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어서 못한다…콘솔 게임, IP 업고 글로벌 시장 정조준
엔씨소프트가 공개한 콘솔 PC 플랫폼 신작 '퓨저' 이미지. / 엔씨소프트 "없어서 못 해요." 서울 영등포구에 사는 20대 김도현 씨는 최근 닌텐도 스위치 구매를 위해 온라인 마켓 특가를 노렸지만, 순식간에 매진돼 게임기 구매를 못했다. 김씨는 "오프라인 마켓도 3군데나 전화해서 물어봤는데 모두 품절이라고 한다"며 "중고 제품으로라도 구입할까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콘솔 게임을 즐기는 이용자가 늘어났다. 특히 닌텐도의 게임기 '스위치'가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품귀 현상을 겪고 있다. 2017년 출시 당시에는 출고가 36만원으로, 올 초까지 30만원 초반대의 가격을 유지했지만 온라인 신품 시세가로 60만원대까지 치솟았다. 미국, 일본 등에서도 재고 있는 상품이 500달러를 호가하고, 중고 시장에서도 활발하게 거래가 일어나고 있다. 이는 닌텐도의 '동물의 숲' 신작 발매 효과와 코로나19로 인해 야외 활동을 자제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닌텐도 스위치 품귀에 불을 지핀 것으로 해석된다. 한 때 콘솔 게임은 국내 시장에서 '마이너리그'로만 여겨졌지만, 최근 사회적 분위기와 더불어 국내 게임사들도 콘솔 게임 신작을 내놓으며, 콘솔 라인업을 늘리고 있다. 대표적으로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올해 PC, 모바일에 이어 콘솔 시장에 진출할 것이라고 선언한 바 있다. 김택진 대표는 지난달 열린 주주총회에서 "나날이 성장하고 있는 '글로벌 콘솔 게임시장'도 우리에게는 새로운 무대가 될 것"이라며 "엔씨는 여러개의 콘솔 게임을 준비 중이며, 새로운 장르의 게임도 개발 중에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엔씨소프트는 지난 2월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게임쇼에서 콘솔·PC 플랫폼 신작 게임 '퓨저'의 시연 버전을 선보인 바 있다. '검은사막 콘솔' 이미지. / 펄어비스 넥슨과 넷마블, 펄어비스 또한 콘솔 시장 바람에 동참하고 있다. 펄어비스는 자사 유명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검은사막 콘솔' 플레이를 지원한 이후 신규 이용자 수가 250% 늘었다. 넥슨 역시 자사 IP를 활용한 '카트라이더: 드리프트'를 연내 출시할 방침이다. 넷마블 또한 자사 '세븐나이츠' IP를 활용한 첫 콘솔 게임을 공개한 바 있다. '세븐나이츠'는 800여종의 캐릭터를 수집, 성장시켜 전투를 벌여가는 턴제 모바일 역할수행게임(RPG)으로, 글로벌 6000만 누적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세브나이츠 콘솔 게임은 올 여름 출시될 예정이다. 게임사들의 콘솔 시장 진출은 국내 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발판이기도 하다. 2019 대한민국 게임백서에 따르면, 2018년 콘솔 게임 시장 규모는 489억6800만 달러(약 59조9000억원)로, 전년 대비 8.5% 늘었다. 콘솔 게임 출시로 국내 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 선점 효과도 노릴 수 있다. 특히 북·남미와 유럽은 콘솔 게임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 시장 점유율은 북미에서 44.3%, 남미에서 33.7%, 유럽에서는 36.2%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는 "모바일 게임 시장이 강세였던 국내 시장도 최근 콘솔 게임에 관심을 보이는 추세"라며 "플랫폼 간 경계를 허무는 '크로스 플레이'가 보편화 되면 콘솔 게임 이용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나인기자 silkni@metroseoul.co.kr