이후 일 28억건이라는 역대 최대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웹 선도 서비스 발굴과 확산을 통한 디지털 전환 촉진에 대비해 인터넷거버넌스의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터넷거버넌스란, 인터넷 발전 활용에 이해관계자인 정부, 민간, 시민사회가 각자 역할 가지고 원칙, 규범, 의사결정 절차 거치는 것을 뜻한다. 초기 인터넷거버넌스는 인터넷주소자원 관리 중심에서 논의가 시작됐으나 현재 정보보호와 프라이버시, 표현의 자유 등 인터넷 전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정부는 아태지역 7개 인터넷주소자원관리기관(NIR)에서 독자적 인터넷주소자원을 운영·관리하고 있다. 현재 국가 DNS는 국내 12개소, 해외 3개소로 총 15개소를 운영하고 있다. 향후에는 코로나19 영향뿐 아니라 5세대(5G) 이동통신 활성화로 사물인터넷(IoT), 4차 산업혁명 등으로 폭발적인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KISA 관계자는 "PC나 스마트폰 웹 이용 등은 모두 도메인을 이용하는 것"이라며 "모든 통신의 첫 단계인 이 부분이 수행이 안되면, 지연현상이나 블랙아웃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비해 지난 22일 정부는 DSN 특화 데이터센터인 인터넷주소자원센터를 나주로 이전했다. 인터넷주소자원센터는 인터넷주소법에 따라 KISA가 2004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모든 국민들이 편리하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국가도메인, IP주소 등 인터넷 주소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국가도메인 등록 수는 약 113만개에 달한다. 정부는 향후 DNS를 통해 신 부가가치를 창출할 방침이다. DNS 질의 처리 등을 통해 빅데이터를 분석하면, 마케팅에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국가에서 한류 관련 도메인을 얼마나 접속했는지 분석하고 이를 마케팅에 활용하는 식이다. 또 국제적인 협력으로 DNS 분산 운영을 해 각 국가, 지역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지역 내에서 소화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활용하면, 베트남에서도 한류 공연 티켓팅을 원할하게 할 수 있는 등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질 수 있다. KISA 관계자는 "아태지역 7개 인터넷주소자원관리기관과 실무적 협의가 우선 이뤄져야 한다"며 "장기적으로 정책적 부분을 보완하고 협의가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나인기자 silkni@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